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숨은책 883


《후쿠시마 오염수 10가지 괴담》

 편집부 엮음

 대한민국 정부

 2023.7.10.



  2023년 8월 11일에 고흥군 고흥우체국에 글월을 부치러 갔다가 《후쿠시마 오염수 10가지 괴담》을 문득 보았습니다. 언제부터 꽂혔는지 모르겠지만, 두고두고 건사하자고 여기면서 챙겼습니다. 그런데 이 꾸러미를 누가 쓰고 엮었는지, 또 언제 펴내었는지 어디에도 없습니다. “10가지 괴담”을 알린다고 하면서 정작 누가 알리는지 알 길이 없고, 무엇을 바탕으로 이렇게 엮었는지도 알 수 없습니다. 오직 하나 ‘대한민국 정부’에서 펴냈다고 하는데, 책자취(간기)조차 없이 내놓는다면, 또 더 궁금하거나 묻거나 따지고 싶을 적에 어디로 물어봐야 하는지조차 없다면, 참말로 ‘대한민국 정부’에서 냈는지, 아니면 다른 곳에서 나라이름을 빌려서 냈는지 아리송할 만합니다. 나중에 알고 보니,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적어도 9만 자락을 찍어서 온나라에 뿌렸고, 기차에도 놓았다더군요. 앞으로 더 찍을는지 안 찍을는지 알 길조차 없는데, ‘역대 괴담 사례’라 하면서 ‘2005년 천성산터널 반대’를 들기도 하더군요. 2005년에 지율 스님은 목숨을 걸며 노무현·문재인하고 맞섰어요. ‘도롱뇽이 버젓이 있는데, 환경영향평가에는 이 도롱뇽조차 빠졌다’고 하면서 ‘사람도 도롱뇽도 함께 살아야 하지 않느냐?’고 물으려는 뜻이었습니다.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6223831&memberNo=30808385&vType=VERTICAL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모든 정부는 썩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숨은책 881


《우표로 100만장자 되는 길》

 김재환

 양지문화사

 1966.11.15.



  이제 나래터(우체국)에 가서 나래꽃(우표)을 사기는 쉽지 않습니다. 나래꽃을 아예 안 파는 곳마저 꽤 있습니다. 글월을 부치는 값만 찍찍 뽑아서 찰싹 붙이는 얼거리로 바뀌었어요. 나래꽃을 안 쓰다시피 하는 오늘날에는 나래꽃 값어치가 어떨까요? 예전에는 ‘사람들한테 거의 없는’ 나래꽃 하나가 어마어마하게 비쌌다고 했습니다. 글자루에 붙인 나래꽃에 어떻게 쿵 찍느냐에 따라, 이 새김무늬로 값을 매기기도 했습니다. 이제는 ‘사용제 우표·봉투’라는 말은 잊혔다고 할 만하고, 나래꽃집(우표상)은 거의 사라졌어요. 《우표로 100만장자 되는 길》이라는 묵은 책을 2000년 언저리에 서울 불광동 헌책집에서 만났습니다. 그즈음은 벌써 ‘나래꽃 모으기(우표 수집)’는 철지난 놀이였어요. 책집지기님하고 이 책에 적힌 ‘당신도 돈벌 수 있다’라는 글자락이며, 일러두기에 줄거리를 함께 살피면서 “‘우표로 돈벌 수 있다’라는 말은 다 뻥 아니에요? 우표를 파는 가게에서 아이들 코묻은 돈으로 장사한 셈 아닐까요?” 같은 말을 주고받았습니다. 다들 가난하고 버거워서 무엇 하나로도 돈길을 찾고 싶었는지 모릅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나래꽃은 이웃나라에서 값으로 쳐주지 않았어요. ‘우두머리(대통령) 얼굴’에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자주 찍어대는 나라는 후지다고 여기거든요. 그나저나 《우표로 100만장자 되는 길》은 뒤쪽에 ‘韓國郵票投資目錄’을 싣습니다. ‘우표목록’이 아닌 ‘투자목록’이라는 이름으로 스스로 값어치를 떨어뜨리는 모습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숨은책 902


《弁證法とはどういうものか》

 松村一人 글

 岩波書店

 1950.11.20.첫/1971.3.20.36벌



  헌책집에서 책을 살필 적에 으레 일본 손바닥책을 뒤적입니다. ‘암파서점(岩波書店)’을 비롯한 여러 곳에서 나온 작은책을 들추는데, 일본은 진작부터 우리나라 이야기를 꾸준히 자주 내놓았고, 우리나라에서는 좀처럼 나오기 어려운 책을 값싸고 단출하게 여밉니다. 더구나 조그마한 책 사이에 담은 책갈피조차 남달라요. 책을 읽다가 꽂는 구실뿐 아니라, 책밭을 새롭게 헤아리는 징검돌도 담으니 쏠쏠합니다. 《弁證法とはどういうものか》는 1950년에 처음 나오고서 1971년에 36벌을 찍은 꾸러미이고, 이 책을 장만해서 읽던 분은 ‘영진장서(永辰藏書)’라는 글씨를 새겨서 꾹 찍었을 뿐 아니라, 바지런히 배운 손자국이 곳곳에 있어요. “이웃나라 손바닥책을 두 손에 품고서 살뜰히 배운 자국”을 쓰다듬으면서 “오늘 나는 어떻게 익히며 가꾸려는가?” 하고 스스로 묻습니다. 더 빠르게 바뀌는 물결이고, 하루가 채 지나지 않아도 갖은 이야기가 휙휙 쏟아지지만, 오히려 띄엄띄엄 천천히 읽고 새깁니다. 바쁠수록 돌아가라는 말처럼, 바쁠수록 한 손에는 종이책을 들고, 다른 손에는 붓을 쥡니다. 사각사각 손글씨를 적습니다. 느끼고 생각하는 바를 적바림합니다. 이제부터 일굴 살림길을 곰곰이 되새깁니다. 하루를 쪼개기보다는 하루를 통으로 바라봅니다. 그리고 책을 읽었으면, 그만큼 아이들하고 집안일을 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숨은책 901


《괴테名言集, 인생·예술·행복》

 괴테 글

 이지상 옮김

 백조서점

 1959.8.10.



  일본에서 지은 말인 ‘문고본(文庫本)’입니다. ‘○○문고’는 모조리 일본 책살림을 흉내낸 판입니다. 이름도 엮음새도 줄거리도 일본책을 베꼈고, 때로는 알맹이까지 통째로 훔쳤더군요. 1959년에 나온 《괴테名言集, 인생·예술·행복》은 ‘白潮新書 11’라는데, ‘백조신서’는 아예 일본 손바닥책 이름마저 따왔더군요. 책끝에 붙인 “다른 손바닥책 이름과 줄거리”를 담은 칸짜임도 일본책을 따라했습니다. 그래도 지난날 이 작은 《괴테명언집》을 한글판으로 읽던 분은 고맙게 여겼겠지요. 주머니에 쏙 넣고서 언제 어디에서라도 가볍게 펼치면서 아름말(명언)을 곱씹을 만하거든요. 우리나라는 1945년부터 거의 2000년까지 손바닥책도, 살림꾸러미(백과사전)도, 낱말책(사전)도, 그림책에 동화책까지도, 일본책을 여러모로 훔쳤습니다. 헌책집을 다니다가 이런 흉허물을 마주할 적에 쓴웃음을 짓는데, 좀 더디고 품을 많이 들이더라도, 손수 영어나 독일말이나 스웨덴말을 제대로 익혀서 옮겨 보았다면, 스스로 속힘을 키울 수 있어요. ‘영일사전’을 ‘영한사전’으로 슬쩍한들 우리 영어 솜씨가 늘지 않습니다. 문득 생각해 봅니다. 우리 나름대로 ‘작은책’이나 ‘손바닥책’이라 할 만합니다. ‘주머니책’이라 할 수 있어요. ‘조약돌책’이나 ‘씨앗책’ 같은 이름도 어울려요. 조그마한 씨앗 한 톨을 이 바쁘고 북새통인 한복판에 가만히 심고서 느긋느긋 보듬고 싶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4.2.14.

숨은책 565


《선생님과 아이들이 함께 하는 향토교실》

 편집부 엮음

 인천향토교육연구회

 1993.3.26.



  푸른배움터를 다니던 열여덟 살에 인천 배다리 헌책집에서 《제4차 향토기행, 개항장 일대》를 찾아내어 읽고서, 한국사·세계사 길잡이한테 우리도 이런 마을짚기(향토기행)를 해봐야 하지 않겠느냐고 여쭈었어요. 한 분은 “고3이 무슨 향토기행?”이라며 내쳤고, 다른 분은 《개항장 일대》를 저한테 빌려서 곰곰이 읽으시더니 아무 말이 없었습니다. 배움터 길잡이가 못 하겠다면 스스로 하자고 생각했습니다. 으리으리한 이름을 붙이진 않았어도, 어릴 적부터 동무네에 걸어서 놀러갔다가 걸어서 돌아오는 길은 모두 마을짚기였습니다. 때로는 중구 신흥동부터 북구 산곡동까지 걸었고, 수봉공원을 에돌아 용현동과 주안동을 지나고 구월동까지 걸었어요. 또래는 “입시를 앞두고 무슨 마을걷기냐?” 하며 시큰둥했고, 밑내기도 한나절 걷기를 손사래쳐서 혼자 걸었습니다. 만석동과 화수동에 사는 동무한테 이 골목으로 걸어갔다면, 우리 집까지 돌아갈 적엔 딴 골목을 걸었습니다. 고3이던 1993년에 《선생님과 아이들이 함께 하는 향토교실》을 헌책집에서 또 찾았습니다. ‘인천역사터잡이―어진내 3’으로 나온 꾸러미입니다. 용케 내놓아 준 분이 있고, 즐겁게 챙겨서, 나와 이웃이 맺은 마을길을 이어 보았어요. 누가 시켜야 배움길을 갈 수 있지 않아요. 혼자 걷고, 스스로 걷고, 노래하면서 즐겁게 걸을 뿐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