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노래꽃
시를 씁니다 ― 55. 텃새와 철새
새는 언제나 그저 새입니다. 사람들이 서울을 커다랗게 때려짓더라도, 새는 예부터 살던 곳에서 둥지를 틀며 고즈넉이 살림을 꾸리려는 마음입니다. 그렇지만 사람들은 새를 내쫓습니다. 들숲메를 와르르 허물면서 새터(새가 사는 터전)를 없애고, 나무를 죽이고, 뭇짐승과 풀벌레와 벌나비 모두 죽음벼랑으로 내몰아요. 이러는 동안 두 가지 새살림을 나타내는 두 가지 이름인 ‘텃새·철새’를 아주 나쁘거나 하찮게 깎아내리는 미움불씨를 퍼뜨리더군요. 한해살림을 마을이며 들숲메에서 누리는 새이기에 ‘텃새’입니다. ‘텃새’는 텃힘(텃세·-勢)을 안 부려요. 그저 텃빛을 읽고 이으면서 텃살림을 짓기에 텃새입니다. 네 가지 철이 다르게 맞물리는 길을 헤아리면서 철마다 새롭게 살아가기에 텃새예요. ‘철새’는 철없이 굴지 않습니다. 아무렇게나 벼슬자리를 노리면서 옮겨다니지 않습니다. 몇몇 사람이 벼슬·돈·이름을 노리면서 자리를 바꾼다지만, 철새는 온힘·온마음·온빛을 다하여 머나먼 바닷길을 씩씩하고 의젓하게 가로지르는 철눈을 틔웁니다. 더구나 철살림을 짓는 터전에서 새로 둥지를 틀고서 알을 낳아 어른새로 돌본 뒤에는, 새끼새랑 함께 다시 머나먼 바닷길을 다부지고 기운차게 가로지릅니다. 텃새는 한해살림을 읽고 잇는 빛이라면, 철새는 철흐름을 읽고 잇는 빛입니다. 우리는 텃새랑 철새한테서 두 갈래 숨빛·살림빛·사랑빛을 배울 노릇이어야지 싶습니다. 우리는 이제 텃살림과 철살림을 몽땅 잊을 뿐 아니라 망가뜨리면서 새를 얕보는 바보눈을 벗어야지요.
텃새와 철새
참새는 참나무에도 앉고
박새는 박꽃내음도 맡고
소쩍새는 솔숲에도 살고
제비는 저물녘이면 자고
여름이 다가와 오동꽃 밝고
겨울이 깊어 덩굴풀 시들고
봄이 찾아와 나물꽃 향긋이
가을이 가며 감알은 까치밥
마을 곁에 터를 잡는 새는
사람과 한해살림 나누지
바다 건너 철을 읽는 새는
사람과 철들면서 날개꽃
씨앗을 심고 싹틔우는 터에
씨앗이 자라 보금숲을 이뤄
씨앗을 날라 퍼트리는 곳에
새롭게 만나 어울리는 오늘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