알량한 말 바로잡기

 화려 華麗


 의상이 화려하다 → 옷이 눈부시다 / 옷이 곱다

 화려하게 꾸미다 → 곱게 꾸미다 / 환하게 꾸미다

 화려한 삶을 동경했다 → 눈부신 삶을 그리워했다

 겉으로는 화려해 보인다 → 겉으로는 멋져 보인다


  ‘화려(華麗)하다’는 “1. 환하게 빛나며 곱고 아름답다 2. 어떤 일이나 생활 따위가 보통 사람들이 누리기 어려울 만큼 대단하거나 사치스럽다”를 뜻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곱다’하고 ‘아름답다’는 아주 비슷한 낱말이기에 둘을 나란히 적으며 말풀이를 달면 안 어울립니다. 같은 말을 되풀이한다고까지 할 만합니다. 그러니까, 한국말로는 ‘환하다’나 ‘빛나다’나 ‘곱다’나 ‘아름답다’로 쓰면 돼요. 때로는 ‘눈부시다’나 ‘멋지다’나 ‘대단하다’를 넣을 수 있습니다. 4348.12.15.불.ㅅㄴㄹ



나비는 알록달록 날개가 아주 화려하지요

→ 나비는 알록달록 날개가 아주 곱지요

→ 나비는 알록달록 날개가 아주 눈부시지요

→ 나비는 알록달록 날개가 아주 빛나지요

《뤼크 포크룰/임희근 옮김-개구리 합창단》(미래아이,2011) 2쪽


아름다운 꽃보다 더 화려하게 꾸민 왕과 왕비

→ 아름다운 꽃보다 더 아름답게 꾸민 왕과 왕비

→ 아름다운 꽃보다 더 눈부시게 꾸민 왕과 왕비

→ 아름다운 꽃보다 더 환하게 꾸민 왕과 왕비

《엘릭스 바즐레이/김서정 옮김-제미 버튼》(다섯수레,2013) 31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163] 모래밭·모래벌



  한국에는 모래만 넓게 펼쳐져서 다른 것은 하나도 없는 땅이 없어요. 가도 가도 모래만 가득한 벌판은 없지요. 그래서 한국은 무척 아름답거나 살기 좋은 터전이라고 할 만합니다. 모래만 가득한 벌판에는 풀도 나무도 자라기 어려우니까요. 풀도 나무도 자라기 어려우면 냇물도 없을 테고 비도 안 올 테며, 이런 곳에 집을 지어서 살기도 어렵겠지요. 모래만 가득한 벌판은 ‘모래벌판’이에요. 한자말로는 ‘사막(沙漠)’이라 하는데, 이 한자말은 “모래만 있고 물이 없는 곳”을 뜻한다고 해요. 이와 달리 바닷가에 모래가 넓게 펼쳐진 곳에는 물도 있고 숲도 있기 마련이에요. 바닷가처럼 모래가 예쁘거나 곱게 있는 곳은 따로 ‘모래밭’이라고 해요. 풀밭이나 꽃밭처럼 모래로 밭을 이루었다는 뜻이에요. 한국에는 없는 ‘사막’이기에 예부터 이런 땅을 가리키는 한국말은 잘 안 쓰였을 테지만 ‘모래벌판’이 있고, 이를 줄여 ‘모래벌’처럼 쓰면 돼요. 모래와 다른 여러 가지가 어우러진 곳은 ‘모래밭’이고, 다른 것은 없이 오직 모래만 있는 곳은 ‘모래벌’이에요. 4348.12.13.달.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겹말 손질 371 : 모래사장



모래사장

→ 모래밭


사장(沙場/砂場) = 모래사장

모래사장(-沙場) : 강가나 바닷가에 있는 넓고 큰 모래벌판

모래벌판 : 모래가 덮여 있는 벌판

모래밭 : 1. 모래가 넓게 덮여 있는 곳 2. 흙에 모래가 많이 섞인 밭



  한자말 ‘사장’은 ‘모래사장’을 뜻한다고 합니다. 한국말 ‘모래’에다가 한자말 ‘사장’을 더한 낱말은 ‘모래벌판’을 뜻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사장 = 모래사장’이라면 ‘모래사장 = 모래 + 모래사장’인 꼴입니다. 말이 되지 않지요. ‘사장’이라는 한자말은 따로 쓸 까닭이 없고, ‘모래사장’처럼 잘못 쓰는 겹말은 하루 빨리 치울 수 있어야 합니다.


  한국말은 ‘모래벌판’인데 흔히 ‘모래밭’이라고 말합니다. 바닷가에 나들이를 간다면 이곳에서는 ‘모래밭’이라 하면 되고, 끝없이 모래만 펼쳐진 벌판을 가리키는 ‘사막(沙漠)’은 바로 ‘모래벌·모래벌판’이라고 하면 됩니다. 4348.12.13.해.ㅅㄴㄹ



조용한 해안의 모래사장에

→ 조용한 바닷가 모래밭에

《다카도노 호코/이서용 옮김-달라도 친구잖아!》(개암나무,2012) 32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겹말 손질 370 : 시작한 시발점



벌어지기 시작한 시발점이다

→ 처음 벌어지는 자리이다


시작(始作) : 어떤 일이나 행동의 처음 단계를 이루거나 그렇게 하게 함

시발점(始發點) : 1. 첫 출발을 하는 지점 2. 일이 처음 시작되는 계기



  한자말 ‘시작’은 ‘처음’을 가리킵니다. 한자말 ‘시발점’도 ‘처음’을 가리키지요. 그러니, “시작한 시발점”이라고 하는 말마디는 같은 말을 되풀이하는 셈입니다.


  한자말을 쓰고 싶다면 “벌어지는 시발점이다”처럼 쓰든지 “벌어지기 시작하는 곳이다”처럼 쓸 노릇입니다. 굳이 한자말을 안 쓰고 싶다면 “처음 벌어지는 자리이다”나 “처음으로 벌어지는 곳이다”처럼 쓰면 됩니다. 4348.12.13.해.ㅅㄴㄹ



투기의 시작이며 빈부의 격차가 벌어지기 시작한 시발점이다

→ 투기가 비롯하며 빈부 격차가 처음 벌어지는 자리이다

《김정일-기억의 풍경》(눈빛,2015) 3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원 圓


 모두 손을 잡으니 원이 되었다

→ 모두 손을 잡으니 동그라미가 되었다

→ 모두 손을 잡으니 둥글게 되었다

→ 모두 손을 잡으니 동그랗게 되었다


  ‘원(圓)’은 “1. 둥글게 그려진 모양이나 형태 2. [수학] 일정한 점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점들의 집합”을 뜻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한국말은 ‘동그라미’입니다. 자리에 따라 ‘동글이·둥글이’를 쓸 수 있고, ‘동그랗다·둥그렇다·동글다·둥글다’를 쓸 만합니다. 그리고 ‘세모·네모’가 한국말입니다. ‘원형·삼각형·사각형’은 한국말이 아니에요. 그렇지만 한국말은 나날이 교과서나 신문이나 방송에서 자꾸 쫓겨납니다. 4348.12.13.해.ㅅㄴㄹ



원을 그리며 날고 있는

→ 동그라미를 그리며 나는

→ 동그랗게 나는

→ 빙글빙글 나는

《알도 레오폴드/송명규 옮김-모래 군의 열두 달》(따님,2000) 59쪽


천천히 원을 그리며 하늘로 하늘로

→ 천천히 동그라미를 그리며 하늘로 하늘로

→ 천천히 둥글게 둥글게 하늘로 하늘로

《이와타 켄자부로/이언숙 옮김-백 가지 친구 이야기》(호미,2002) 79쪽


커다란 원을 그리면서 헤엄쳐서

→ 커다란 동그라미를 그리면서 헤엄쳐서

→ 크고 둥그렇게 헤엄쳐서

《리타 얄로넨/전혜진 옮김-소녀와 까마귀나무》(박물관,2008) 13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