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부산한 부산 (2024.1.19.)

― 부산 〈스테레오북스〉



  마산에 있는 이웃님이 낸 어느 책을 2018년에 읽다가 ‘마산 산복도로’를 적은 대목에서 놀란 적 있습니다. ‘산복도로’는 부산에 있는 언덕마을을 가리키는 이름이라고 여겼는데, 나라 곳곳에 더 있더군요. 제가 나고자란 인천에 있는 비탈진 골목마을은 ‘언덕·언덕배기’라든지 ‘재·고개’ 같은 이름을 씁니다. ‘산복(山腹)’에 ‘도로(道路)’를 붙인 일본스런 한자말은 ‘고개·고갯길·고갯마루’나 ‘비탈·비탈길’이나 ‘언덕·언덕길’이나 ‘재·잿길’이나 ‘멧길·묏길’로 고쳐쓸 만합니다.


  낱말책을 쓰는 몸이어도 아직 못 잡아채거나 모르는 낱말이 수두룩합니다. 늘 새로 맞이하면서 배웁니다. 언제나 새로 가다듬고 다독입니다. 지난 한 해에는 쉴 겨를이 빠듯한 채 일손을 잡았고, 올해에는 쉬엄쉬엄 하자고 여기며 부산마실을 합니다. 오래나무 한 그루가 오래마을과 오래집을 품는 결을 헤아리면서 노래를 쓰고 글자락을 여밉니다. 처음에는 씨앗 한 톨이고, 이내 어린나무요, 곧 푸른나무에, 여러 또래나무하고 어울리면서 숲나무를 이룹니다.


  모든 일에서 즐겁고 기쁘게 마련입니다. 또 모든 일에서 아쉽고 서운할 수 있어요. 즐겁거나 서운할 적에 갈마드는 마음에 따라, 다 다른 말이 태어나고, 이 다른 말을 달래면서 사투리가 차츰차츰 자란다고 느낍니다.


  복닥이는 칙폭길로 부전나무까지 달립니다. 이른새벽부터 왜 그런지 길이 막혀 버스를 놓치기도 했지만, 그러려니 지나갑니다. 문득 ‘부산하다’라는 우리말을 곱씹으면서 〈스테레오북스〉로 걸어갑니다. ‘부’가 밑동이고, ‘붐비다·북적이다·부대끼다·부리나케’하고 잇습니다. ‘부글부글·바글바글’에 ‘불다·붓다·붇다·붙다’도 맞닿아요. 그리고 ‘불·부아·뿔’도 얽히지요. 이 곁에는 ‘부지런·바지런’도 어울립니다. 이쯤 펼치면 ‘부산하다’를 알 만할까요?


  한자로 가리키는 ‘부산’이라는 이름도 있으나, 이곳은 어쩐지 우리말 ‘부산하다’가 어울리지 싶습니다. 북적이고 불타는 마음도 붇되, 부지런하고 바지런히 살림을 짓는 터전인걸요. ‘부·바’가 맞닿기에 ‘붉다·밝다’도 얽혀요. 불은 타오르기도 하면서, 밝히기도 합니다.


  책집마다 책손님이 붐벼도 나쁘지 않습니다. 마을책집이 북적북적 책수다로 물결쳐도 즐겁습니다. 숲에 뭇나무가 어우러지면서 푸르고 아름다우며 푸근하듯, 책터마다 뭇책과 뭇수다와 뭇살림을 아우른다면 새롭고 사랑스러우며 넉넉하지 싶어요. “더 많이”가 아닌 ‘오붓·가붓’ 만나면서 봉긋 돋는 봄꽃이면 맑고 밝아요.


ㅅㄴㄹ


《집앞목욕탕 vol.2》(매끈목욕연구소 편집부, 싸이트브랜딩, 2023.11.10.)

《달걀과 닭》(클라리시 리스펙토르/배수아 옮김, 봄날의책, 2019.6.24.)

#O Ovo e a Galinha 1960년

《피아노 시작하는 법》(임정연, 유유, 2023.4.14.)

《그때, 우리 할머니》(정숙진·윤여준, 북노마드, 2016.12.12.첫/2019.10.10.5벌)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우리말꽃 (2024.3.16.)

― 부산 〈카프카의 밤〉



  부산 동광동에서 연산동까지는 12킬로미터 즈음입니다. 두바퀴를 달리면 30분일 텐데, 87번 버스를 타니 한 시간 길입니다. 우리말로는 ‘고갯길’이고, 일본말로는 ‘산복도로’인데, 고갯길을 굽이굽이 지나면서 마을빛을 새삼스레 느낍니다. 예전에 부산까지 두바퀴를 끌고 찾아갔을 적에 이 언덕배기를 넘었구나 하고도 생각하고, 두 아이를 이끌고 부산마실을 하며 거닐던 골목을 살펴봅니다.


  둘레에서 늘 묻습니다. “아니, 누리책집에서 사면 집까지 바로 갖다 주고, 더 쌀 텐데, 왜 품을 들이고 힘들게 책집까지 사서 온돈을 다 치르시오?” 저는 시골에서 사니 누리책집에서 사는 책도 있습니다만, 이웃고을로 마실을 갈 적에는 기쁘게 굽이굽이 골목골목 돌면서 천천히 바람을 쐬는 하루를 받아들이는 책숲마실을 합니다. 누리책집에서 사는 책이란, 줄거리만 읽는 길입니다. 다리품을 들여서 온돈을 들이는 책집마실이란, 책을 읽고 짓고 나누는 마음이 어떤 마을에서 어떤 꿈으로 피어나는 어떤 사랑인지를 느끼는 길입니다.


  오늘 14시부터 〈카프카의 밤〉에서 이야기꽃이 있기에 일찌감치 찾아갑니다. 일찍 찾아가야 책집을 돌아보면서 ‘밤에 읽고, 이튿날 고흥 돌아가는 버스에서 읽을 책’을 장만할 수 있거든요. 그런데 오늘은 좀 느슨히 여시는 듯해요. 그래서 〈카프카의 밤〉하고 가까운 헌책집 〈글밭〉으로 가서 느긋이 책빛을 누립니다. 이러고서 〈카프카의 밤〉으로 돌아옵니다.


  말 한 마디는 늘 노래입니다. 노래인 말자락을 누리면서 스스로 환합니다. 하늘에서는 해가 웃고, 땅에서는 내가 웃습니다. 온하루를 너랑 내가 새롭게 하나인 우리를 이루는 살림으로 퍼지면서 따뜻합니다. 잇고 익고 읽고 있으니 품습니다.


  부산 이웃님하고 둘러앉아서 함께 ‘5분 만에 노래짓기(시창작)’를 즐기고, ‘책’이라는 낱말을 우리말로 어떻게 풀어낼 만한지 들려줍니다. ‘채·채다·채우다·챙기다’를 비롯해 ‘차리다·차다·참·참하다·착하다’에다가 ‘ㄱ·가다·감·곰·검’이 어우러진 숨결로 ‘책’을 바라볼 수 있습니다. 한자로 ‘冊’을 보아도 되고, 우리 나름대로 ‘채’하고 얽힌 수수께끼를 찾을 만합니다.


  오늘 새벽은 동광동 까마귀떼가 노래로 깨워 주었습니다. 새벽에 몇 줄을 쓰고서, 87번 버스를 타며 책집으로 가는 길에 매듭을 지은 노래가 있습니다. ‘바다·밤·밭·바람’이 어떤 말밑으로 만나는지를 풀어내면서 책집을 기리는 글자락을 여미어 보았습니다. 예전에는 책집마실을 하면서 찍은 빛꽃을 종이로 뽑아서 드렸고, 요새는 이 책집이 이 살림터에서 어떤 숲빛인지 노래로 써서 건넵니다.


ㅅㄴㄹ


《라면 먹고 갈래요》(하마탱, 인디페이퍼, 2022.7.15.)

《점심 시집》(프랭크 오하라/송혜리 옮김, 미행, 2023.5.25.)

#LunchPoems #FrankOHara

《공무원으로 살아남기》(김수연, 이비락, 2023.12.12.)

《꽃가람 2》(김윤숙·곽민서 엮음, 현대문화, 2024.2.8.)

《야성의 부름》(잭 런던/박성식 옮김, 다빈치, 2023.11.11.)

《우리말꽃》(최종규, 곳간, 2024.1.31.)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uperSalome 2024-03-19 12: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부산이 고향이지만 해외에 거주하다보니 늘 그립습니다. 글에서 고향냄새 풀냄새 그득 느끼고 가요, 좋네요~ 참 그리고 산복도로라는 말 이제 사용하지 말아야겠어요… 감사합니다❤️

숲노래 2024-03-19 13:13   좋아요 0 | URL
몇 해 앞서까지 저도 그냥그냥 ‘산복도로‘라는 말을 썼어요. 부산에만 있는 고갯마을 이름이겠거니 여겼어요. 그런데 마산이 고향인 이웃님이 ˝마산에도 산복도로가 있는데?˝ 하시더군요.

마산 이웃님 말씀을 듣고서 ‘산복도로‘란 이름이 언제 어떻게 생겨서 자리잡았는지 헤아리니, ‘고개‘나 ‘재‘나 ‘언덕‘이나 ‘비탈‘을 일본스런 한자말로 ‘산복‘이라 하고, 일본에 ‘산복도로‘가 있으며, 이 이름이 우리나라로 고스란히 들어온 셈이더군요.

사전을 쓰는 몸입니다만, 저도 아직 놓치거나 모르는 낱말이 수두룩합니다.

부산은 그야말로 부산스럽게 싱그러운 고장이라고 느껴요. 머잖아 고향마실을 하시면서, 푸릇푸릇 즐거우시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고맙습니다 ^^
 


.

#숲노래마실꽃 2024.3.17.


3월 15일 #곳간 #살림씨앗

3월 16일 #카프카의밤 #우리말꽃


이렇게 두 가지를 펴고서

부산에서 고흥으로 돌아간다.


#언제나처럼

#길에서 #시쓰기 를 하고,

나는 #노래짓기 를 한다고 여긴다.


타고난 #노래바보 이지만

아이들한테 노래를

10년 남짓 날마다 14시간쯤

불러주며 살았더니

노래(시)를 어떻게 써서

우리 아이랑 이웃 아이랑

둘레 모든 어른 이웃한테

어떻게 들려줄 적에

서로 빛나는가를

헤아릴 수 있더라.


기다리면서 그런다.

#혀짤배기 이지만 노래하며

스스로 웃었다.


#이오덕읽기모임 을

아마 4월이나 5월부터

또는 올해부터 부산에서

펴리라 본다.


2018년에 #이오덕마음읽기 를

책으로 낸 뒤에 바로 펴러 했지만

돌림앓이에 휩싸인 나라에서

우리는 스스로를 가두었다.


그래서 나는

고요히 고치를 트는 애벌레가 되어

#날개돋이 로 눈뜰 날을

그리며 기다렸다.


#꽃이피어야 (이웃님이 꽃눈을 떠야)

나비도 깨어나서 꽃가루받이를 한다.


#누구나꽃이다

다만 우리는

"설마 나 같은 사람도 꽃이라고?"

하고 여길 뿐이다.


#이오덕 어른이 남긴

#어린이는모두시인이다 란 말은

"어른몸으로 큰 사람도 누구나 시인이라는 뜻이다.


순천 거쳐 고흥으로 간다.

이제는 여름볕이다.


곧 민소매를 입어야겠다.


2007년을 마지막으로

나룻(수염)을 그냥 두었는데

2024년에

열네 해 만에

나룻을 밀어 보았다.


거울 없고 안 보는 사람이

오랜만에 한참 거울을 보았다.

#나룻칼 에 베일까 봐... ^^;;;;

#숲노래 #숲느래노래꽃 #나래빛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거울 (2022.5.24.)

― 인천 〈시와 예술〉



  우리가 문득 만나서 손에 쥐는 책 하나는, 언제나 새롭게 둘레를 느끼고 맞아들이라고 이끄는 자그마한 빛줄기일 듯싶습니다. 이 책은 이렇게 보여주고서 밝힙니다. 저 책은 저렇게 들려주고서 속삭입니다. 그 책은 그렇게 알려주고서 노래합니다. 더 많이 읽히지만 길잡이하고 먼 책이 있다면, 아직 덜 읽히지만 어진 키잡이 노릇인 책이 있습니다. 사람들이 북적이는 서울에 맞추어 줄거리를 짜는 책이 있고, 곧 사라질 수 있는 시골을 헤아리며 이야기를 여미는 책이 있어요.


  어떤 줄거리이느냐는 대수롭지 않습니다. 누구나 알 만하기에 슥 보아넘길 일이지 않아요. 어린이부터 알아보도록 묶는 줄거리이기에 더 차근차근 새기면서 나눌 살림길을 익힐 수 있어요. 온사랑을 다하는 하루를 담는 줄거리라면 되읽고 곱새기면서 마음을 일구는 밑거름으로 삼을 만합니다.


  적잖은 책은 잘팔리기를 바라는 뜻으로 나오더군요. 잘팔려도 좋을 텐데, ‘좋다’란 낱말은 ‘좁다’하고 말밑이 같아요. “좁게 보기 = 좋게 보기”입니다. 마음에 든다는 뜻인 ‘좋다·좋아하다’는 “온누리를 두루 보는 눈썰미가 아닌, 어느 곳만 좁게 보며 받아들이려는 매무새”예요. “잘팔리면 좋은걸 = 온누리를 두루 넓게 깊이 안 보더라도, 내 마음에 들면 그만”인 굴레로 치닫곤 합니다.


  골목빛을 헤아리면서 〈시와 예술〉에 깃듭니다. “하루를 보내는 삶”이 아닌 “살림을 짓는 삶”을 생각하면서 이웃집을 바라봅니다. 나부터 스스로 하루그림과 살림그림을 헤아리고, 마음을 돌보는 씨앗을 이웃한테 건네려고 합니다. 책이란, 서로 새롭게 잇는 길을 찾아나서는 ‘읽몫’이요 ‘읽목’이지 싶어요. 읽으며 나누는 몫입니다. 읽으며 나아가는 목입니다.


  마음으로 만나는 하나인 넋일 수 있다면, 언제 어디에서나 어느 이웃 눈물도 생채기도 멍울도, 또 웃음과 노래도 고루 느끼며 나누게 마련입니다. 들꽃을 마주하듯 이웃을 맞이하고 어린이를 바라볼 적에는, 늘 사랑과 숲 두 가지를 왼손과 오른손에 놓고서 함께 노래하는 하루로 피어나면서 빛나지 싶어요.


  못물도 냇물도 바닷물도 우리 얼굴과 마음을 비추는 거울입니다. 작은 빗방울과 이슬방울과 눈물방울도 우리 넋과 숨결을 담는 거울이에요. 겉모습에 서린 숨소리를 읽습니다. 겉낯에 감도는 숨빛을 들여다봅니다.


  살갗은 몸을 감싸면서 보듬습니다. 아주 얇은 가죽인데 속살을 지키고 뼈와 힘살이 맞물려 움직이도록 북돋웁니다. 책은 매우 얇은 종이에 이야기를 담습니다. 얇고 가볍지만 삶과 살림과 사랑을 부드럽게 달래면서 이야기를 이어줍니다.


ㅅㄴㄹ


《anywhere words》

《unspolen words》(Jung A Kim, 김정아, 2017)

《착하게 살아온 나날》(조지 고든 바이런 외/피천득 옮김, 민음사, 2018.6.1.)

《Birds in a Book》(Lesley Earle 글·Rachel Grant 그림, Abrams Noterie, 2019.)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마실꽃 2024.3.14.


#순천으로 #문방구마실 나온다.


시외버스에서 큰아이한테

#천막의자두가르 를 건넨다.

17살 맞은 아이랑 만화책

함께 읽고 생각을 나눈다.


#순천책집 #마을책집 인

#취미는독서 에 들러서 숨돌린다.

볕이 가득하다.


모두들 이 볕을 누리면서

새하루 노래하기를 빈다.

#나래빛 #숲노래동시 #숲노래노래꽃


버스에서 쓴 노래는 책집지기님한테

드렸다. #숲노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