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알아주는 2025.4.3.나무.



너를 알아보는 사람은 무엇을 어떻게 알아볼까? 너를 못 알아보는 사람은 왜 언제나 못 알아볼까? 네가 알아보는 사람한테서 넌 어떤 빛과 어둠을 느낄까? 네가 못 알아보는 사람한테서 넌 왜 딱히 빛도 어둠도 못 느끼며 지나갈까? 이 모든 눈길은 수수께끼이지 않아. 누구나 스스로 배워서 익히는 만큼 알아보려는 눈을 뜨거든. 처음에는 그저 알아보고, 이윽고 다시금 들여다보고, 어느새 곰곰이 지켜보다가 문득 다시 찾아본단다. ‘봄’은 하나인 눈길이 아니야. 여러 ‘봄길’을 거치고 지나면서 바야흐로 ‘알아봄’인 줄 느껴서 받아들이지. 사람들은 곧잘 누구를 ‘알아주’고, 때로는 누가 저희를 ‘알아주’기 바라더구나. 그러나 ‘알아줌’은 ‘알기’도 ‘보기’도 아닌 ‘끌려다님’이야. 알지도 보지도 않는 바람에 ‘알아주’기 바라고 ‘알아줄’수록 그만 빛을 잊어. ‘자랑’이란 ‘자람(자라다)’이 아닌 줄 아니? 자랑하는 사람은 자라지 않아. 보고 느끼고 배우고 익히면서 스스로 일어서는 사람이 자란단다. 너는 누가 널 알아주기에 자랑하면서 그만 ‘자람결’이 멎어. 너는 자꾸 남을 알아주려 하거나 남이 널 알아주기 바라는 탓에, 자랑질을 하려는 마음이 깊어가면서 낡아. 네 숨소리는 남이 알아주어야 하지 않아. 네 발걸음을 남이 알아주어야 하지 않아. 너는 나무가 잎을 내는 자람결을 ‘알아볼’ 뿐이고, ‘알아줄’ 수 없단다. 너는 풀에 맺는 꽃송이를 ‘알아보’면서 기뻐할 뿐, 풀꽃을 ‘알아주’어야 할 까닭이 없어. 부드러이 눈을 뜨고서 일어나기를 바라. 천천히 눈뜨면서 깨어나기를 바라. 네가 너를 알아보기에 날마다 파랗게 하늘을 마신단다.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사전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내가 사랑한 사진책》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집열쇠



사람들은 처음 집을 지으면서 열쇠와 자물쇠를 안 두었어. 그저 집을 드나드는 나날이었어. 누구나 손수 짓고 빚고 가꾸며 누릴 뿐, 남이 짓거나 빚거나 가꾼 살림을 안 쳐다보았단다. 모자라거나 힘든 이웃이 있으면 기꺼이 나누거나 베풀었기에, 어느 집에서도 열쇠·자물쇠가 없었지. 사람이 지은 집에는 크고작은 짐승이 기웃거리며 드나들었어. 개구리와 새와 풀벌레와 구렁이는 늘 함께살았어. 해가 넉넉히 들고 바람이 맑게 흐르고 냇물·샘물·우물을 누리는 자리를 살림터로 삼았어. 이러다가 우두머리가 나타나는데, 우두머리는 나누거나 베푸는 사람이 아니라, 빼앗아서 모으는 사람이었어. 나눠주는 살림을 받는 길이 아닌, 갑자기 들이닥쳐서 마구 부수고 죽이며 빼앗았단다. 그래도 사람들은 열쇠나 자물쇠를 안 두었어. 그저 스스로 살림을 짓는 하루였어. 오직 우두머리가 열쇠·자물쇠를 채웠어. 우두머리는 누가 저처럼 배앗거나 훔치리라 걱정했지. 이윽고 우두머리 곁에 서는 벼슬아치도 열쇠·자물쇠를 채워. 빼앗고 훔치는 무리는 그들 스스로 한 짓을 틀림없이 누가 똑같이 하리라 여겼단다. 두렵고 무섭고 싫으면서, 나누거나 베풀 마음이 없기에, 채우고 숨기고 혼자 쥐다가 쓸쓸히 죽어갔단다. 오늘날 나라를 보렴. 이제 사람들은 거의 다 열쇠·자물쇠를 채우는구나. 남한테서 빼앗거나 훔쳤기 때문일까? 나누거나 베풀며 스스로 새롭게 지을 마음이 없기 때문일까? 집열쇠를 거느려야 하는 집이 얼마나 아늑할는지 헤아려 봐. ‘없어’야 한다는 뜻이 아닌, ‘나라’가 어떤 모습인지 보렴. 2025.4.4.쇠.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사전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내가 사랑한 사진책》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짧은 2025.4.5.흙.



생각이 짧거나 얕은 사람은 없어. ‘생각’을 한다면, 모든 생각은 그저 빛나. 얼핏 ‘큰빛·작은빛’이나 ‘큰별·작은별’을 가를 수 있지 않느냐 여길 만한데, 빛은 그저 빛이야. 아이는 아이요, 어른은 어른이란다. 한집에서는 맏이를 맏아이·큰아이라 이르고, 막내를 막내·작은아이로 삼을 텐데, 맏이·막내라는 이름을 덤으로 얻을 뿐, 그저 ‘아이’란다. 이제 생각을 이어 보렴. 제대로 짚거나 살피지 않았을 수 있으나, 배울거리가 있을 만큼 ‘생각’을 한단다. 배울거리가 없는 일이나 때나 삶은 없는데, “배우려는 마음이 없다”고 할 적에 “생각하지 않는” 모습이자 몸짓이란다. 빛은 빛이요 별은 별이요 사람은 사람이요 삶은 삶이듯, 생각은 늘 생각이야. 그러니 너는 곰곰이 짚을 노릇이야. ‘생각’을 했는지, 아니면 ‘생각흉내’나 ‘생각시늉’을 했는지 돌아보렴. 사람하고 비슷하게 생겼기에 사람이지 않아. 겉모습을 사람으로 꾸미거나, 사람처럼 살점과 피와 머리카락이 있기에 ‘사람’일까? 아니란다. ‘사람흉내’이기에 ‘인형’이나 ‘AI’인걸. 그러니까 “생각이 짧았다”든지 “생각이 모자랐다”고 할 수 없어. 거의 ‘생각’ 비슷하게 꾸몄을 뿐, 마음 가득 빛나는 별과 같이 ‘생각’으로 나아가지 않은 네 모습을 바라보고 받아들이렴. 네가 “미처 생각을 못 하는 때도 있는걸. 생각을 못 하면 이렇게 구르는 줄 느꼈으니, 이제는 생각하자.” 하는 마음일 적에는 언제나 스스로 거듭날 수 있어.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사전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내가 사랑한 사진책》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유연성 2025.4.6.해.



부드러우면, 누가 힘으로 누르거나 치거나 밟을 적에 쉽게 깨지거나 부서지거나 망가진다고 여기더구나. 그렇지만, 부드럽기에 오히려 안 깨지고 안 부서지고 안 망가지곤 해. 단단하거나 딱딱하기에 조금만 부딪혀도 쉽게 깨지고 부서지고 망가진단다. 부드러울 적에는 스스로 온갖 빛을 품거나 받아들여서 바꿀 수 있어. 단단하거나 딱딱하기에 어느 빛도 못 품거나 못 받아들이거나 못 바꾼단다. 게다가 “난 단단하고 딱딱한걸?” 하는 마음이 굳은 탓에, 그저 그대로 마냥 눌러앉기까지 하는구나. 바람이 부는 결과 빛을 보렴. 물이 흐르고 비가 내리는 결과 빛을 봐. 바람하고 물은 가없이 부드럽단다. 비나 물은 아무리 무겁고 큰 집이나 쇠나 덩이도 가볍게 날릴 수 있으면서도, 살살이꽃이 소담스레 맺은 꽃을 살살 간질이기만 할 수 있어. 사람은 저 높은 하늘에서 내리는 비를 아무리 맞아도 안 다쳐. 빗물은 꽃송이도 풀잎도 안 어지럽힌단다. ‘부드러움(유연성)’이란 대단하고 놀랍지. 보살필 줄 아는 빛이기에 ‘보드라움(부드러움)’이야. 보듬을 수 있는 빛이기에 보드랍고 부드러워. 봄이라는 철마냥, 새롭게 일으키고 일어나면서 이루고 잇고 일구고 있는 빛인 부드러움이기도 하지. 네가 마음에 심으려는 빛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렴. 또는 네가 마음에 아무 빛을 안 심으면서 뒹굴기만 하려는지 돌아볼 일이야.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사전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내가 사랑한 사진책》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변덕 2025.4.7.달.



마음을 들여다보면서 스스로 길을 살피는 사람이라면, 모든 말과 때와 일이 다른 줄 알아. 다른 줄 알기에 늘 새롭게 짚고 생각하면서 움직여. 마음을 안 들여다보고 스스로 길을 안 살피는 사람이라면, 다 다른 날과 때와 일을 모를 뿐 아니라 아무 생각이 없어. 이런 사람은 버릇대로 움직이고 할 뿐이란다. 버릇대로 움직이고 하기에 “새살이 돋아도 못 느끼”고, “새살이 돋는 줄 알아보려는 눈”을 틔우지 못 한단다. 마음을 보고 생각을 짓고 꿈을 그리는 사람은, 늘 새롭게 하루를 살아. 마음을 안 보고 생각을 안 짓고 꿈을 안 그리는 사람은, 늘 똑같이 해야 한다고 여기느라 언제나 투덜투덜하면서 널뛰기(변덕)를 부린단다. 가꿀 수 있기에 바꾸어. 바꿀 수 있기에 받아들여서 배워. 가꾸지 않기에 널뛰기이고, 이러거나 저러거나 널뛰느라 정작 스스로 무엇을 하고 싶은지 모른단다. ‘한결같은’ 사람은 ‘똑같은’ 사람이지 않아. 마음을 한결같이 돌보고 가꾸려는 매무새이기에, 바람결을 살펴서 스스로 새롭게 피어나는 동안 ‘나’를 ‘나’로서 고이 잇는 매무새를 두고서 ‘한결같다’고 하지. 그저 똑같이 굴거나 맞추려고 하기에 “틀에 박힌다”고 해. 늘 다르고 새로운데, 다르거나 말거나 곧이곧대로 딱딱하게 굴기에 틀박이에 판박이란다. 이 틀을 다른 틀로 맞춰서 가두려 하지. 가둬서 다시 길들이기에 널뛰기(변덕)란다. 물은 한결같이 흐르기에 늘 새롭고 맑아.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사전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내가 사랑한 사진책》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