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사내 시스템을 전부 혼자 관리하는 저를 해고한다구요? 1
이오 지음, icchi 그림, (주)라이트박스 옮김, 카시로메 유키 원작 / 씨엘비코믹스(라이트박스)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7.17.

만화책시렁 760


《네? 사내 시스템을 전부 혼자 관리하는 저를 해고한다구요? 1》

 카시로메 유키 글

 이오 그림

 icchi 캐릭터

 박용국 옮김

 씨엘비코믹스

 2025.4.30.



  모르는 사람이 참 많지만, “혼자 온일”을 하는 분이 꽤 많습니다. 먼저 숱한 살림집에서는 ‘살림꾼’ 한 사람이 온집을 도맡아서 돌보기 일쑤입니다. ‘살림꾼’은 으레 ‘가정주부’라는 일본말로 가리키는 ‘어머니(또는 아줌마)’입니다. 나라에서는 바깥일을 하는 사람들 일삯을 놓고서 밑일삯(최저임금)으로 아웅다웅하는데, 밑일삯을 푸는 길은 아주 쉬워요. 나라지기(대통령)에 벼슬아치(국회의원·고위공직자)도 나란히 밑일삯만 받으면 됩니다. 이런 틀이라면 밑일삯을 어떻게 맞춰야 하는지 아주 쉬워요. 《네? 사내 시스템을 전부 혼자 관리하는 저를 해고한다구요? 1》를 읽고서 두걸음을 기다립니다. 곰곰이 보면, 집뿐 아니라 일터와 마을도 ‘돌봄이·살림꾼’은 으레 한 사람이게 마련입니다. 온힘을 다해서 알뜰하고 알차게 꾸리는 한 사람이 있기에 집과 일터와 마을뿐 아니라 나라까지 아름다게 흘러갑니다. 다만 ‘돌봄이·살림꾼’은 벼슬을 안 맡아요. 벼슬을 맡을 틈이 있겠습니까? 일하거나 살림하거나 사랑하는 사람은 일과 살림과 사랑에 온빛을 기울일 뿐, 벼슬은 터럭만큼도 안 쳐다봅니다. 다시 말하자면, 벼슬이라고 하는 ‘대통령·국회의원·시장·군수·교육감·장관’ 같은 이들은 허울뿐이요, “일을 하는 시늉”에 그친다는 뜻입니다. 우리가 이 속내와 얼개와 참모습을 알아볼 수 있다면, 아무리 새나라가 서도 어쩐지 안 바뀌거나 더 곪는 듯하다고 느끼는 까닭을 제대로 짚으면서, 무엇을 바꾸어야 하는지 참하게 깨달을 테지요.


ㅍㄹㄴ


“일하시느라 바쁜 건 알겠지만, 그건 그거고 이건 이거죠! 어린 시절의 추억은 평생 남는 법이잖아요. 항상 바쁜 아빠가 일요일 아침에는 같이 있어 준다면, 따님에게는 평생 못 잊을 추억이 될 거예요.” (60쪽)


“그 얘기, 사장님은 아실까요?” “당연히 다 알고 있었겠지.” “그럼 왜 해고한 거죠?” “얘기해 보니까 알겠어. 저 사람은 작업량 세듯이 엔지니어를 숫자로 보는 사람이야. 우리 엔지니어의 목소리를 들을 리 없지.” (99쪽)


“훼방꾼 때문에 굳이 멈춰서는 건 어리석은 짓이에요. 다른 길을 찾아야죠. 조금 먼 길이 될지도 몰라요. 그래도 멈춰서는 것보다는 멀리 갈 수 있어요. 저도 그랬으니까요.” (147쪽)


#え社內システム全てワンオペしている私を解雇ですか #伊於 #下城米雪


+


《네? 사내 시스템을 전부 혼자 관리하는 저를 해고한다구요? 1》(카시로메 유키·이오·icchi/박용국 옮김, 씨엘비코믹스, 2025)


아무나 오라고 하기 마련인데

→ 아무나 오라고 하게 마련인데

43쪽


정말 최선을 다할 때는 성별은 상관없어요

→ 참말 온힘을 다할 때는 누구든 되어요

→ 참말 온땀을 다할 때는 누구나 안 가려요

143쪽


훼방꾼 때문에 굳이 멈춰서는 건 어리석은 짓이에요

→ 눈엣가시 때문에 굳이 멈춰서면 어리석어요

→ 가로막는대서 굳이 멈춰서면 어리석어요

147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늑대의 딸 3 - 루나 코믹스
코다마 유키 지음, 정우주 옮김 / ㈜소미미디어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7.10.

만화책시렁 757


《늑대의 딸 3》

 코다마 유키

 정우주 옮김

 소미미디어

 2025.6.18.



  모든 사람은 다르지만 같습니다. 모든 사람은 다르기에 숱한 숲빛입니다. 모든 사람은 같으니 하늘빛입니다. 누구나 숲빛과 하늘빛을 나란히 머금으면서 온누리에서 어울립니다. 우리는 엄마나 아빠만 있으면 못 태어나요. 엄마아빠가 나란하기에 태어납니다. 사람뿐 아니라 뭇숨결도 암수가 나란하기에 두 빛을 하나로 모아서 새롭게 반짝이는 씨앗으로 새몸을 입습니다. 《늑대의 딸 3》을 읽습니다. 첫걸음에서는 늑대하고 사람이 숲과 마을 사이에서 어떻게 어울리는가 하는 길을 찾는가 싶었으나, 두걸음에서는 짝짓기로 아주 길을 잃고, 석걸음은 무리짓기로 뻗으면서 아주 길을 잊습니다. ‘늑대딸’은 늑대이면서 사람입니다. 사람딸은 사람이면서 별빛입니다. 어느 하나만 품어야 ‘수수’하지 않습니다. 둘을 나란히 품기에 수수하면서 숲이요, 둘을 하나로 어우르기에 반짝이면서 하늘입니다. 마치 보임꽃(영화·연속극)처럼 줄거리를 짜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그저 아이를 보고, 그저 숲을 보고, 그저 숨결과 사람과 늑대를 보고, 그저 별빛과 씨앗을 보고, 그저 오늘 이곳에서 지을 사랑을 바라볼 노릇입니다. 볼 곳을 안 보니까 길을 잊고 잃어요. 바라볼 곳을 안 보기에 자꾸 남을 쳐다보고 구경하다가 자빠집니다.


ㅍㄹㄴ


“엄마가 원하는 건 평범한 딸이고, 평범한 가족인데, 늑대인간인 저는 그에 보답할 수 없어요. 어릴 적부터 엄마를 슬프게 하고 싶지 않아서 평범한 인간인 척 해왔지만, 이제 무리예요.” (13쪽)


‘겨울의 숲은 이렇게나 조용하구나.’ (110쪽)


“잔뜩 떠들었네요. 셋이서 떠들썩하게 밥을 먹을 수 있어서 기뻤던 걸까?” (157쪽)


#狼の娘 #小玉ユキ


+


《늑대의 딸 3》(코다마 유키/정우주 옮김, 소미미디어, 2025)


오늘은 전정(剪定)을 할 거야

→ 오늘은 가지를 쳐

→ 오늘은 가지를 잘라

→ 오늘은 가지를 끊어

20쪽


익숙해지는 게 중요하네요

→ 꼭 익숙해야겠네요

→ 익숙하게 해야겠네요

40쪽


겨울의 숲은 이렇게나 조용하구나

→ 겨울숲은 이렇게나 조용하구나

→ 겨울은 이렇게 숲이 조용하구나

110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다치 츠토무 이야기 2 - 아다치 미츠루를 만화가로 만든 남자
아리마 타케시 지음, 한나리 옮김 / 미우(대원씨아이)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7.10.

만화책시렁 759


《아다치 츠토무 이야기 2》

 아리마 타케시

 한나리 옮김

 미우

 2023.9.30.



  낫질을 하려면 먼저 낫날을 잘 갈아야 합니다. 낫날이 하얗게 반짝이지 않으면 제대로 그을 수 없어요. 낫은 풀포기 밑동을 슥슥 그으면서 벱니다. 그런데 낫날이 무디면 슥슥 그을 수 없어서 억지로 힘을 써야 하고, 이럴 적에 으레 다칩니다. 붓질을 하려면 먼저 붓끝을 다스려야 합니다. 붓끝이 풀어지면 제대로 못 그려요. 남들이 하듯 그리거나 써야 하지 않습니다. 다만 내 나름대로 쥐는 붓끝이어도 붓을 옳게 건사할 노릇입니다. 《아다치 츠토무 이야기 2》을 읽었습니다. 모두 여섯걸음으로 나왔습니다. 동생 ‘아다치 미치루’가 그림꽃길을 걷도록 이바지한 언니인 ‘아다치 츠모투’라지요. 붓을 쥐면 온힘을 쏟아붓되, 붓을 놓으면 하염없이 놀고먹는 삶이었다고 합니다. 일과 놀이 모두 온힘을 쏟아부은 셈입니다. 일하는 사람은 일만 온힘을 쏟지 않아요. 언제나 모든 곳에 온힘을 들이기에 일터에서도 반짝일 수 있습니다. 한여름이 무르익는 7월에 낫을 갈아서 풀을 베었습니다. 뙤약볕을 고스란히 받으면서 천천히 슥슥 긋습니다. 낫질이 지나가는 자리는 조용합니다. 누운 풀포기 옆에서 머잖아 새롭게 어린풀이 돋을 테지요. 풀은 자라고 새로 자랍니다. 이야기도 자라고 새로 자랍니다. 일놀이도 언제나 새롭게 자랍니다.


ㅍㄹㄴ


“원래 무일푼 인생에서 시작했어. 원점으로 돌아온 것뿐! 다시 벌면 돼!” (17쪽)


“그러니 스스로 마감일을 정하고, 그걸 지켜야 해. 제일 쉽지만 제일 어렵지. 안 그래, 미츠루?” “글쎄.” (61쪽)


“만화가도 마찬가지야! 하지만 재능의 한계와 가난한 생활을 버티지 못하고 고향에 내려가지! 그게 꼭 나쁜 것도 아냐. 자신에게 맞는 일을 찾으면 되니까.” (68쪽)


#あだち勉物語 #あだち充を漫畵家にした男 #ありま猛著 #あだち充


+


《아다치 츠토무 이야기 2》(아리마 타케시/한나리 옮김, 미우, 2023)


현실파악 못 하셨죠?

→ 똑바로 못 보셨죠?

→ 거울 안 보셨죠?

→ 그대로 못 보셨죠?

20쪽


최근 도게자를 더 악질적으로 써서

→ 요새 무릎빌기를 더 마구 써서

→ 요즘 무릎절을 더 고약하게 써서

30쪽


이번 회의는 보이콧 하겠습니다

→ 이 모임은 안 하겠습니다

→ 이 자리는 손사래하겠습니다

84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외톨이의 지구 침략 5
오가와 마이코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16년 6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7.8.

책으로 삶읽기 1024


《외톨이의 지구 침략 5》

 오가와 마이코

 김시내 옮김

 학산문화사

 2016.6.25.



《외톨이의 지구 침략 5》(오가와 마이코/김시내 옮김, 학산문화사, 2016)을 돌아본다. 위(나라)에서 시킨 대로 잘 따르려고 하던 아이는 마감을 지키지는 못 하였어도, 위에서 시킨 대로 해냈다. 그러나 마감을 못 지켰다고 여기는 윗자리인 터라, ‘똑같이 끝’으로 바라본다. 그야 그렇겠지. 위·나라·힘꾼은 사람을 안 바라보니까. 그들은 사람이 아닌 ‘위·나라·힘꾼’만 바라보니까. 이 얼거리는 예나 이제나 매한가지이다. 책에만 나오는 이야기이지도 않다. 우리가 스스로 뒤집어쓰는 굴레이기도 하다.


ㅍㄹㄴ


“거기에 휩쓸리지 말아라. 체험한 현실이 쌓이고 쌓여서 지금의 네가 있다. 네 현실은 자신의 몸 안에 있어.” (26쪽)


“이 별의 물건은 단 하나도 가지고 돌아가선 안 돼.” “단 하나도요?” (81쪽)


“그는 이미 지구상에 없어. 존재하지 않아. 그가 있었다는 증거는 이미 그렇게 생각하는 우리의 기억밖에 없어.” (105쪽)


‘이것도 우주선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110쪽)


#ひとりぼっちの地球侵略 #小川麻衣子


+


낙제를 받지 않고 사회에 도움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됐을 때 고민해요

→ 안 꿇고 둘레를 돕고 싶다는 생각을 할 때 걱정해요

→ 안 떨어지고 이웃을 돕고 싶다는 생각을 할 때 걱정해요

17쪽


지금 이 마을을 선배가 수복했다는 거나

→ 오늘 이 마을을 언니가 되찾았다거나

→ 바로 이 마을을 누나가 되살렸다거나

25쪽


풍향계는 마침내 제방향을 가리켰어

→ 바람개비는 마침내 제곳을 가리켜

27쪽


기일은 다음 일요일 밤

→ 그날은 다음 해날 밤

→ 날짜는 다음 해날 밤

81쪽


좋은 만남을 아주 많이 가졌습니다

→ 즐겁게 온갖 사람을 만났습니다

→ 숱한 사람을 기쁘게 만났습니다

→ 숱한 사람을 만나며 기뻤습니다

83쪽


나랑 닮은 아이, 동일인물일까

→ 나랑 닮은 아이, 한또래일까

→ 나랑 닮은 아이, 또래일까

→ 나랑 닮은 아이, 같은사람일까

121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외톨이의 지구 침략 4
오가와 마이코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7.8.

만화책시렁 758


《외톨이의 지구 침략 4》

 오가와 마이코

 김시내 옮김

 학산문화사

 2015.11.25.



  “사람은 바꿀 수 없다”고 말하기도 하지만, “스스로 바꾸려는 사람은 늘 바뀌”고, “스스로 가두려 하는 사람은 늘 갇힌 채 안 바뀌”게 마련이라고 느껴요. 나라(사회·정부)는 사람들을 가두어서 “스스로 바뀔 수 없다”는 굴레를 마음에 뒤집어씌우려고 하고요. 잘못을 저질렀으면 하나하나 털고 씻으면 될 뿐이지만, “잘못을 아예 저지르면 안 된다는 굴레”에다가 “잘못을 저지르면 죽는 날까지 나쁜놈이라는 굴레”에다가 “잘못씻이·잘못털이란 있을 수 없다고 길들이는 굴레”가 가득한 오늘날 나라이기까지 하다고 봅니다. 《외톨이의 지구 침략 4》을 봅니다. 푸른별을 가로채려던 아이는 마침내 뜻을 이루는가 싶었으나 끝내 뜻을 못 이루면서 외톨이가 된다지요. 그런데 옛별을 떠나서 이웃별을 가로채려는 뜻을 키울 무렵부터 이미 외톨이였다고 할 만합니다. 옛별을 떠나야 한다면 이웃별로 쳐들어가서 빼앗으려는 바보짓이 아니라, 여러 이웃별로 조금씩 흩어지면서 먼 뒷날 다시 어울릴 길을 그릴 노릇이거나, 옛별이 망가지지 않도록 돌보는 길을 갈 노릇입니다. 살리고 북돋우려는 마음을 안 키우니 못 살리고 못 북돋웁니다. 빼앗아서 가로채려는 마음만 키우니 사납게 치고박는 굴레로 나아갑니다. 바꿀 수 없는 길이란 없게 마련이기에, 무엇을 바꾸려는지 생각할 때라야 눈을 뜹니다.


ㅍㄹㄴ


“가까운 장래에 진실을 확인해야 할 때가 올 게야. 괴로운 결단을 내려야 할 테지만, 그걸 내릴 강한 의지가 네게 있기를 기도하마. 힘내거라. 운명에 지지 않도록, 어린 지구인이여.” (23쪽)


“숲속에 이런 곳이 있었구나. 이렇게 추운데 꽃이 피어 있어.” (118쪽)


“내 가슴에는 이미 본래 심장은 없지만, 대신 그 감촉이 남아 있거든. 그게 가슴을 채워준 덕분에 오늘까지 살아올 수 있었어.” (188쪽)


#ひとりぼっちの地球侵略 #小川麻衣子


+


《외톨이의 지구 침략 4》(오가와 마이코/김시내 옮김, 학산문화사, 2015)


천리안만이 아니다. 시간의 실마저도 꿰뚫어보지

→ 먼눈만이 아니다. 하루라는 실마저도 꿰뚫어보지

→ 밝눈만이 아니다. 사잇실마저도 꿰뚫어보지

22쪽


뭔가가 일어났고 누군가가 있었어

→ 뭐가 일어났고 누가 있었어

→ 무슨 일이 있고 누가 있어

→ 무슨 일과 누가 있었어

180쪽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