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04-05 19:04 

안녕하세요 작가님 사진을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이 글을 읽으며 저의 부족한 이해로 작가님께 추가적인 질문을 남기고 싶어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먼저 작가님께서 생각하는 사진을 찍고 사진책을 낸다는 행위까지 이어지는 것이 어떤의미 이신지 궁금합니다. 둘째는 ... 마지막으로 ˝이제 ‘사진가 시대‘는 끝났습니다˝라는 문단 뒤의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고 난해하며 있어 보이는 듯한 글을 쓰는 경계해야 한다는 것인가요?아니면 다른 의도가 있으시다면 얘기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숲노래 빛꽃 / 숲노래 사진비평 2023.4.6.



‘누’가 ‘말’을 하는가

― 사진길에 접어든 이웃님한테



  시골에서 살지 않는 사람은 시골을 모릅니다. 시골에서 안 살면서 시골을 안다고 할 수 없겠지요? 시골에서 안 살더라도 시골을 자주 오간다면 얼핏설핏 시골빛을 느끼거나 누리면서 헤아릴 만합니다.


  그런데 시골에서 살지만 시골을 모르는 사람이 수두룩합니다. 시골에서 살더라도 시골이라는 터전을 사랑하지 않으면 알 길이 없습니다. 또는 시골이라는 터전에서 돈·이름·힘을 거머쥐거나 돌라먹으려고 하는 뒷짓이며 검은짓이며 막짓을 일삼는 이도 시골을 모를밖에 없습니다.


  숲에서 안 살면 숲을 모르겠지요. 숲에서 살더라도 숲을 안 사랑하면 숲을 모를 테고요. 서울에서 안 살면 서울을 모릅니다. 서울에서 살더라도 서울을 안 사랑하면 서울을 모를 테고요.


  그런데, 시골이나 숲이나 서울에서 안 살더라도 시골이며 숲이며 서울을 알 수 있습니다. 누가 어떻게 왜 ‘그곳에서 안 살아도 그곳을 알’ 수 있을까요?


  실마리는 매우 쉽습니다. 시골에서 살더라도 시골을 안 사랑하면 시골을 모르게 마련이듯, 시골에서 안 살더라도 시골을 사랑하면 시골을 알 수 있습니다. 이리하여, 숲이나 서울에서 안 살더라도 숲이며 서울을 사랑하면 숲이며 서울을 알 수 있어요.


  다만, 살지 않는 몸으로는 속속들이 알지는 않습니다. 살지 않을 적에는 ‘기운·숨결·빛·마음’으로 압니다. 몸을 깃들여서 살아갈 적에는 ‘삶·살림·사람·터전’을 알게 마련입니다.


  사진을 누가 알까요? 사진기를 쥐기에 사진을 알까요? 사진을 찍기에 사진을 알까요? 사진찍기를 서른 해나 쉰 해쯤 해왔으면 사진을 알까요? 사진을 찍어서 돈을 많이 번 사람이 사진을 알까요? 대학교에서 사진을 가르치는 자리에 있기에 사진을 알까요?


  우리나라에서는 ‘사진사랑’을 하는 분이 잘 안 보입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는 사진을 가르치는 대학교가 여럿 있으며, 사진강의·사진강좌도 꽤 많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이야기가 오가는 사진은 ‘사진사랑’보다는 ‘사진기술·사진예술·사진문화’와 ‘사진계 학맥·인맥’하고 얽힙니다.


  ‘기술·예술·문화’가 나쁠 일은 없습니다. 그러나 ‘기술·예술·문화’만 한다면 ‘사랑’하고 동떨어지거나 등지게 마련이니, 사진을 오래 했다지만 오히려 사진을 모르고 맙니다. 시골에서 아흔 해를 살았어도 시골을 모르는 분이 숱하고, 서울에서 여든 해를 살았어도 서울을 모르는 분이 많습니다. 이 수수께끼를 차근차근 들여다본다면, 우리는 누구나 스스로 모두 꿰뚫어볼 수 있고, 알아차릴 수 있으며, 삶을 지을 수 있고, 사진은 사진대로 그림은 그림대로 글은 글대로 한껏 빛내면서 꽃피우는 길을 노래하고 춤추면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생각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우리나라 사진 가운데 ‘노래하고 춤추면서 어깨동무하는 마음’이 깃든 ‘작품’은 몇이나 될까요? ‘기술·예술·문화’를 뽐내는 사진은 흘러넘칩니다만, ‘즐겁게(노래하고 춤추며) + 사랑을 스스로 짓고 나누면서’ 꿈을 씨앗으로 심는 홀가분한 사진은 뜻밖에도 거의 모두라 할 웬만한 그림밭(갤러리·전시관)에 안 걸리더군요. 그림밭에 걸리는 사진을 보셔요. 다들 ‘작품’이나 ‘예술’이란 이름을 붙입니다. 수수하게 ‘사진’이라는 이름조차 붙이려 하지 않습니다. 수수하게 ‘삶’이란 말도 붙이지 않고, ‘살림’이나 ‘사랑’이나 ‘사람’이란 말도 못 붙입니다.


  사진찍기란, 그림그리기나 글쓰기하고 똑같습니다. 그저 찰칵이(사진기)를 손에 쥔 모습이 다를 뿐입니다. 사진찍기란, 밥짓기나 빨래하기나 바느질하고 똑같습니다. 오직 찰칵이를 손에 잡은 몸짓이 다를 뿐입니다. 사진찍기란, 걷기나 자전거타기나 버스타기하고 똑같습니다. 오로지 찰칵이 하나가 다를 뿐입니다.


  아이를 낳아 돌보는 어버이는 오직 사랑이라는 마음이 흐를 적에 아이를 사랑으로 품으면서 함께 보금자리를 아름답고 아늑하게 짓는 살림빛을 키웁니다. 그래서 사랑으로 나아가는 모든 어버이는 ‘살림꾼(살림님·살림지기)’입니다. 예부터 우리말로는 ‘살림꾼’이라 했습니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는 바람에 갑자기 들어온 뜬금없는 ‘주부·가정주부’는 우리말 아닌 일본말입니다. 우리는 우리 보금자리를 짓고 가꾸는 ‘살림꾼’이라는 자리와 이름과 말과 몸짓을 스스로 잊거나 잃으면서, 사진찍기라는 길에서도 엉뚱한 샛길로 쉽게 빠져버리고 맙니다.


  아이를 낳아 사랑으로 돌보는 어버이는 수수하게 밥을 짓습니다. ‘집밥(가정식 백반)’이 아닙니다. 그저 ‘밥’입니다. 찰칵이를 손에 쥐어 사랑으로 눈뜨는 우리는 수수하게 찰칵 누릅니다. ‘기술·예술·문화’가 아닙니다. ‘삶·살림·사랑’입니다. 아이를 낳아 돌보는 어버이는 ‘삶·살림·사랑’을 서울빛이 아닌 숲빛으로 품게 마련입니다. 그래서 찰칵이를 손에 쥐어 스스로 새롭게 무언가 이야기를 짓고픈 마음을 일으킨다면, ‘숲빛으로 푸르게, 하늘빛으로 파랗게, 삶·살림·사랑을 그리는 꿈씨앗을 한 자락 심는 열매’를 문득 하나 옮겨내어 나눌 만합니다.


  후다닥 찍든 더디게 찍든 대수롭지 않습니다. 하루 만에 다 찍을 수 있고, 쉰 해에 걸쳐 찍을 수 있습니다. 어느 길도 대수롭지 않습니다. 이 실타래를 읽고서 스스로 새록새록 여미어 본다면, ‘사진이란 무엇이고, 사진이란 어떻게 하고, 사진이란 누가 누구한테 이바지하고, 사진이란 스스로 어떻게 거듭나려는 몸짓이고, 사진이란 왜 하고, 사진은 어떤 삶인가’ 하는 아주 쉬우면서 즐거운 씨앗 한 톨을 손바닥에 얹을 만합니다.


  이제는 누구나 사진을 찍습니다. 대학교 사진학과에 안 들어가도 사진을 찍습니다. 세 살 아이도 사진을 찍습니다. 여든 살 시골 할매도 사진을 찍습니다. 아이나 할매는 누가 안 가르쳤어도 어찌저찌 손전화를 눌러 보면서 사진을 찍습니다. 그동안 글밭이나 그림밭은 몇몇 예술가만 차지하는 얼거리였고, 사진밭도 몇몇 예술가끼리 나눠먹기를 하는 얼거리였습니다. 그런데 이제 누구나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고 사진을 찍지요. 그리고 누구나 글님이자 그림님이자 사진님인데, 기성 주류 기득권 집단은 ‘어깨동무하며 누구나 누리는 길’이 아니라, ‘그들이 거머쥔 돈·이름·힘을 안 빼앗기려는 마음’으로 더 단단히 틀어쥡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사진밭은 하나도 안 발돋움합니다. 그나마 글밭은 조금 허물어졌으나 그래도 큰 출판사가 크게 거머쥔 틀은 안 바뀌었습니다.


  요새는 그야말로 누구나 글을 쓰고 책을 내지요. 그런데 사진을 놓고 보면, ‘누구나 사진을 찍기’는 하는데 누구나 ‘사진책을 내지는 못하’고 ‘사진전시도 못합’니다. 사진은 찰칵이만 장만해서 스스로 찍어 보면 누구나 스스로 배웁니다. 그저 즐겁게 스스로 배우시기 바랍니다. 대학교에 들어가면 ‘사진계 인맥·학맥’을 얻기에는 좋습니다만, 대학교에 들어가는 젊은 분들이 하나같이 ‘윗사람(선배·교수) 울타리’에서 벗어나지를 못 하더군요. ‘내 빛’은 내가 나를 스스로 바라보고 사랑할 적에 가꿀 수 있습니다. 글쓰기도 그림그리기도 사진찍기도, 대학교나 외국유학으로는 못 배웁니다. 스스로 쓰고 그리고 찍기를 삶으로 녹이고 살림을 하면서 하고 사랑을 담아서 할 적에 누구나 스스로 배우고 익혀서 펴고 나눕니다.


  “‘누’가 ‘말’을 하는가”를 헤아리시기를 바라요. 누구나 말을 하지 않나요? 그런데 누구나 말을 하도록 자리를 마련하지 않는다면, 몇몇만 말할 자리일 뿐이고, 언제나 비슷비슷한 무리인 사람들끼리 말을 한다면, 그곳은 고인물조차 아닌 썩은물입니다.


  집에서 아버지 혼자만 말하거나 어머니 혼자만 말한다면, 이 집에는 사랑도 어깨동무(평화)도 없습니다. 집에서 모든 사람이 도란도란 떠들고 웃고 이야기를 할 적에 비로소 사랑이자 어깨동무입니다. ‘사진가’란 이름을 붙이려 하거나 내세우려 하는 분들만 끼리끼리 모인 곳에서 ‘누가 말을’ 하는지 지켜보시기 바랍니다. 그곳이 왜 고이다가 썩어가는지를 헤아리기 바랍니다. 우리는 고인물도 썩은물도 아닌, 샘물에 냇물에 바닷물에 빗물에 골짝물이라는 숨결로 다 다르게 빛나는 즐거운 물길로 노래하고 춤추면서 나아가면 넉넉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겨우내 시든 풀줄기에 앉은,

겨울잠에서 깨어난,

나비를 봐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빛꽃 / 숲노래 사진빛 2022.12.27.


‘사진가 시대’는 끝났습니다

― 서학동사진관 김지연 님한테



  유진 스미스 님은 ‘미나마타’를 찍었지만, 구와바라 시세이 님은 ‘미나마타’를 못 찍었습니다. 유진 스미스 님은 미나마타에 그리 오래 머물지 않았으나 석 달 사이에 미나마타를 품었고, 구와바라 시세이 님은 여러 해를 머물렀어도 미나마타를 품지 못 했습니다. 둘 사이는 그저 한 가지가 다릅니다. 유진 스미스 님은 “어렵거나 뜻있거나 빛나는 일”을 한다고 여기지 않았고, 구와바라 시세이 님은 “어렵거나 뜻있거나 빛나는 일을 나서서 한다”고 여겼습니다.


  에드워드 커티스 님이 북중미 텃사람을 사진으로 담을 적에, 안셀 아담스 님이 미국 아름숲을 사진으로 담을 적에, 도로시아 랭 님이 이웃사람을 담을 적에, 이 세 사람은 “어렵거나 뜻있거나 빛나는 일”이라고 여기지 않았습니다. 이 세 사람은 ‘자랑(자부심)’을 안 하는 마음으로, 그저 ‘삶을 사랑하는 살림을 짓는 오늘’을 스스로 누리면서 이웃하고 어깨동무하는 길을 걸었을 뿐입니다. 이런 세 사람이 남긴 사진을 놓고서 뒷날 여러 비평가나 사진가가 ‘대가·명작·기록’이란 이름을 붙일 뿐입니다.


  우리나라 어느 갈래가 무리(집단·카르텔)가 아니겠습니까만, 사진밭도 무시무시하게 무리를 이룹니다. 다른 어느 갈래보다 무리질이 깊고 넓은 사진밭인 터라, 우리나라에서도 사진을 좋아하거나 즐기거나 사랑하려는 분이 많았지만, 하나같이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고서 떠났습니다. 또는 무리에 슬그머니 붙어서 이름을 얻거나 자리를 잡거나 돈을 쥡니다.


  온누리(전세계)에서는 크고 묵직하고 비싼 사진기가 스러지면서 값싸고 작은 사진기가 퍼지더라도, 우리나라만 유난히 크고 묵직하고 비싼 사진기가 춤추었습니다. 무엇보다 우리나라에서는 ‘사진책을 내려’는 사진가가 너무 적었고 ‘사진전시를 열어서 사진을 팔아 살림에 보태려’는 사진가만 수두룩했습니다. ‘전시도록’조차 없이 사진전시를 연 사람도 참 많았고요.


  이제 ‘사진가 시대’는 끝났습니다. 손전화가 퍼질 즈음 필름사진기도 와르르 무너졌고, 어린이까지 손전화를 쥐는 이맘때에는 ‘사진가만 사진을 찍는 때’가 아닙니다. 이제는 그야말로 ‘누구나 사진즐김이’입니다. 그런데 아직도 우리나라는 사진가인 분들이 ‘아티스트·포토그래퍼’ 같은 영어로 스스로 꾸미려 합니다. ‘사진가들이 서로 써 주는 주례사 같은 사진비평’은 여느 사람들이 도무지 알아들을 수 없는 서양이론을 일본 한자말하고 영어로 범벅한 글투성이입니다.


  어린이한테 철학이며 미술이며 정치이며 역사이며 환경이며 들려주려고 눈을 낮추고 무릎을 꿇고 어깨동무하는 어른이 다른 갈래에는 하나둘 늘지만, 우리나라 사진밭만큼은 ‘어린이를 안 쳐다보고 무리를 짓는 사진가’만 넘실거립니다.


  언제까지 그 나물에 그 밥인 사진밭이어야 할까요? 요즈음 우리나라에서 ‘사진가’는 사라져야 하거나 사라질 만한 자리라고 느낍니다. 다 걷어치워야지요. 마을을 보고, 어린이를 보고, 숲을 보고, 마음을 볼 노릇입니다. 대단하거나 값지거나 뜻있는 작품을 내놓으려는 사진은 멈출 수 있기를 바랍니다. ‘대단하거나 값지거나 뜻있는 작품을 내놓으려는 사진’을 못 멈춘다면, 앞으로 우리나라 사진책이며 사진판은 모래알처럼 사라지겠지요.


  목소리만 남은 채 떠도는 우리나라 사진을 누가 들여다볼까요? 사람들은 대학교를 안 다니고, 사진강의를 안 듣고, 사진책을 안 읽고, 사진가를 모르고, 사진이론조차 들은 적이 없고, 갤러리나 전시관을 간 일이 없어도, 손전화를 켜서 즐겁게 오늘 하루를 사뿐히 담고서 나눕니다. ‘사진가 시대’를 붙잡지 않기를 바랍니다. ‘사람길·살림길·삶길·사랑길·숲길’이라는 ‘새로운 ㅅ길’을 사뿐사뿐 춤추고 노래하면서 어린이랑 나란히 나아가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3)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3-04-05 19: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숲노래 2023-04-06 09:55   좋아요 0 | URL
이 글을 올린 게시판에 글을 달았으니 챙겨서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https://blog.aladin.co.kr/hbooks/14485807

다른 이야기는 이 글에 담았고, 서학동사진관 이야기는 이 덧글로 붙입니다.

서학동사진관 김지연 님은 처음 선보인 사진부터 어쩐지 ‘멋’을 내세웠습니다. 다만 사진을 찍은 곳이 ‘시골’이었습니다. 굳이 멋을 내세우지 않고서 시골을 사진으로 담으셨다면, 처음 사진을 선보인 때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어진 할머니 사진가’로 피어났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자꾸 ‘멋’에 기울다가 ‘기성 주류 사진계’에 섞여들려는 ‘외국이론과 외국어로 범벅인 사진비평’을 자꾸 쓰려 하면서 스스로 ‘작품·예술’이라는 진구렁에 잠겨들었습니다.

jeeeek1121 2023-04-06 23: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성스러운 답변 감사합니다! :)
 

숲노래 사진꽃

2019.6.10.


책에서 빛이 샘솟고

빛에서 숲이 깨어나고

숲에서 책이 자라고

우리 마음에서 노래가 솟구칩니다. ㅅㄴㄹ


(숲노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꽃길 41. 작은아이


  2018년 6월에 일본마실을 할 적에 비바람이 드세었습니다. 그날 간사이공항에서 내리는데 하늘이 온통 구름에 비라 아이들이 바깥을 구경하기 나빴다며 툴툴댔어요. 7월에 새로 일본마실을 했고, 큰아이는 하늘을 보며 온갖 모습을 누릴 수 있어 기뻐합니다. 이와 달리 작은아이는 공항에 와서 비행기에 타기까지 이래저래 땀 빼며 달리고 노느라 새근새근 잠들어 꿈나라 구경을 합니다. 곯아떨어져 고개를 이리 툭 저리 톡 하는 모습을 물끄러미 지켜봅니다. 두 눈으로 가만히 담습니다. 작은아이 몸짓하고 숨소리를. 한 손으로 포근히 쓰다듬으면서 담습니다. 작은아이 꿈결하고 낯빛을. 온마음으로 넉넉히 안으면서 담습니다. 작은아이 볼을 타고 흐르다가 마른 땀방울을. 사진기는 곁에서 얌전히 함께 잡니다.


2018.7.20.쇠.ㅅㄴㄹ / 숲노래.최종규 / 사진넋.사진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꽃길 40. 값어치 있는 사진책


  돈값으로 따져서 비쌀 적에 값어치 있는 사진책이라고 느끼지 않습니다. 우리가 손으로 만져서 펼치고, 펼쳐 넘기는 동안 두 눈뿐 아니라 온마음으로 스며들어서 이야기가 새롭게 샘솟도록 이끌 적에 비로소 값어치 있는 사진책이지 싶습니다. 유리진열장에 집어넣는 바람에 손으로 만질 수 없다면 사진책 아닌 유물이 되겠지요. 유물로는 ‘유물 정리자가 붙인 몇 마디 풀이글’을 외울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사진책이 사진책답게 값어치가 있으려면, 저마다 다른 사람들이 저마다 다른 손길로 찬찬히 펼쳐서 저마다 다른 눈길로 즐겁게 읽고 새겨서 저마다 다른 목소리를 낼 수 있어야지 싶어요. 사진책도서관이라 한다면, 사진책을 온몸으로 만져서 사진에 깃든 삶을 온마음으로 헤아리는 쉼터입니다.


2018.7.8.해.ㅅㄴㄹ / 숲노래.최종규 / 사진넋.사진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