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숲노래 삶읽기 2022.12.21.

나그네채에서 7 발바닥으로



  나는 책집마실이 아니면 바깥마실을 안 하다시피 한다. 인천으로 돌아간 2007년부터 인천을 다시 떠난 2010년까지는 골목마실을 하려고 바깥마실을 했는데, 2011년부터 살아가는 전남 고흥 시골에서는 숲들바다로 가는 길이 아니라면 바깥마실을 하고픈 마음이 없다. 나는 어디로 어떻게 마실을 하든 몇 가지로 길을 나선다. 첫째, 걸어서 간다. 둘째, 자전거를 탄다. 셋째, 버스나 전철이나 기차를 탄다. 부릉이(자동차)를 몰 마음이 없을 뿐 아니라, 부릉종이(운전면허증)조차 안 땄으며, 앞으로도 부릉종이는 건사하지 않을 생각이요, 부릉이를 품을 마음이란 아예 없다. 다만, 하나는 있다. 열여섯 살에서 열일곱 살로 넘어설 즈음, 푸른배움터(중·고등학교)를 ‘정석항공고’나 ‘인천기계공고’로 가고 싶다고 생각하면서 날개(비행기)나 부릉이(자동차)를 손질하는 사람(정비사)으로 일하는 앞날을 그리며 이모저모 살피던 그무렵, ‘사람이 몰지 않는 부릉이(무인 자동차)’가 나오면 그때에는 부릉이를 건사해 볼까 하고 동무들한테 얘기했다. 우리 어버이나 중학교 길잡이는 왜 인문계 아닌 실업계를 가려 하느냐고 타박하고 말려서 실업계로 가지 못 했고, 그 뒤로 부릉이는 없이 걷거나 자전거를 타자고 생각했다. 언제나 뚜벅뚜벅 걷는다. 버스가 오기를 기다리기보다는 그냥 해바람을 맞으면서 걷기를 즐긴다. 전철을 타러 땅밑으로 한참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오는 시커먼 길을 오가기보다는 그냥 해바람을 맞아들이는 길을 천천히 걸으려 한다. 이렇게 걸으면서 때바늘로 재곤 했는데, 버스나 전철을 타려고 기다리거나 움직이고서 타고 가기보다는, 처음부터 느긋이 걸을 적에 오히려 빠르더라. 이 대목을 느끼거나 아는 이웃이 있겠지? 아주 처음부터 걸어서 그곳을 다녀오기로 마음을 먹고서 그냥그냥 걸으면 되레 빠를 뿐 아니라 해바람을 쐬면서 우리 몸이 튼튼하고, 더구나 발바닥으로 골목마을 한복판이나 곁을 스치면서 ‘이웃이 살아가는 숨결’을 느낄 수 있고, 서울(도시) 한켠에 풀꽃나무가 어떻게 자라면서 사람한테 방긋방긋 눈짓을 하는지 알 수 있다. 게다가 서울 한복판에서도 크고작은 새를 만나고, 벌나비하고 손짓할 수 있고, 이따금 풀벌레노래까지 듣는다. 그런데 시골집을 떠나 서울(도시)에서 책집마실을 하노라면 어느새 등짐에 책이 가득하고, 품에 한 아름 책꾸러미를 안고서 걷는다. 바깥일을 보면서 책집을 다니면서 장만한 책을 이고 지고 안고서 길손집까지 간다. 그날그날 저녁하고 밤하고 새벽에 ‘오늘이나 어제 산 책’을 읽고 갈무리를 한다. 책집에서 먼저 한 벌 슥 읽고, 길손집에서 두 벌째 새로 읽고, 시골집으로 돌아가서 석 벌째 되읽으며, 책마다 겉그림이나 속종이를 긁느라(스캔) 넉 벌째 읽는다. 느낌글을 쓰려면 다섯 벌째 읽고, 책에서 고치거나 손보거나 바로잡을 글자락이 있으면 여섯 벌째 읽는다. 아름다운 책이라면 일곱 벌째 읽고, 아이들한테 읽히자면 여덟 벌째 읽고, 우리 책마루숲으로 옮기기 앞서 아홉 벌째 읽는다. 책은 발바닥으로 산다. 책은 손바닥으로 읽는다. 이웃은 발바닥으로 만난다. 이웃하고 손바닥으로 이야기한다. 이리하여 해거름에 길손채에 깃들고서 짐을 풀면 발바닥이며 종아리가 퉁퉁 붓는다. 붓고 아린 발바닥을 끙끙대면서 밤이며 새벽을 지나 아침나절에 이르면 “자, 오늘도 새로 걷고서 우리 시골집으로 돌아가자.” 하고 질끈 등짐을 메고서 다시 발바닥으로 땅바닥을 느끼면서 빙글빙글 웃는 낯으로 걷는다. 뚜벅뚜벅 걷고, 또박또박 쓴다. 따박따박 읽고, 나긋나긋 노래한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2022.11.27.

나그네채에서 6 새우깡 5000원



  싸움터(군대)에 1995년 11월 6일에 끌려갔다. 1997년 12월 31일에 풀려났다. 나는 싸움터살이(군대생활)를 하며 딱 하루만 ‘외박’을 나갔다. ‘외출’조차 아예 나간 적이 없는데, 멧꼭대기에서 새벽부터 한나절을 걸어서 나갔다가, 일찍 해가 떨어진 멧길을 다시 한나절 낑낑대며 걸어올라오기도 싫을 뿐더러, 고작 한나절쯤 바깥바람을 쐬면서 술을 마신다 한들 달라질 일이 없다고 여겼다. 이런 데에 돈을 쓰기 싫었다. 품삯(군인 월급 + 격오지수당(또는 생명수당) + 연초수당)을 푼푼이 모아서, 나중에 이곳을 떠나면 책값으로 삼으려고 생각했다. 싸움터에서는 ‘진급휴가’라는 이름으로 ‘일병·상병·병장 진급휴가’를 석 판 받는다. 나는 강원도 양구 백두산부대에 깃든 터라, 다른 싸움터보다 말미가 이틀 길었다. 멧꼭대기 싸움터는 밖에 나가고 들어오는 데에만도 이틀이 걸렸다. 따로 ‘포상휴가증’을 석 판 받았으나 하나도 안 쓰고 뒷내기하고 윗내기한테 줬다. 열아홉 살에 짝을 맺어 아이도 둔 분들이 하릴없이 싸움터에 끌려왔더라. ‘아이 둘 있는 사내’는 ‘군면제’였는데, 이들은 아무것도 모르는 채 끌려왔고, 윗분(중대장·행정보급관·대대장)들은 쉬쉬하며 그냥 두었다. 딱한 또래한테 내 휴가증을 슬쩍 주었고, ‘상병 진급휴가’ 보름치조차 둘로 갈라서 몰래 나눠 주었다. 우리 어버이는 내가 싸움터에 끌려간 뒤 전화도 없고 글월도 뜸한데다가 말미조차 안 나오니 몹시 걱정했단다. 어느 날 불쑥 찾아오셨더라. 어쩔 길 없이 처음이자 마지막 외박을 하려고 ‘양구군 동면’에서 밥을 먹고 길손집에서 하루를 묵는데, 밥집마다 미쳤는지 세겹살 한 접시(1인분)가 1만 원이요, 새우깡 한 자루에 5000원일 뿐 아니라, ‘여인숙보다 떨어지는’ 길손집 좁다란 한 칸이 7만 원이더라. 1997년 여름께였다. 우리 어버이는 아들을 보려고 찾아오느라 이날 100만 원 가까이 썼다더라. 길삯도 길삯이지만, 온통 바가지투성이였다. “넌 왜 휴가도 안 나오냐? 전화는 왜 안 하고?”“아버지 어머니, 여기서는 글월도 못 써요. 전화도 못 해요. 그나마 지오피에서 나왔으니 얼굴을 보는 외박이라도 하는데, 곧 훈련을 뛰니, 여기서 나갈 때까지는 아무 연락도 못 합니다.” “요새 편지도 전화도 못 하는 군대가 어딨냐?” “여기 와 보셨잖아요? 여기가 그런 데예요. 와서 보시니 왜 아무것도 못 하는 줄 아시겠지요?” “그러면 우리더러 찾아오라고 해서 외박이라도 나오지 그랬냐?” “에휴, 여기 바가지 오늘 신물나게 보셨지요? 이런 바가지를 뻔히 아는데 어떻게 오시라고 불러요?” “그래도 이렇게까지 바가지일 줄은 몰랐지.” “그러나 아들은 멀쩡히 살아서 돌아갈 테니, 걱정 마셔요.” 내가 깃들던 싸움터(군대)는 내가 이곳을 떠나고 석 달 뒤에 닫았다고 들었다. 너무 외지고 고단하고 말썽이 잦은 터라 닫기로 했고, 내 뒷내기는 뿔뿔이 여기저기로 흩어졌단다. 우리나라 마지막 뻬치카(갈탄 난로)가 있던 곳이다. 2022년 11월 25일에 강원 화천군 ‘이기자 부대’가 뿔뿔이 흩어지고 난 뒷이야기를 들었다. 화천군 밥집·길손집 지기는 파리가 날리고 괴괴하다고 하소연인데, 사람들 덧글은 하나같이 “추운 겨울에 따스한 이야기”라면서 그들을 나무란다. 그래, 이 나라는 싸움터(군대)를 낀 마을마다 허벌나게 바가지를 씌웠잖은가? ‘돈도 이름도 힘도 없어 강원도 멧골짝 싸움터로 끌려간 사내’를 벗겨먹은 그들이 무엇이 불쌍할까? 아니, 불쌍하지. 착한 마음도 참된 마음도 없이 오직 돈바라기 짓을 하던 그들은 삶·살림·사랑하고 등진 나날이었으니 불쌍할 뿐이다. 밖에서 500원에 파는 새우깡을 5000원에 팔아먹은 그들이니.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2022.8.27.

나그네채에서 5 아이랑



  2022년 8월 27일, 작은아이하고 이틀째 제주에서 묵는다. 작은아이는 갓난쟁이일 무렵하고 이제 막 통통통 달음박질을 할 수 있던 무렵 배를 꽤 탄 적이 있다만, “응? 난 배를 탄 생각이 하나도 안 나는데? 난 배 탄 적 없는데?” 하고 말한다. 작은아이가 배를 탄 적이 없다고 말하더라도, 숲노래 씨는 작은아이랑 언제 어디를 다녀오는 어떤 배를 탔는지 다 떠올릴 수 있으나, 굳이 보태어 말하지는 않는다. “그렇구나, 그러면 숲노래 씨가 제주로 바깥일을 하러 다녀올 텐데 같이 갈까?” “음, 그럴까요?” 큰아이도 오랜만에 제주마실을 함께 하자고 얘기했는데, “어, 동생하고 같이 가요? 그러면 우리 집은 누가 지켜요? 나는 어머니하고 집을 지킬 테니까 동생하고 둘이 다녀와요.” 한다. 어쩜 이런 대견하며 의젓한 큰아이일까. “그래, 네가 우리 보금자리를 지켜주는구나. 그럼 이다음에 제주에 갈 적에는 둘이 가고, 그때에는 동생이 어머니랑 보금자리를 지키기로 하자꾸나.” 고흥에서 제주로 건너가기 하루 앞서 길손집을 살펴서 잡는다. 둘쨋날은 제주 〈노란우산〉 서광책집에 딸린 바깥채에서 묵기로 했고, 이다음날은 다시 제주시로 나가서 이틀을 묵는다. 한꺼번에 자리를 잡아도 되지만, ‘네이버호텔’로 자리를 잡을 적에는 하루 앞서 살필 적에 가장 싸더군. 보름이나 한 달쯤 앞서 자리를 잡으려면 외려 비싸더라. 어제오늘 작은아이랑 신나게 걷고 돌아다니고 마실을 하니, 저녁 일고여덟 시 무렵이면 둘 다 뻗어야 한다. 작은아이는 이내 꿈나라로 가고, 숲노래 씨는 바닥에 누워 등허리를 조금 펴다가 일어나서 새 길손집을 알아보고, 이튿날 다닐 길을 요모조모 따진다. 바깥마실을 할 적에는 아이가 그날 그때에 따라 몸이나 마음이나 생각이 바뀌기도 하니, 이 흐름에 맞추어 모든 벼리(일정)를 온통 새로 짜기 일쑤이다. ‘미리 짠 대로 밀어붙이’면 누구보다 아이가 고단하고 어버이도 힘들지. 아이가 그때마다 어떠한가를 물어보고 살피며 ‘미리 짠 벼리가 있어도 곧바로 바꾸거나 새로 살펴서 움직인’다. 나는 예전에 ‘아무것도 미리 안 짜고’ 다녔다. 이러다가 곁님한테서 옴팡 꾸지람을 들었고, 아직 허술하더라도 열이나 스무 가지 벼리(일정·계획)를 짜놓고서, 아이한테 넌지시 물어보고서 아이가 가장 바라는 길로 간다. 언제나 아이가 가르쳐 주고 이끌어 준다. 아이 눈망울로 생각하고 아이가 바라는 대로 할 적에 하루가 가장 아름답고 즐거우면서 빛난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노래 2022.8.22.

나그네채에서 4 시애틀로



  나그네채를 알아볼 적마다 길손채 이름을 보면서 어쩐지 즐겁다. 굳이 날개(비행기)를 타고서 훌훌 떠나지 않더라도, 뉴욕이나 파리를 다녀올 만하고, 캐슬이나 궁전에도 깃들 만하다. 어제는 시애틀에 가기로 했다. 길손채 가운데 우리말로 이름을 지은 곳은 손가락으로 꼽을 만큼 드물다. 예전에는 모조리 한자말로 ‘○○여관’으로 붙이는 일본스러운 이름이었다면, 요새는 거의 영어로 ‘○○호텔’이라 한다. ‘○○모텔’이라 붙인 곳은 좀 묵은 티가 난다. 길손채는 으레 술집골목하고 나란히 있다. 웬만한 길손채는 왁자지껄한 거나꾼(주정꾼) 소리가 스며들고, 술에 절은 냄새가 올라오기도 한다. 또한 술집골목을 낀 길손채는 밤 열 시가 넘어서야 길손을 받기 일쑤이다. 왜냐하면, 밤 열 시까지 ‘잠자리놀이’를 즐기려는 젊은 순이돌이한테 빌려주면서 돈벌이를 하니까. 숲노래 씨처럼 ‘잠자리짝꿍’이 없이 책짐을 등에 손에 가슴에 잔뜩 안고서 묵으려는, ‘책짝꿍’만 데려오는 길손을 보면 그야말로 모든 길손채지기는 숲노래 씨를 위아래로 훑어본다. 위아래로 훑어보다가 고무신차림을 깨달으며 “도대체 어디에서 오셨나요?” 하고 묻는 분이 수두룩하다. 장난스럽게 “깊은 두멧골에서 길(도)을 닦다가 이 땅(세상)에 내려왔습니다.” 하고 말하고 싶기도 하지만, “이 고장으로 강의를 하러 와서 책집에 좀 들렀습니다.” 하고 꾸밈없이(재미없게) 말하고 만다. 모든 길손집지기는 내가 ‘길꾼(도인·도 닦는 사람)’이라고 밝히기를 바라지 않을까? 이 눈치를 알면서 장난스런 말은 따로 안 한다. 가뜩이나 등에 손에 가슴에 책짐을 잔뜩 이고 지고 안느라 무거운데, 말장난은 안 하고 싶으니까. 얼른 내 자리로 깃들어 책짐을 끌르고서 고무신하고 옷을 빨래해서 널 생각을 한다. 아무튼 바깥일을 하러 나라 곳곳을 떠돌면서 언제나 ‘번쩍번쩍 눈부신 이웃나라’에서 하루를 묵는다. 그런데 티벳이나 몽골이나 버마나 부탄은 가기 어려울까? 케냐나 모잠비크나 아르헨티나나 칠레는 갈 수 없으려나? 하다못해(?) 네덜란드나 벨기에나 룩셈부르크나 터키나 체코나 폴란드나 핀란드는 갈 수 없으려나? ‘네덜란드호텔’이나 ‘칠레호텔’이나 ‘시에라리온호텔’이 있다면 기꺼이 이곳에 가 보려 한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시애틀호텔'은 경기도 부천에 있습니다.

부천역 언저리 길손채를 어느덧

예닐곱 곳을 찾아가 보았는데

여태 다닌 부천역 길손채 가운데 

'시애틀'이 가장 나았기에

이 글을 써 보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노래 2022.8.21.

나그네채에서 3 길삯



  2008년에 큰아이를 낳고서 시외버스를 탈 적에 ‘아기’는 일곱 살까지 길삯을 안 내도 된다고 들었다. 표사는곳에서도 버스일꾼도 ‘아기표’를 끊지 말라고 했다. 그러나 시외버스에 빈자리가 사라지면 아기를 안는 어버이는 내내 버겁다. ‘일곱 살까지 아기 표를 끊지 않아도 된다’고 하지만, 막상 ‘일곱 살 나이에 이르는 아이’들은 ‘자리를 차지하지 말고 어버이 무릎에 앉아서 가라’고 말을 바꾼다. 아기는 따로 표를 안 끊어도 된다면 ‘아기가 깃들 자리’는 표를 팔면 안 될 노릇이리라. 마땅히 아기가 깃들 자리로 치고 들어오는 사람들을 겪고 나서는 ‘버스가 텅텅 비어’도 ‘어린이표’를 끊었다. 일곱 살이 안 되면 어린이표조차 없어도 된다고, 게다가 자리가 널널한데 굳이 왜 끊느냐고 묻는 버스일꾼한테 빙그레 웃으면서 “자리가 널널할 때에만 아기 자리가 있고, 자리가 차면 아기는 무릎에 앉히라면서요? 아기를 무릎에 앉히고서 네다섯 시간을 갈 수 있습니까?” 하고 조용히 되물었다. 아무 대꾸를 못 하더라. 아기가 짐짝이 아닌 아기라면, 아기가 탈 적에도 표를 주어야 한다. 다만, 길삯(표값)은 0원으로 하고서, 아기도 떳떳이 자리를 누리도록 하나씩 떼어주어야겠지. 아기는 칭얼거릴 적에는 어버이 품을 반기지만, 여느때에는 반듯한 자리에 팔다리를 뻗으며 누워야 튼튼히 자란다. 이 나라가 참말로 아기·아이·푸름이·어버이를 헤아린다면, 표사는곳에서 ‘아기표’를 끊어 주어야 한다. 버스뿐 아니라 기차에서도 ‘아기표’를 0원으로 끊어 주어서, 아기를 돌보는 어버이가 느긋이 바깥일을 보러 움직이도록 이바지할 노릇이다. 그렇다면 왜 여태껏 이 조그마한 일이 자리를 잡지 못 할까? 우두머리(대통령)도 벼슬아치(정치꾼·공무원)도 버스나 기차나 전철로 아기를 데리고 다녀 보지 않았으니 하나도 모르겠지. 그들 스스로 모르는 일을 어찌 하겠는가? 우두머리(대통령을 비롯한 기관장·지자체장)한테는 ‘판공비’가 아닌 ‘자전거’하고 ‘책꽃종이(도서상품권)’를 내주어야 한다. ‘운전기사 딸린 부릉이’가 아닌 ‘버스표·전철표·기차표’를 주어야겠지. 벼슬아치(군수·시장·도지사·구청장·국회의원·공무원)들은 오직 ‘대중교통’으로만 돌아다녀야 이 나라가 바뀐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