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수다꽃, 내멋대로 59 그만두다



  쉰 살에 이른 나한테 어느 분이 묻는다. “어릴 적에 어떻게 보내셨어요?” 나는 어린날을 늘 떠올리지만 늘 생각조차 않는다. 앞뒤 어긋난 말 같지만, 늘 두 가지를 나란히 한다. 어제하고 오늘하고 모레는 늘 같기에, 오늘을 바라볼 적에 늘 모레가 나타나면서 어제가 피어난다. 어릴 적에 무엇을 하며 놀거나 일하거나 꿈을 그렸는지 바로 되새기면서, 오늘 무엇을 하며 놀거나 일하거나 꿈을 그리는지 곧장 생각하고, 이동안 모레에 무엇을 하며 놀거나 일하거나 꿈을 그리는지 어느새 눈앞에서 하나둘 본다. “저는 어린날에 늘 얻어맞으면서 살았어요. 막말(욕)도 오지게 들었어요. 어린날에 대여섯 해쯤 몹쓸짓(성폭력)에 시달리기도 했어요. 어린날에는 ‘죽고 싶다. 죽어야겠다’는 마음이 늘 감돌았어요. 날마다 ‘죽고 싶다. 죽어야겠다’ 하고 울지 않았어요. 모든 때, 그러니까 1분 1초 모든 때에 ‘죽고 싶다. 죽어야겠다’고 느꼈어요. 그런데 이런 마음일 적마다 둘레에서 ‘그럼 내가 널 죽여 줄까?’ 하는 소리가 들리더군요. 보는 사람도 있고 못 보는 사람도 있는데, 우리 둘레에는 온갖 깨비(귀신)가 늘 도사려요. 우리가 스스로 엉큼하거나 어둡게 스스로 죽일 적에는 바로 이 깨비가 속삭이면서 홀리려고 하지요. 깨비가 나를 죽여 주겠다고 할 적마다 ‘아냐! 난 죽을 수 없어! 난 죽지 않겠어!’ 하고 외쳤고, 이때마다 깨비는 빙그레 웃으면서, 또는 차가운 낯빛으로 사라졌어요. 워낙 날마다 집에서도 마을에서도 배움터에서도 얻어맞고 막말에 시달리는 나날이었는데, 열다섯 살에 이르러 드디어 이런 굴레를 스스로 떨치는데, 열다섯 살까지 굴레살이를 하면서도 ‘굴레’라고 여기지 않았어요. 집 안팎에서 저를 모질게 괴롭히고 못살게 굴 적마다 ‘내 몸은 내가 아니야. 내 몸은 내가 입은 그릇이야. 그런데 너희가 이 그릇을 아무리 들볶고 괴롭히고 장난을 치더라도 그릇은 다치지 않아. 너희는 껍데기를 만지작거릴 뿐이거든.’ 하고 여기면서 지나갔어요. 견디지 않았습니다. 버티거나 참지 않았어요. 어린날에는 ‘유체이탈’이란 말을 몰랐는데요, 어린날에 시달리고 들볶이는 동안 ‘몸벗기(유체이탈)’를 했어요. 날마다 뻔질나게 했습니다. 얻어맞거나 막말을 듣거나 몹쓸짓에 시달릴 적마다, 제 넋은 몸을 벗어났어요. 저를 괴롭히는 이들 머리 위로 붕 떠올랐어요. 그들은 제 넋이 몸에서 나와 하늘에 붕 뜬 줄 하나도 모르더군요. 저는 하늘에 뜬 채 그들이 무슨 짓을 하는지 곰곰이 지켜보았어요. 제가 아무리 맞아도 그닥 대꾸도 없으니, 또 멀쩡하게 웃고 뛰놀면서 사라지니, 이튿날에도 또 괴롭히기 일쑤이지만, 언제나 몸벗기를 하면서 어린날을 보냈어요. 저는 어린날에 책을 조금 읽기는 했지만, 책을 읽을 틈이 없었습니다. 어머니 곁에서 집안일을 돕고 심부름을 하고, 어린배움터와 푸른배움터에서 쏟아붓는 무시무시한 짐더미(숙제폭탄)를 붙잡고 울었어요. 밤새워도 다 할 수 없을 만큼 짐더미를 쏟아붓고는, 짐더미를 다 못 했다면서 길잡이(교사)란 놈들이 몽둥이에 따귀에 발길질을 일삼았답니다. 제 어린날은 이렇습니다.” 겉몸을 휘젓거나 괴롭히는 이들은 아마 사랑받은 일이 없다고 여기리라 본다. 그들한테는 떡 하나를 더 주어야 옳다고 느낀다. 예부터 미운아이 떡 하나 더 준다고 하는 말은, 사랑받지 못 한 이웃과 아이가 “넌 늘 사랑받는 삶이요 숨결이란다” 같은 이야기를 온몸으로 맞아들이면서 배울 수 있도록 징검다리를 놓는 조그마한 손길을 나타낸다고 본다. 미운아이를 손가락질하거나 때리거나 굶기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바로 싸움(전쟁)이다. 싸움은 나쁘지 않지만, 싸움만 일삼거나 싸움으로만 치닫는다면, 그들뿐 아니라 우리부터 사랑을 잊고 잃는다. 아마 나는 ‘사랑’이 무엇인지 참답게 배우고 슬기롭게 우리 아이들한테 물려줄 씨앗을 품으려고 ‘어린날’을 보냈다고 느낀다. 그러니까 ‘죽고 싶다’는 마음을 그만두자마자 오직 꿈으로 걸어가는 밤길을 보았고, 밤이란 어두운 때가 아닌, 밤이란 별빛으로 밝고 아름다운 사랑길인 줄 알아차렸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숲노래 말넋

사라진 말 14 처마 2024.9.14.



  처마가 없는 집이 부쩍 늘었기에 ‘처마’라는 말소리를 들은 바 없는 사람이 대단히 많다. 골목집이나 시골집에서 지낸 적이 없으면 더더구나 ‘처마’를 알 길이 없다. ‘초리’처럼 지붕 끝이 살며시 나온 곳인 처마요, 집을 이루는 곳에서 처음인 길로 여길 처마이다. 처마에 붙여서 ‘처마종’이다. 처마종은 바람이 불면 살살 춤을 추면서 소리를 낸다. 처마에 붙인 작은 쇠라서 ‘처마쇠’이고, 꽃이나 새나 물고기 모습으로 꾸며서 ‘처마꽃·처마새·처마물고기’이다. 처마끝에서 모이며 떨어지는 물이니 ‘처맛물’이다. 처마를 모르는 탓에 ‘낙숫물(落水-)’ 같은 겹말을 잘못 쓰는 분이 제법 있다. 한자말 ‘낙수 = 떨물·떨어지는 물’이기에, ‘낙수 + 물’처럼 쓸 수 없다. 비가 오면 빗방울이 처마에 부딪히고 모이면서 떨어진다. 처마 밑에 서면 비를 긋는다. 제비는 처마 밑에 둥지를 짓는다. 참새는 아예 처마 둘레에 구멍을 내어 서까래에 둥지를 엮곤 한다. 이제는 굳이 한집(한겨레집)을 지어서 살아야 하지 않으니, 처마가 없는 집에서 살며 처마를 모를 수 있다. 그런데 처마를 조금 내기에 집채가 아늑하다. 처마가 빗물을 튕겨 주기에 집채가 고스란하다. 큰고장에 가득한 ‘아파트·빌라’에는 처마가 아예 없다시피 하기에 바깥담은 늘 눈비에 닳고 햇볕에 삭는다. 집에 처마를 놓으면서 오래오래 건사하는 셈이다. 집에 처마가 있기에 누구나 처마 밑에서 비를 긋거나 해바라기를 하면서 가볍게 쉴 만하다. 처마가 있으니 작은새도 깃들어 노래를 베푼다. 살림자리에서 쓰는 이름 하나가 사라질 뿐일까? 살림을 하는 뜻이 나란히 잊히면서 살림 한켠이 사르르 닳거나 삭아서 사라지는 셈이지 않을까? 처마를 낸 오랜 골목집이나 시골집은 두온해(200년)도 닷온해(500년)도 너끈하지만, 다른 집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숲노래 말넋

사라진 말 13 이름 2024.9.16.



  우리한테는 ‘이름’이 있지만, 곳곳에서 ‘성명(姓名)’처럼 한자를 쓰라고 밀었다. “여기에 손으로 사인(sign)을 하세요”나 “이곳에 수기(手記)로 서명(署名)하세요” 같은 겹말은 아직 사그라들지 않는다. ‘사인·서명’은 ‘이름’을 가리키면서 ‘손으로·스스로’ 하는 몸짓을 담는다. ‘수기 = 손으로 적다’요, ‘서명 = 이름을 적다’이다. 곰곰이 짚자면 처음부터 ‘이름’이라는 낱말과 ‘손으로·스스로’라는 낱말을 쓰면 된다. 우리말로 쉽게 쓴다면 겹말로 잘못 쓸 일이 없고, 어린이부터 알아들을 만하다. 이름을 ‘이름’이라 하지 않다 보니, ‘딴이름·다른이름’을 한자로 ‘별명(別名)’처럼 엮는다. 글을 쓸 적에 붙이는 이름인 ‘글이름·붓이름’을 굳이 한자로 ‘필명(筆名)’처럼 여민다. 이리하여 오늘날처럼 누리집이 새로 뻗는 곳에서는 영어를 끌어들여 ‘아이디(ID)·닉네임(nickname)’을 쓰거나 다른 한자말 ‘계정(計定)’을 쓰기까지 한다. 옛사람은 ‘덧이름’을 ‘호(號)’처럼 한자로 적어야 멋스럽다고 여겼다. 멋스럽게 부르고 싶다면 ‘멋이름’이라 하면 될 텐데, 그만 ‘예명(藝名)’처럼 한자말로 해야 멋지다고 여기기도 한다. 서로 이르는(이야기하는) 소리이기에 ‘이름’이다. 서로 마음으로 이르려고(다가서려고) 하기에 ‘이름’이다. 이름을 부르면서 새롭게 일어난다. 이름을 들려주고 듣는 사이에 뜻을 잇는다. 이름이란 바로 ‘나’이고 ‘너’이다. 이름을 알아가는 동안 이곳에 있는 너랑 나는 새삼스레 어울리면서 한빛을 이룬다. 우리가 쓰는 이름에는 이제부터 일구려는 길이 깃든다. 지난날 임금은 사람들을 다 다른 이름이 아닌 ‘백성(百姓)’ 같은 한자말로 뭉뚱그렸다. 오늘날은 ‘국민(國民)·민중(民衆)·대중(大衆)’으로 뭉뚱그리는데, 우리 이름을 찾아야지 싶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4.11.14.

숨은책 857


《輓近圖法敎科書 卷二》

 馬場秋次郞 글

 右文書店

 1937.6.1.첫/1937.12.20.고침2벌



  숱한 일본한자말 가운데 ‘역할’은 꼭 고쳐써야 한다고 말씀하는 분을 곧잘 만납니다. 그런데 이분은 ‘역할’을 뺀 다른 일본한자말은 오지게 씁니다. 한 낱말만 안 쓰면 일본찌꺼기를 털어낸 셈일까요? 일본이 이 땅을 한참 짓누르던 무렵에 “朝鮮工業技術學校 土木科 壹年 四七號”로 ‘집짓기’를 배우던 분이 쓰던 배움책 《輓近圖法敎科書 卷一·二》가 있습니다. 이분은 1945년 8월까지, 또는 그 뒤로도 한참 ‘金山漢奎’라는 이름을 쓴 듯합니다. 1949년 9월 9일에 이르러 ‘김한규’로 새로 새기는군요. 지난날 ‘조선공업기술학교’는 언제 사라지거나 이름을 바꾸었는지 알 길이 없습니다. 그런데 ‘기술학교’도 ‘토목·토목과’도 ‘일년·이년·삼년’에 ‘1호·47호’ 같은 이름도 죄 일본말씨입니다. 우리는 ‘이름’이란 우리말은 아예 안 쓰다시피 하면서 ‘성명·명·본명’에다가 ‘사인’이란 영어까지 뒤섞어요. 지난날에 뭘 하려면 일본이름(창씨개명)을 써야 했다지만, 다 일본이름을 쓰지는 않았어요. 흙살림을 짓거나 아이를 돌본 수수한 사람은 한이름(한국이름)을 건사했습니다. 들볶이고 짓밟히고 일자리조차 못 얻어도 꿋꿋이 참이름을 지킨 사람도 수두룩해요. 이제 “서울 신당동”으로 바뀐 “京機府 新堂町(1936∼46년)”인데 에 이 책으로 배우던 분은 1950년에 부산으로 옮긴 듯싶어요. 부산 헌책집 〈보수서점〉에서 이분이 보던 책을 한꺼번에 만났습니다.


- 現住所 京機府 新堂町 石山洞 二八-二二號 (서울 신당동)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4.11.14.

숨은책 861


《簡明 實業修身書 券三》

 勝部謙造 글

 英進社

 1938.7.10.첫/1941.7.25.고침3벌



  큰고장에서 시내버스를 탈 적에 어린이·푸름이가 손전화를 크게 켜고서 노닥거리는 모습은 거의 못 봅니다만, 시골에서 군내버스를 탈 적에는 늘 봅니다. 이 아이들은 집에서 뭘 배우기에 이럴까요? 어린배움터·푸른배움터에서는 스스로 매무새를 돌보는 길을 안 가르칠까요? 《簡明 實業修身書 券三》은 일본에서 엮고 내놓았으나 우리나라 배움터에서 버젓이 가르쳤습니다. 1938∼41년은 한참 사슬(식민지)에 갇히던 무렵일 뿐 아니라, 한말·한글을 쓰면 안 되면서 일본말·일본글만 쓰라고 억누르던 즈음이에요. 이 배움책을 보던 분은 뒷자락에 ‘大本營發表’라고 적었습니다. 아무래도 ‘임시정부’ 이야기를 듣기는 어려웠을 테고, 언제나 일본 우두머리 이야기를 들었을 테지요. 더욱이 《實業修身書》는 허울은 ‘몸닦이(修身)’라고 내세우지만, 속으로는 ‘명치천황’이 내려준 ‘칙어’를 받들어서 ‘신일본문화’를 세우자는 뜻을 외칩니다. 일본으로서도 우리로서도 창피한 배움터 민낯일 텐데, 그때에 이런 책을 엮고 가르치고 펴던 이 가운데 누가 잘못을 밝히거나 빌었을는지 궁금합니다. 우리도 일본도 얼룩과 고름을 안 씻은 채 1945년을 맞고서 오늘까지 이르렀다고 느껴요. 스스로 착하고 참하게 서도록 북돋우지 않는 배움터라면 거짓잔치입니다. 종살이를 하라고 길드는 우두머리야말로 거짓머리예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