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4.10.10. 롱롱롱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모든 말은 재미있고, 모든 말을 이루는 모든 삶은 즐겁습니다. 울 적에는 눈물이 즐겁고, 웃을 적에는 웃음이 즐겁습니다. 하룻밤을 부천에서 보내는 가을에 대롱대롱하다가 떨어지는 가랑잎을 보고, 먹이가 만만하지 않을 텐데도 노래하는 새를 봅니다. 어질게 이끄는 어른 곁에서 초롱초롱 눈빛으로 하루를 누리는 어린이를 만납니다. 먼마실로 이야기밭을 가꾸는 일을 마치고서 고흥으로 돌아오는 몸은 해롱해롱입니다. 가을이 깊으면서 배롱꽃은 모두 떨어지고 나뭇가지가 앙상하게 바뀝니다.
우리말에 ‘롱’으로 여는 낱말은 없지만, 대롱·초롱·해롱·배롱처럼, 끝을 맺는 ‘-롱’은 여러 낱말입니다. 한글날이 지나가고, 글바치 한강 씨는 노벨상(또는 다이너마이트 문학상)을 받습니다. 문득 생각합니다. 숱한 글바치는 예전에 ‘고은·이문열·황석영’이 우리나라 노벨상감이라고 추켜세웠는데, 저는 예전부터 그들이 아닌 ‘신동엽·고정희·최명희·이원수·임길택·권정생·김남주·유미리·김석범’ 같은 이들이 노벨상하고 어울릴 텐데 하고 여겼습니다.
그러나 문학상보다는 그저 글을 글로 마주하고 책을 책으로 품을 수 있는 길을 그립니다. 여태까지 신동엽이나 고정희를 영어나 프랑스말이나 독일말이나 스웨덴말로 얼마나 옮겼을까요? 최명희나 이원수를 이웃말로 얼마나 옮겼을까요?
우리나라에 배구선수 김연경 씨와 배드민턴선수 안세영 씨가 있습니다. 김연경 씨하고 안세영 씨는 배구밭과 배드민턴밭 고인물과 고름이 무엇인지 밝히면서 터뜨리려고 나섰습니다. 비록 노벨상을 받기는 하되, 한강 씨는 우리나라 글밭(문학계) 고인물과 고름을 밝히면서 터뜨리려고 몇 마디를 들려준 적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아니, 들은 바 없고, 본 바 없습니다.
노래하던 고정희 님이 노벨상을 받았다면, 어떤 목소리를 틔웠을까요? 붓에 온넋을 바치다가 이슬로 떠난 최명희 님이 노벨상을 받았으면, 어떤 목소리를 나즈막이 속삭였을까요? 낫 놓고 풀벨 줄 모르는 글바치를 나무라던 김남주 님이 노벨상을 받을 수 있었으면, 어떤 말씨앗을 새록새록 심었을까요? 대롱대롱, 초롱초롱, 해롱해롱, 배롱배롱, 가을이 깊습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