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회개 2025.1.13.달.



어떤 사람은 “잘못했습니다!” 같은 말을 아예 안 하지. ‘잘’ 했기에 “잘못했습니다!” 같은 말을 할 일이 없지 않아. 둘레를 사랑으로 보면서 사랑으로 배우려는 마음이 없기에 “잘못했습니다!” 같은 말을 안 한단다. 으레 “잘못했습니다!” 하고 말은 하는데, 입치레나 입버릇으로 그치는 사람이 있어. 이들은 둘레 눈치를 보느라 사랑을 안 보고 안 배우는 마음이지. 이른바 ‘회개’라 일컫는 “잘못했습니다!”와 같은 말 한 마디는, “이제 아이 마음으로 돌아가서 처음부터 하나씩 배우며 새롭게 일하겠습니다!”와 같은 길일 노릇이야. 배우기에 사람이야. ‘사람’이란, “배우는 나날을 마음에 씨앗으로 담은 몸”이라는 뜻이지. 사람을 둘러싼 푸나무와 돌바위와 물방울과 바람과 짐승도 늘 배워. 모든 숨결은 다 ‘배우’기에 다 ‘삶’이야. ‘삶’으로 나아가기에 ‘사랑’을 심고 펴고 나누지. ‘삶’을 잊어버리기에 언제나 죽음으로 치닫고, 허울과 껍데기를 못 놓아. 풀벌레도 짐승도 헤엄이도 새도, 늘 몸갈이를 해. 깃갈이에 털갈이를 하지. 지나간 허울과 껍데기를 붙잡으려고 하기에 ‘허물굴레’인 죽음이야. 잘 보렴. 숱한 사람들이 ‘허울·허물’과 ‘껍데기’를 자꾸 붙들지 않아? 겉껍데기를 붙드는 이들은 “잘못했습니다!” 하고 말할 줄 모르거나, 입말린 소리를 읊는단다. 속살을 가꾸면서 스스로 빛나려는 사람은 눈물로 허울과 허물을 씻어. 속빛을 일구면서 스스로 사랑하려는 사람은 빗물로 껍데기를 벗고 바람으로 겉옷을 날려버려. 네 오늘과 네 하루는 어떤 길인지 살펴봐. 네가 눈물과 빗물과 바람을 품는지, 아니면 겉치레로 덮어씌우거나 감추는지 헤아려 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중학교 2025.1.14.불.



봄은 겨울부터 오고, 여름은 봄부터 오고, 가을은 여름부터 오고, 겨울은 가을부터 와. 봄·여름·가을·겨울은 어느 날 갑자기 “자! 오늘부터 봄이야!” 하고 오지 않아. 봄이라면 겨울 첫머리에 아주 자그마한 씨앗으로 깃들어서 한겨울에 조금씩 꿈을 키우다가 끝겨울(늦겨울)에 어느새 싹을 틔우면서 물들어. 모든 철은 ‘씨앗이 싹트고 돋’듯 가만히 물들어서 피어나는 얼거리로 깨어난단다. 오늘날은 ‘초등학교’하고 ‘고등학교’ 사이에 ‘중학교’를 놓는데, 봄빛으로 물들어서 철들어 가는 나날이 아니라, ‘대학입시 징검다리’로 여기는구나. ‘봄나이’인 사람은 봄빛이 무엇인지 살피고 짚고 헤아려서 익히는 길이야. 아직 ‘익은’ 나이가 아닌, ‘익히는’ 나이야. “다 익을” 때까지 지켜보고 기다릴 테지. 익히는 동안에 자꾸 솥뚜껑을 들추면 어떻게 될까? 솥뚜껑을 아예 안 열어야 한다는 소리가 아니야. 느긋이 지켜보며 기다리고 헤아리는 ‘꿈’을 반기는 마음일 노릇이지. 자꾸 들추듯 따지고 다그치고 나무라면 그만 ‘덜익’거나 ‘설익’어. 때로는 아예 안 익기까지 하는구나. ‘중학교’라는 허울이나 껍데기가 아니라, “철드는 익힘길”이라는 이름으로 바라볼 수 있겠니? 너희는 “철든 어른”으로서 어질고 슬기로운 밝은눈을 물려줄 수 있겠니? ‘중학생’이 아닌 ‘봄아이’란다. 이제 막 싹을 틔우고 잎을 내면서 처음으로 스스로 꽃송이를 피우는 사랑을 익혀서 활짝 웃는 길목이기에 ‘봄아이’에 ‘봄나이’에 ‘봄길’에 ‘봄배움’이란다. 고치에서 마지막까지 몸벗이를 하고서 날개돋이를 하는 날까지 지켜보렴. 스스로 고치에서 나올 때까지 기다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지우는 2025.1.15.물.



‘책’이란 무엇이라고 여겨? 종이로 묶는 꾸러미인 ‘책’이 있고, 입으로 차곡차곡 들려주는 ‘이야기’인 책이 있어. 몸소 짓고 가꾸고 일구어 나누는 ‘살림’인 책이 있고, 언제 어디에서나 한결같이 흐르면서 빛나는 ‘사랑’인 책이 있어. 이 ‘책’이란, 글·그림으로 담는 꾸러미만 가리키지 않아. 이야기·살림·사랑이 책이란다. 네가 눈밝은 삶이라면, ‘숲’이라는 책을 읽고, ‘하늘’과 ‘별’이라는 책을 읽고, ‘바다’와 ‘비’라는 책을 읽고, ‘들’과 ‘밭’이라는 책을 읽어. 참으로 책답게 책을 보고 쓰고 나누는 하루라면, ‘지을’ 수 있고, ‘지울’ 수 있어. 새롭게 지으면서 빛나는 왼손에, 살며시 지우면서 재우는 오른손을 나란히 놀릴 줄 알면, 사람다운 길이야. 안 보이도록 슥슥 덮는 몸짓은 ‘지우기’가 아닌 ‘덮기’에 ‘감추기’란다. 이제 흙으로 돌아가서 새숨을 살리는 밑거름으로 가라고 알리는 ‘지우기’여야 알맞아. 저쪽에 놓는 ‘치우기’로는 새길을 가지 않아. 지을 때는 짓고, 지울 때는 지우렴. 때와 곳에 따라 어떡해야 어울릴는지 스스로 찾고 배워 봐. 지우지 못 하면 짓지 못 해. 짓지 않으면 지우지 못 하지. 억지를 쓰면 짓지도 지우지도 못 해. 짓는길과 지움길은 다르면서 같아. 짓는손과 지움손은 다르기에 같지. 네가 걷는 길은 늘 낱낱이 네 마음에 깃드는데, 넌 네 길을 늘 낱낱이 안 떠올려. 그렇다고 새로 담기만 하지 않아. 가없는 빛을 마음에 담고서 “빛없는 껍데기”는 모두 몸밖으로 내놓아서 새흙으로 돌린단다. 몸을 짓기에 몸에 안 쓸 것을 고스란히 지우듯 내보내. 넌 몸밖으로 내보내는(지우는) 찌꺼기가 아깝거나 아쉽니? 즐거이 지우기에 기쁘게 짓고, 신나게 짓기에 노래하며 지운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좀 추워 봐 2025.1.16.나무.



날씨가 추운 줄 알아야 옷을 껴입어. 날씨가 추운 줄 모르면 맨몸으로 멀쩡히 지내. 손발이 얼거나 트기에 손발을 감싸야 하는 줄 알면서 옷을 지어. 손발이 안 얼고 안 트면, 신이나 손싸개를 걸칠 까닭이 없어. 여름에는 좀 더워 보아야 몸이 더위에 맞추어서 거듭나. 조금 덥다고 해서 “안 덥도록 집을 바꾸”면, 몸은 그만 힘(빛)을 잊고 잃으면서 아주 쉽게 무너져. 조금 춥다고 해서 “안 춥도록 집을 덥히”면, 몸은 다시 힘(빛)을 잊고 잃으면서 그만 폭삭 주저앉아. 물에 들어가 보아야 헤엄을 배운단다. 두 다리로 서야 땅바닥을 디디고 걷지. 맨손으로 흙과 나무와 돌과 비와 해를 만져야 빚기·짓기·가꾸기·일구기를 배워. 조금 배고프다고 해서 허겁지겁 먹으면, 몸이 굼뜨고 무거워. 모든 삶은 모두 다르게 배우는 길이야. 한 해 365날이 모두 다르고, 해마다 다시 모두 달라. 올해 1월 1일하고 지난해 1월 1일이 같을 수 없어. 늘 다르면서 새롭게 흐르는 날이고, 늘 반짝이면서 깨어나는 철이야. 겨울은 추위를 반기면서 추위를 배우는 길이기에, 좀 추워 보아야 추위를 배워. 몹시 추운 줄 맛보거나 겪으면서 추위를 톡톡히 배워. 여름은 더위를 반기면서 더위를 배우는 길이니까, 좀 실컷 더위를 치르고 누리면서 배우면 될 테지. 모든 사람은 가난도 배우고 가멸(부자)도 배워. 가벼움과 무게를 배우고, 눈물과 웃음을 배워. 어느 하나만 배우려고 한다면, 몸은 이내 기우뚱하다가 무너진단다. 날마다 다른 길을 배우면서 철마다 새롭게 뻗는 바람을 배워 봐. 배우는 사람은 천천히 익히면서 살아가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1.22. 어떤 돈



  돈을 많이 벌기에 나쁠 까닭이 없고, 돈을 안 벌기에 나쁠 수 없다. 어떤 돈을 어떻게 벌거나 안 버는가 하고 들여다볼 노릇이다. 나는 인천에서 나고자란 사람이라서, 누가 인천 이야기를 하면 귀를 쫑긋 세운 채 살았는데, 우리나라 ㅈㅈㄷ뿐 아니라, 이른바 ‘진보좌파’나 ‘환경단체’나 ‘작가’ 들이 인천으로 ‘취재’나 ‘공부’를 하러 온 일을 거의(보다는 아예) 못 보았다. 인천에서 ‘굴업도’를 지키려고 작은이가 땀을 뺄 적에 진보좌파나 환경단체는 아예 또는 거의 눈길조차 안 두었고, 영종섬과 용유섬을 메워서 끔찍하게 바다와 들숲을 망가뜨리는 하늘나루를 때려박을 적에도 진보좌파나 환경단체가 한두 마디 말이라도 제대로 한 적조차 없다고 느낀다. 이리하여 새만금뿐 아니라 무안공항 이야기뿐 아니라, 다른 숱한 막삽질을 놓고도 정작 그들은 안 움직이기 일쑤이다. 전남 고흥처럼 조그마한 시골에 ‘핵발전소·화력발전소’를 어마어마하게 때려짓겠다고 포스코와 군수와 나라와 전남지사가 똘똘 뭉칠 적에 누가 힘을 보태었을까? 알고 보면, 아무도 힘을 안 보탰다. 그냥 시골사람 작은손으로 용케 지켰을 뿐이다.


  돈은 벌어도 되고 안 벌어도 된다. 돈은 많이 벌어도 되고 적게 벌어도 된다. 다만, 언제나 스스로 아름답게 벌거나 아름답게 쓰면 된다. 모든 일은 바탕이 ‘아름다움’이면 된다.


  보기 좋기에 아름답지 않다. 이름을 드날리기에 아름답지 않다. 힘이 세기에 아름다울 턱이 없다. 누가 아름다운가? 오직 사랑이기에 아름답고, 언제나 들숲바다를 푸르면서 파랗게 품기에 아름답다.


  글도 책도 마찬가지이다. 아름답기에 글이고 책이다. 안 아름답다면 글시늉에 책흉내이다. 100만을 팔아야 아름다운가? 100만을 팔았으면 100만을 팔았을 뿐이다. 고작 10자락을 팔았어도 아름다운 책은 늘 아름책이다.


  모든 작은펴냄터와 작은책집과 작은글꾼은 아름다움과 사랑을 품고 풀면서 이 삶을 노래하려는 마음이다. 다시 말하자면, 모든 큰펴냄터와 큰책집과 이름글꾼(유명작가)은 아름다움과 사랑 둘하고 동떨어진 채 돈만 쓸어담는 마음이다.


  돈을 많이 벌어도 아름다울 수 있지만, 쓸어담을 적에는 스스로 썩어서 문드러진다. 이름을 드날려도 아름다울 수 있으나, 휩쓸거나 거머쥘 적에는 스스로 고여서 얼간이로 치닫는다. 나는 여태까지 틈틈이 ‘블로그 이웃’이나 ‘인스타 이웃’을 먼저 도려냈다. ‘블로그 이웃’이나 ‘인스타 이웃’이 어느 만큼 되면, 그들은 ‘돈(광보홍보비)’을 주더라. 그 돈이 얼마나 크거나 대수롭겠느냐만, 그 푼돈을 받으면, 다들 하나같이 넋을 잃고 잊는다고 느낀다.


  오늘날 누가 네이버·다음이나 인스타·유튜브·페이스북하고 맞서거나 싸울 수 있을까? 오늘날 누가 ㅈㅈㄷ을 손사래치거나 진보언론이더라도 엉터리일 적에 따지거나 나무랄 수 있는가? 오늘날은 다들 이쪽에 서거나 저쪽에 서면서 밥그릇을 지키려고 한다. 밥그릇이 나쁘지는 않으나, 그대와 우리가 스스로 밥그릇을 붙잡기에 아이들이 운다. 아이들이 우는 소리를 등돌리고서 뭘 붙잡으려고 하는가? 이제는 제발 서울(도시)을 떠나서 조용히 ‘사람’으로 ‘사랑’하는 하루를 그리고 지어야 하지 않을까? 아이하고 날마다 한나절(4시간)씩 수다를 떨어야 하지 않을까? 어버이하고 날마다 한나절(4시간)씩 삶을 이야기해야 하지 않을까? “짓는 터”인 ‘집’부터 ‘지키’지 않는 이들은 이 별에서 어떤 것도 ‘지키’지 않으면서 몽땅 ‘짐’으로 바꾸고 만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