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큰걸음도 작은걸음도 아닌 (2023.9.15.)

― 인천 〈아벨서점〉



  한꺼번에 다 푸는 일이 있을 테지만, 삶이란 하나씩 풀어가며 조금씩 배우면서 천천히 눈을 뜨기에 즐겁습니다. 겨울이 끝나는 첫봄에 모든 꽃이 한꺼번에 핀다면, 한봄하고 늦봄에는 아무 꽃이 없고, 첫여름이며 한여름이며 늦여름에도 아무 꽃이 없으며, 첫가을하고 한가을하고 늦가을에도 아무 꽃이 없을 테지요.


  그러나 꽃은 철 따라 새롭습니다. 첫봄꽃하고 한봄꽃이 다르고, 첫가을꽃하고 늦가을꽃이 달라요. 겨울을 앞둔 철에 피는 멧노랑(산국)이나 억새는 느림보가 아닙니다. 제철에 빛나는 아름꽃이에요. 어느 모로 보면 그냥 ‘느림꽃’이라 할 만합니다. 한자말로 가리키는 ‘대기만성·지적장애·발달장애’는 우리말로 ‘느림별’로 담아낼 만합니다.


  여태 걸어온 길을 으레 돌아보는데, 하나부터 쉰까지 느림보입니다. 열네 살에도 열일곱 살에도 배움터를 그만두지 못하다가, 스물과 스물한 살에도 미루다가, 싸움터(군대)를 다녀오고서야 스물셋 막바지에 드디어 배움터를 그만두었는데, 여덟 살 때부터 배움터를 그만두고 싶었습니다. 배움터만 가면 늘 꾸중을 들으며 얻어맞았거든요. 신나게 놀며 즐겁게 수다를 떨고 싶지만, 놀면 논다고 때리고 말을 더듬으면 더듬는다고 괴롭히는 그곳은 ‘학교’가 아닌 ‘감옥’이었다고 느껴요.


  인천 〈아벨서점〉에서 저녁나절에 ‘말꽃수다’를 폅니다. 굳이 어렵게 ‘어원강의’라 읊고 싶지 않습니다. 저뿐 아니라 누구나 느릿느릿 느슨하게 찾아내고 알아낼 수 있는 줄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우리는 굳이 열 살이나 스무 살에 깨달아야 하지 않습니다. 서른 살이나 마흔 살에 못 깨달아도 됩니다. 쉰 살이나 예순 살에도 아직 어리석을 수 있습니다. 일흔 살이나 여든 살이어도 철없을 수 있어요.


  안 서두르면 스스로 빛나요. 모든 꽃이 2∼3월에 피어나야 하지 않듯, 어느 꽃은 11월뿐 아니라 12월이나 1월에도 피듯, 우리는 아흔 살에 비로소 삶을 알아보고서 깨달아도 아름답습니다. 아흔아홉 살까지 철딱서니없이 굴다가 온살(100살)에 이르러 깨달아도 사랑스럽습니다.


  풀며 또 풀며 자꾸 풀면서 한 발씩 나아가는 오늘이지 싶어요. 큰걸음도 작은걸음도 아닌, 가만히 마을걸음을 디디면서, 부산도 전라도도 서울도, 저마다 소근소근 이야기꽃을 피우는 ‘살림자취’를 ‘역사’로 알아보고 바라보는 눈을 뜰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새치기하지 맙시다. 기다립시다. 사이에 끼지 맙시다. 언제나 스스로 빛납시다. 인천에서 서울로 올라가지 않고, 서울에서 인천으로 내려오지 않습니다.


ㅅㄴㄹ


《희망은 있다》(페트라 켈리/이수영 옮김, 달팽이, 2004.11.15.)

《밥의 위기 생명의 위기》(이병철, 종로서적, 1994.1.30.)

《야생 거위와 보낸 일 년》(콘라트 로렌츠/유영미 옮김, 한문화, 2004.1.6.)

《77人 에세이 山》(송지영 외, 평화출판사, 1977.12.15.)

《울고 들어온 너에게》(김용택, 창비, 2016.9.9.)

《물은 목마름 쪽으로 흐른다》(허만하, 솔, 2002.12.10.)

《이야기 서양 고사성어》(남경태, 새길, 1994.5.26.)

《포도밭 편지》(류기봉, 예담, 2006.8.28.)

《동물들의 사회생활》(리 듀거킨/장석봉 옮김, 지호, 2002.6.25.)

《잡초는 없다》(윤구병, 보리, 1998.5.15.)

《울지 않는 늑대》(팔리 모왓/이한중 옮김, 돌베개, 2003.7.14.)

《까마귀》(보리아 색스/이한중 옮김, 가람기획, 2005.10.10.)

《인천 외래식물도감》(송홍선, 풀꽃나무, 2008.11.20.)

《위대한 늑대들》(어니스트 톰슨 시튼/장석봉 옮김, 지호, 2004.2.27.)

《어머니! 좋은 물을 마시고 계십니까》(마쯔시따·나까무라/조태동 옮김, 수문출판사, 2003.8.5.)

《百犬譜》(편집부 엮음, 天津 人民文化出版社, 1994.4.)

《알래스카 이야기》(호시노 미치오/햇살과나무꾼 옮김, 논장, 2013.2.20.)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밤늦게 (2023.9.15.)

― 인천 〈나비날다〉



  어떤 일이건 우리가 배워야 하기에 찾아든다고 여깁니다. 어린날 겪은 숱한 일도, 어른이란 자리에 서서 아이들하고 살림을 가꾸는 오늘도, 늘 새롭게 배울 일이 있어서 마주한다고 느껴요. 때로는 가시밭이고, 때로는 자갈밭입니다. 아직 꽃밭이나 숲밭 같은 자리는 드문데, 팍팍하거나 가파르게 지나가는 길이란, 이 밑바닥에서 숱한 이웃을 마주하면서 낱말책에 말글을 어떻게 싣고 엮고 추슬러야 하는지 다시 배워야 한다는 뜻이지 싶어요.


  그런데 밑바닥이 따로 있는지 모르겠어요. 이름으로는 ‘가난’이나 ‘가멸’로 가르기는 하지만, 다 한끗일 뿐이거든요. 마음은 좁고 초라하면서 돈만 많은 사람을 ‘가멸’로 못 느끼겠어요. 돈은 없고 옷이 추레하다지만 마음이 넉넉하며 밝게 웃고 맑게 말하는 사람을 ‘가난’으로 못 느끼겠습니다.


  어제도 오늘도 쉴새없이 보내고서 드디어 밤을 맞이합니다. 여름이 끝난 밤에 인천 배다리를 문득 휘 거닐다가 〈나비날다〉에 들어서서 짐꾸러미를 내려놓습니다. 온몸은 땀으로 젖었고, 앞가방도 등가방도 땀범벅입니다. 시골집으로 돌아가면 가방도 죄다 빨아야겠습니다.


  작은책집을 꾸리는 분도, 작은가게를 일구는 분도, 작은집에서 조촐히 살림을 돌보는 분도, 새벽부터 밤까지 쉬잖고 일을 합니다. 우리는 누구나 일을 합니다. 다 다른 사람은 다 다른 자리에서 다 다르게 일하고, 일삯도 다 달라요.


  밑일삯(최저임금)이란 뭘까요? 책 한 자락은 돈을 얼마쯤 치르고서 사읽어야 스스로 배움밭 노릇을 할까요? 책을 써내거나 펴내는 일꾼은 돈을 얼마쯤 벌 때에 가슴을 펴면서 기지개도 켤 만할까요?


  저는 ‘뜻’은 굳이 안 읽으려고 하지만, 재미없거나 따분하거나 시시하구나 싶은 일이나 책이나 말이라면 애써 ‘뜻’을 찾아내려고 합니다. 오늘날 숱한 책과 글과 일은 ‘뜻’을 앞세우더군요. ‘살림’이나 ‘사랑’이 없는 채 다들 ‘뜻’만 거룩하다고 여기면서 높이 외치는구나 싶어요.


  우리가 하는 일이 사랑이라면 그저 사랑인데 왜 ‘뜻’을 소리높여 알려야 하는지 아리송합니다. 우리가 하는 살림이 숲빛이라면 그저 푸른데 구태여 ‘뜻’을 드높이거나 퍼뜨려야 하는지 알쏭합니다. 저마다 오늘 하루 배우고 누리고 나누며 일군 보람을 나누면 넉넉하구나 싶어요.


  그나저나 하루키 씨 새책은 19500원이고, 글씨가 크고 줄틈이 듬성듬성입니다. 쓰게 웃습니다. 마른수세미 하나는 6500원이로군요.


ㅅㄴㄹ


《도시와 그 불확실한 벽》(무라카미 하루키/홍은주 옮김, 문학동네, 2023.9.6.)

#街とその不確かな壁 #村上春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들꽃내음 작은책집 (2024.11.16.)

― 서울 〈나무 곁에 서서〉



  서울은 사람이 많습니다. 일본 도쿄에 대면 아무것이 아닐 테지만, 우리나라에서 가장 붐빕니다. 서울은 땅밑도 북적이고, 땅거죽도 물결칩니다. 사람도 그득할 뿐 아니라, 쇳덩이가 너울거립니다. 그러나 이런 서울 한복판에도 부채나무가 자라고, 비둘기나 까마귀나 까치가 내려앉습니다. 한때 참새가 꽤 있던 서울인데 참새는 확 줄었습니다. 오가는 사람이 미어터지고 길바닥에는 쇳덩이가 끝없이 밀어대는 터라, 살짝 쪼그려앉아서 들꽃하고 눈을 마주하다가는 다른 사람들이 싫어합니다. 왜 ‘길막’이냐고 손가락질을 하거나 막말을 퍼붓기도 합니다.


  귀퉁이로 물러서다가, 담벼락에 붙다가, 안골목으로 깃들어 하늘을 보려고 하는데 파랗게 일렁이던 무늬도, 짙게 덮던 구름도, 가늘게 내리던 빗방울도, 모조리 가로막는 서울길이에요. 그렇지만 바로 이런 서울이기 때문에 “숨막히는 새까만 서울”이 아닌 “숨틔우는 산뜻한 서울”로 거듭나기를 바라는 눈길과 손길과 발길과 글길과 숲길도 조금조금 싹틉니다.


  혼펴냄터를 일구는 ‘스토리닷’ 지기님하고 ‘세나북스’ 지기님이랑 서울 노고산동 〈숨어있는 책〉으로 책마실을 다녀옵니다. 〈글벗서점〉도 들르고 싶지만, 〈나무 곁에 서서〉로 건너와야 하기에 다음으로 미룹니다. 세 사람은 뚜벅이입니다. 뚜벅뚜벅 걸으며, 거님길과 땅밑길에서 온갖 사람들한테 밀리기도 하고 밟히기도 하면서, ‘남’이 아닌 ‘나’를 바라보면서 수다를 잇습니다.


  올해 2024년에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라는 이름을 붙인 책을 써내었습니다. 이런 줄거리로 하나쯤 이야기꾸러미를 여미려고는 생각했지만 올가을에 짠 태어날 줄 몰랐습니다. 2024년 1월에는 《우리말꽃》을 내놓고, 11월에는 《들꽃내음 작은책집》을 내놓으면서, ‘낱말지기(사전편찬자)’로서 걸어온 길살림 가운데 서른 해 이야기를 두 갈래로 추려서 선보인 셈입니다.


  지난 1994년에는 “설마 내가 책을 쓸까?” 싶었지만, 1993년 푸름이(고3)로 지내던 무렵 리영희 님 책을 읽으면서 “리영희 님은 1줄을 쓰려고 책 7자락을 읽는다고 했으니, 나라면 1줄을 쓰려고 책 100자락을 읽자”고 생각했어요. 그러니까 1줄을 꾸리려고 책 100자락을 품는 살림길을 걷는다면 내 이름을 내건 책을 선보일 수 있으리라 여겼고, 어느새 이 글길을 천천히 나아갑니다.


  이름종이(면허증·자격증) 없이 걷는 이웃이 늘고, 작은종이에 노래를 적으면서 동무하고 두런두런 하루를 사랑하는 이웃이 늘기를 바랍니다. 시골이며 들숲에서뿐 아니라, 서울에서도 들꽃내음을 맡으면서 작은책집을 사랑하는 이웃을 그립니다.


ㅅㄴㄹ


《도시인들을 위한 비둘기 소개서》(조혜민, 집우주, 2024.9.9.첫/2024.10.10.2벌)

《굴뚝 이야기》(리우쉬공/김미홍 옮김, 지양어린이, 2019.8.12.)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찰칵이 숨지다 (2023.9.15.)

― 인천 〈모갈1호〉



  찰칵이는 불쑥 숨을 거둡니다. 얼핏설핏 어긋나려나 싶으면 몇날쯤 버티다가 까무룩 잠들어요. 1998년부터 찰칵길을 걸었으니 여태 숱한 찰칵이를 떠나보냈습니다. 누가 훔치기도 했고, 더는 일할 수 없다며 멈추기도 했습니다. 오늘 이렇게 숨을 거두니 아찔합니다. 책집으로 마실을 왔는데 책집에서 찍지 못 한다면 멀리 길을 나선 보람이 없어요.


  그렇지만 1998년까지는 찰칵 안 찍었다는 뜻입니다. 1998년 무렵까지는 오직 글로만 책집마실 이야기를 풀어냈습니다. 글로 모자라다 싶으면 손으로 길그림을 여미었어요. 찰칵 안 찍어도 마치 눈앞에서 보는 듯이 글로 적으면 넉넉하리라 여겼습니다.


  책집을 빛꽃으로 옮기자는 마음은 1998년 가을에 싹틉니다. 찰칵이를 거느린 분치고 책집을 책집답게 옮기거나 담거나 그리는 사람을 못 봤어요. 얼마나 책을 안 읽거나 미워하면 책집을 이처럼 엉터리로 엉성하게 마구 찍나 싶었습니다.


  책집마실을 글로 쓰려는 마음도 매한가지입니다. 숱한 글꾼이 막상 온나라 여러 마을책집에서 고맙게 책을 만나면서도 정작 책집노래라 일컬을 만한 글을 아무도 안 쓴다고 느꼈어요.


  글바치가 책집 이야기를 글로 쓸 일이 없으리라 느껴서 스스로 쓰기로 합니다. 빛꽃바치가 책집 살림결을 찰칵 찍을 일이 없구나 싶어서 스스로 찍기로 합니다. 남이 해주기를 바랄 수 없어요. 바라는 사람이 스스로 할 일입니다.


  남이 해주지 않습니다. 나라지기나 벼슬아치가 이 나라를 아름답게 돌보지 않습니다. 바로 네가 돌보고 내가 보살펴요. 조촐히 보금자리를 이루는 수수한 사람 스스로 온누리를 사랑하고 푸른별을 살피면서 들숲바다를 토닥입니다.


  주섬주섬 책을 살피다가 기운이 살짝 빠집니다. 눈으로만 담자고 생각하면서도 찰칵찰칵할 수 없다는 마음에 책을 더 들여다보지 못 하고 맙니다.


  이제 이러면 안 되겠다고, 찰칵이를 미리 여럿 장만해 놓고서 그때그때 갈마들면서 다루어야겠다고 생각합니다. 살림돈이 모자라더라도 미리 장만해 놓을 노릇입니다. 찍어야 할 적에 찍지 못 한다면, 모두 걸리거나 막히니까요.


  인천 배다리 〈모갈1호〉 책시렁에 쪼그려앉아서 다시 생각에 잠깁니다. 갑작스레 숨이 멎는 찰칵이는 제가 얼른 바로세울 매무새 하나를 따끔하게 가르치는 셈이라고 봅니다. 지난겨울에 셈틀이 멎은 일로도 못 배웠느냐고 나무라는 셈입니다. 기지개를 켜고, 등허리를 폅니다. 다시 일어서서 걷습니다.


ㅅㄴㄹ


《가장 어두운 날 저녁에》(오세영, 문학사상사, 1982.12.27.첫/1984.6.30.중판)

《풀빛시선 1 黃土》(김지하, 풀빛, 1970.12.10.첫/1984.7.15.재판)

《달맞이꽃에 대한 명상》(최승호, 세계사, 1993.3.15.)

《불가사의한 새 펭귄》(존 스파크스·토니 소파/김재후 옮김, 한길사, 1994.4.15.)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가방비 아침길 (2023.8.20.)

― 서울 〈책방 서로〉, 〈북스피리언스〉, 〈사슴책방〉, 〈무슨서점〉



  구름이 짙은 늦여름에 서울 연남동 골목을 거닙니다. 고흥으로 돌아가기 앞서 마을책집에 들르자고 생각합니다. 어젯밤은 성산동 이웃님 집에서 묵으면서 성미산을 한밤에 거닐어 보았습니다. 아무리 매캐하고 시끄러운 서울 한복판이어도 작은새가 이 뒷동산에서 노래하더군요.


  먼저 〈책방 서로〉 앞에 닿습니다. 아침 열 시가 조금 넘었으니 아직 안 열 만하겠지요. 그러려니 여기면서 오늘 새벽에 문득 쓴 노래 하나를 옮겨적습니다. 책집 미닫이에 슬쩍 얹습니다. 이 가까이에 다른 책집이 있다고 하기에 두리번두리번하다가 〈북스피리언스〉로 찾아옵니다. 이곳도 아직 안 엽니다. 이제 열한 시 즈음이지만, 서울사람한테는 퍽 어를 수 있습니다. 시골내기는 늦어도 새벽 네 시에 하루를 열지만, 서울은 해가 다르게 움직이는걸요. 다시 미닫이에 노래 한 자락을 꽂아놓습니다.


  이 언저리에 여러 책집이 있는데 설마 한 군데도 아침에 안 열 수 있습니다. 그래도 책집 기스락을 거닐면서 마을빛을 누리기만 해도 즐거우리라 봅니다. 어느덧 〈사슴책방〉 곁에 섭니다. 〈사슴책방〉 둘레에서 살거나 일하는 분들은 길에서 담배를 꽤 태웁니다. 한때 적잖은 이들은 길이건 집이건 버스이건 아무렇지 않게 담배를 태웠으나, 이제는 이렇게 하는 이는 확 줄었어요.


  구름하늘은 이따금 가랑비를 뿌립니다. 가랑비가 뺨을 간질이면 “그래, 그래, 너희가 이 땅을 씻고 적시니 언제나 고마워.” 하고 속삭입니다. 바야흐로 〈무슨서점〉이 깃든 골목을 걷습니다. 〈무슨서점〉까지 네 군데 마을책집은 일러도 낮 두 시가 넘어야 여는 듯싶습니다. 그렇지만 서울에서 고흥으로 돌아가는 시외버스를 타려면 그때까지 기다릴 수 없습니다. 옹기종기 여러 마을책집이 모인 연남동 골목을 한참 걷다가, 길에서 노래를 옮겨적다가, 이제는 시외버스를 타러 움직입니다.


  덜컹거리는 큰쇠는 땅밑을 한참 달립니다. 언제 들어도 낯선 ‘센트럴시티’에 닿아 비로소 등짐을 내립니다. 이웃나라 마실꾼도 자주 드나드는 곳에 누가 ‘센트럴시티’처럼 ‘시골스런’ 이름을 붙였을까요. 북적이는 한복판에서 땀을 들이다가 곱씹습니다. 오히려 제대로 시골스럽게 ‘한봄·한봄길·한봄마루’라든지 ‘한마루’ 같은 이름을 붙인다면, 여러 나라 이웃사람도 한결 새롭게 서울 한켠을 바라보고 맞이할 만하리라고 봅니다.


  서울을 벗어나 시골로 달리는 버스는 한갓집니다. 몇 사람 안 탑니다. 걸상에 푹 기대어 꿈누리로 갑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