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네? 사내 시스템을 전부 혼자 관리하는 저를 해고한다구요? 1
이오 지음, icchi 그림, (주)라이트박스 옮김, 카시로메 유키 원작 / 씨엘비코믹스(라이트박스) / 2025년 4월
평점 :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7.17.
만화책시렁 760
《네? 사내 시스템을 전부 혼자 관리하는 저를 해고한다구요? 1》
카시로메 유키 글
이오 그림
icchi 캐릭터
박용국 옮김
씨엘비코믹스
2025.4.30.
모르는 사람이 참 많지만, “혼자 온일”을 하는 분이 꽤 많습니다. 먼저 숱한 살림집에서는 ‘살림꾼’ 한 사람이 온집을 도맡아서 돌보기 일쑤입니다. ‘살림꾼’은 으레 ‘가정주부’라는 일본말로 가리키는 ‘어머니(또는 아줌마)’입니다. 나라에서는 바깥일을 하는 사람들 일삯을 놓고서 밑일삯(최저임금)으로 아웅다웅하는데, 밑일삯을 푸는 길은 아주 쉬워요. 나라지기(대통령)에 벼슬아치(국회의원·고위공직자)도 나란히 밑일삯만 받으면 됩니다. 이런 틀이라면 밑일삯을 어떻게 맞춰야 하는지 아주 쉬워요. 《네? 사내 시스템을 전부 혼자 관리하는 저를 해고한다구요? 1》를 읽고서 두걸음을 기다립니다. 곰곰이 보면, 집뿐 아니라 일터와 마을도 ‘돌봄이·살림꾼’은 으레 한 사람이게 마련입니다. 온힘을 다해서 알뜰하고 알차게 꾸리는 한 사람이 있기에 집과 일터와 마을뿐 아니라 나라까지 아름다게 흘러갑니다. 다만 ‘돌봄이·살림꾼’은 벼슬을 안 맡아요. 벼슬을 맡을 틈이 있겠습니까? 일하거나 살림하거나 사랑하는 사람은 일과 살림과 사랑에 온빛을 기울일 뿐, 벼슬은 터럭만큼도 안 쳐다봅니다. 다시 말하자면, 벼슬이라고 하는 ‘대통령·국회의원·시장·군수·교육감·장관’ 같은 이들은 허울뿐이요, “일을 하는 시늉”에 그친다는 뜻입니다. 우리가 이 속내와 얼개와 참모습을 알아볼 수 있다면, 아무리 새나라가 서도 어쩐지 안 바뀌거나 더 곪는 듯하다고 느끼는 까닭을 제대로 짚으면서, 무엇을 바꾸어야 하는지 참하게 깨달을 테지요.
ㅍㄹㄴ
“일하시느라 바쁜 건 알겠지만, 그건 그거고 이건 이거죠! 어린 시절의 추억은 평생 남는 법이잖아요. 항상 바쁜 아빠가 일요일 아침에는 같이 있어 준다면, 따님에게는 평생 못 잊을 추억이 될 거예요.” (60쪽)
“그 얘기, 사장님은 아실까요?” “당연히 다 알고 있었겠지.” “그럼 왜 해고한 거죠?” “얘기해 보니까 알겠어. 저 사람은 작업량 세듯이 엔지니어를 숫자로 보는 사람이야. 우리 엔지니어의 목소리를 들을 리 없지.” (99쪽)
“훼방꾼 때문에 굳이 멈춰서는 건 어리석은 짓이에요. 다른 길을 찾아야죠. 조금 먼 길이 될지도 몰라요. 그래도 멈춰서는 것보다는 멀리 갈 수 있어요. 저도 그랬으니까요.” (147쪽)
#え社內システム全てワンオペしている私を解雇ですか #伊於 #下城米雪
+
《네? 사내 시스템을 전부 혼자 관리하는 저를 해고한다구요? 1》(카시로메 유키·이오·icchi/박용국 옮김, 씨엘비코믹스, 2025)
아무나 오라고 하기 마련인데
→ 아무나 오라고 하게 마련인데
43쪽
정말 최선을 다할 때는 성별은 상관없어요
→ 참말 온힘을 다할 때는 누구든 되어요
→ 참말 온땀을 다할 때는 누구나 안 가려요
143쪽
훼방꾼 때문에 굳이 멈춰서는 건 어리석은 짓이에요
→ 눈엣가시 때문에 굳이 멈춰서면 어리석어요
→ 가로막는대서 굳이 멈춰서면 어리석어요
147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