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넋·삶 87 이야기동무, 어깨동무



  이야기를 나눌 동무가 있어서 이야기를 나눕니다. 이야기를 나눌 동무하고 생각을 도란도란 주고받습니다. 나는 스스로 깊고 넓게 생각을 키워서 너한테 들려주고, 너는 너대로 스스로 넓고 깊게 생각을 가꾸어서 나한테 들려줍니다. 우리는 언제나 이야기를 나눕니다. 이야기를 나누면서 생각을 살찌우니 서로 아름답게 새로운 꽃으로 피어납니다. 새봄과 같은 꽃내음을 나누는 봄동무예요.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동무는 이내 어깨동무를 합니다. 생각을 주고받는 사이에 마음을 열고, 마음을 열어서 북돋우는 사이에 사랑이 자라요. 어깨동무를 하는 두 사람은 서로 아름다운 숨결로 사랑을 길어올립니다. 어깨동무는 곧 놀이동무로 거듭납니다. 함께 놀면서 깔깔 웃습니다. 놀다가 어느새 노래를 불러요. 기쁘게 노니까 기쁜 노래가 저절로 샘솟습니다.


  바야흐로 노래동무로 자랍니다. 노래동무는 놀이동무로서 어깨동무를 합니다. 노래동무는 노래와 놀이를 함께 누리면서 기쁘게 웃으니 웃음동무이기도 합니다. 왁자지껄 이야기꽃을 피우는 두 사람은 이야기동무이기도 해요. 더없이 사랑스럽습니다. ‘살을 섞는 몸짓’이 아니라 ‘마음을 곱게 아끼는 숨결’로 사랑동무가 됩니다. 동무는 끝없이 새로운 동무가 됩니다. 참말 ‘새동무’입니다.


  새동무는 새롭게 웃음과 놀이를 짓습니다. 새롭게 웃음과 놀이를 지으면서 삶을 배웁니다. 이윽고 두 사람은 삶동무로 나아갑니다. 씩씩하게 한길을 걷는 길동무입니다. 이 길을 씩씩하게 걸어가면서 배움동무입니다. 함께 배우고 가르칩니다. 서로 배우고 나눕니다. 밥 한 술을 나누고, 옷 한 벌을 나눕니다. 나눔동무이자 밥동무입니다. 살림을 함께 지으면서 가꾸기에 살림동무이기도 합니다.


  두 동무는 씩씩하게 일합니다. 어느새 어른으로 자랐어요. 어릴 적에는 놀이동무였고 배움동무였는데, 어른이 되면서 일동무가 되고 꿈동무가 됩니다. 이제는 서로서로 이루고픈 꿈이 있어요. 서로서로 도와서 저마다 이녁 꿈으로 가는 길에 씩씩한 길잡이 구실을 합니다.


  꿈을 슬기롭게 이루려고 힘쓰는 두 사람은 생각동무입니다. 꿈을 이루기까지 어떤 일을 하면서 삶을 가꾸어야 하는가를 놓고 슬기롭게 생각하니까 생각동무입니다. 생각동무는 생각을 말로도 나누고 마음으로도 나누어요. 그래서 말동무이면서 마음동무요 슬기동무입니다.


  어느덧 두 동무는 저마다 짝꿍을 만나 새롭게 보금자리를 가꿉니다. 저마다 제 집을 가꾸면서 집동무가 되고, 마을동무로 나아갑니다. 차츰 나이를 먹고, 천천히 철이 들며, 시나브로 생각과 마음과 사랑을 깊이 헤아릴 줄 아는 넋으로 튼튼하게 섭니다. 기나긴 나날에 걸쳐서 동무로 지낸 두 사람은 넋동무입니다. 숨동무이자 바람동무입니다. 이제는 너이니 나이니 하는 금이 없습니다. 너와 나는 한넋입니다. 한동무입니다. 두 동무는 저마다 낳은 아이들이 씩씩하게 자라요. 아이들한테 아름다운 씨앗을 물려주었습니다. 씨동무입니다. 나이가 들면서 생각은 한결 깊고, 철이 자라면서 꿈은 더욱 밝으며, 언제나 씩씩하면서 슬기는 아름답습니다. 빛동무이자 꽃동무로서 둘은, ‘너나들이’가 됩니다. 짙푸른 숲을 가꾸어 아이들한테 물려주기에 숲동무이기도 하고, 바다처럼 너른 가슴으로 살아가니 바다동무이기도 하며, 지구별에서 함께 숨을 쉬고 바람을 타는 동무라서 흙동무이자 별동무이기도 해요.


  해처럼 포근한 가슴인 두 사람은 해동무입니다. 달처럼 까만 밤에도 환하기에 달동무입니다. 무지개처럼 눈부신 빛살이니 무지개동무입니다. 온삶을 함께 걸어왔으니 온동무입니다. 너나들이는 너와 나라는 울타리나 금이 없기에 ‘우리’라는 말 한 마디로 빙그레 웃어요. ‘우리동무’이고 ‘우리님’입니다. 그리고, 고요히 숨을 거두면서 바람을 타고 하늘로 오릅니다. 마지막으로 서로 하늘동무가 되면서 ‘님동무’인 ‘하느님’으로 삶을 끝맺습니다. 4348.4.14.불.ㅎㄲㅅㄱ


(최종규/숲노래 . 2015 - 람타 공부/숲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 좀 생각합시다 15


 처치 곤란


  이러지도 못하거나 저러지도 못한다고 할 적에는 예부터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다” 하고 말했는데, 어느 때부터인가 “처치 곤란(處置 困難)”이라는 한자말이 유행말처럼 퍼집니다. 버리지도 못하고 그렇다고 건사하지도 못할 적에도 “처치 곤란”이라고 말하기 일쑤입니다.


  영어사전에서 문득 ‘intractability’라는 낱말을 찾아보니 뜻풀이를 “고집스러움, 다루기 힘듦, 처치 곤란”처럼 적습니다. 영어를 이렇게 풀이했기에 “처치 곤란”이라는 말이 퍼졌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만, 영어사전도 이런 말이 퍼지도록 한몫 거들었다고 할 만합니다.


  그런데, 영어사전에도 나오지만, 알맞게 쓸 한국말은 “다루기 힘듦”입니다. “다루기 힘들”기에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지요. “다루기 힘든” 나머지 버리지도 못하고 그렇다고 건사하지도 못해요.


  그리고, 이리저리 헤매는 모습을 가리켜 ‘갈팡질팡’이라고 합니다. 어떤 일을 맺고 끊는 실마리를 살필 적에 “‘갈피’를 잡는다”고 해요. 이리하여, “아직 갈팡질팡하는구나”라든지 “여태 갈피를 못 잡았어”처럼 말할 만해요. 때에 따라서 “손도 못 대다”나 “손도 못 쓰다”라 할 수 있고, “어쩌지 못하다”나 “헤매기만 하다”처럼 말할 수 있으며, “어쩔 줄 모르다”나 “어찌할 바를 모르다”라 할 수 있습니다. 4348.11.1.해.ㅅㄴㄹ



고기 구울 때 나오는 기름은 처치 곤란이잖아

→ 고기 구울 때 나오는 기름은 다루기 힘들잖아

→ 고기 구울 때 나오는 기름은 버리기 어렵잖아

《최원형-10대와 통하는 환경과 생태 이야기》(철수와영희,2015) 164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적' 없애야 말 된다

 개인적



 개인적 의견 → 개인 생각 / 내 생각

 개인적 경험 → 개인 경험 / 내가 겪은 일

 개인적 차원에서 해결하다 → 스스로 풀다 / 혼자 알아서 풀다

 개인적인 사정으로 → 내 사정으로 / 집안일로 / 내 일로

 개인적인 체험 → 내 체험

 개인적으로 연락하지 않는다 → 따로 연락하지 않는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사람 → 따로 좋아하는 사람


  ‘개인(個人)’은 “국가나 사회, 단체 등을 구성하는 낱낱의 사람”을 뜻한다고 하며, ‘개인적(個人的)’은 “개인에 속하거나 관계되는”을 뜻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개인 자격으로 참가하다”나 “개인적인 자격으로 참가하다”처럼 두 말을 섞어서 쓰기 일쑤입니다. “이것은 나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나 “이것은 내 개인적인 문제가 아니라”처럼 섞어서 쓰기도 해요.


  꼭 써야 할 자리라면 ‘개인’이라고만 쓰면 됩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이 아닌 “개인 생각으로는”이라 쓰거나 “내 생각으로는”처럼 쓰면 돼요.


 개인적인 감정으로 처리하면 안 된다

→ 개인 감정으로 하면 안 된다

→ 제멋대로 하면 안 된다

 저는 개인적으로 참 안 좋은 말이라 여겨요

→ 저는 참 안 좋은 말이라 여겨요

→ 저로서는 참 안 좋은 말이라 여겨요


  그러고 보면, ‘나’를 더 힘주어 말하려고 “내 개인적인 생각으로는”처럼 쓴다고도 할 텐데, “내 개인적인 사견으로는”처럼 쓰는 사람까지 있습니다. 이때에는 ‘나’를 세 차례나 말하는 셈입니다. 그냥 “내 생각으로는”이나 “내가 보기로는”이나 “나로서는”이라고 하면 돼요. 혼자서 바라보기에 ‘나’이고, 여럿이서 바라보기에 ‘우리/저희’입니다. 그리고, 혼자서 바라보는 만큼 ‘혼자’라 할 수 있고, 이야기 흐름을 살펴서 ‘따로’라 할 수 있어요. 4348.11.1.해.ㅅㄴㄹ



제가 개인적으로 겪었던 경험담을

→ 제가 겪었던 일을

→ 제가 무엇을 겪었는가를

→ 제가 겪은 이야기를

《천주교사회문제연구소-분단시대의 성찬과 평화》(일과놀이,1990) 36쪽


내 개인적인 사정을 봐줄 리도 만무했다

→ 내 사정을 봐줄 턱도 없었다

→ 나를 따로 봐줄 턱도 없었다

→ 내 집안일을 봐줄 까닭도 없었다

→ 내 집안일만 더 봐줄 수도 없었다

《샘이 깊은 물》 153호(1997.7.) 175쪽


난 현경이를 개인적으로 좋아했어

→ 난 현경이를 참 좋아했어

→ 난 현경이를 누구보다 좋아했어

→ 난 현경이를 더없이 좋아했어

《서갑숙-나도 때론 포르노그라피의 주인공이고 싶다》(중앙앰엔비,1999) 209쪽


개인적으로 철학에 매진했다

→ 따로 철학에 힘썼다

→ 나는 철학을 파고들었다

→ 혼자서 철학 공부에 온힘을 기울였다

→ 혼자 힘으로 부지런히 철학 공부를 했다

《마크 릴라/서유경 옮김-분별없는 열정》(미토,2002) 22쪽


개인적으로는 독일어를 추천하고 싶다

→ 나는 독일말을 추천하고 싶다

→ 나로서는 독일말을 배우라고 말하겠다

→ 나라면 독일말을 배우겠다

《가와이 에이지로/이은미 옮김-대학인, 그들은 대학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유원,2003) 15쪽


개인적으로 다른 의견을 표명할 수 있다

→ 저마다 다른 생각을 말할 수 있다

→ 사람마다 다른 뜻을 드러낼 수 있다

→ 누구나 다른 뜻을 밝힐 수 있다

→ 내 생각을 이야기할 수 있다

《니콜라 윌로 재단 환경감시위원회/김선미 옮김-자연과 사람을 생각하는 환경 선언문》북갤럽,2003) 12쪽


개인적으로 저는 만족합니다

→ 저는 만족합니다

→ 저는 괜찮습니다

→ 저로서는 좋습니다

《조지 오웰/박경서 옮김-코끼리를 쏘다》(실천문학사,2003) 115쪽


개인적인 일로 권력을 남용하고

→ 개인 일로 권력을 휘두르고

→ 제 일로 권력을 쓰고

→ 집안일로 권력을 부리고

《모리모토 코즈에코/장혜영 옮김-조폭 선생님 6》(대원씨아이,2003) 51쪽


개인적으로 인터뷰하기를 원했다

→ 따로 만나기를 바랐다

→ 조용히 이야기하기를 바랐다

→ 조용히 이야기했으면 했다

《안연선-성노예와 병사 만들기》(삼인,2003) 27쪽


개인적으로 예방할 수 없는

→ 개인으로는 예방할 수 없는

→ 혼자서 막을 수 없는

→ 한 사람 힘으로 어찌할 수 없는

《데브라 데이비스/김승욱 옮김-대기오염 그 죽음의 그림자》(에코리브르,2004) 22쪽


개인적 삶의 스타일은

→ 내가 사는 모습은

→ 내가 살아가는 모습은

→ 내 삶은

《김종휘-너, 행복하니?》(샨티,2004) 63쪽


개인적으로 울림이 깊은 대목을 살펴보고

→ 저한테 울림이 깊은 대목을 살펴보고

→ 제 마음을 깊이 울린 대목을 살펴보고

《김곰치-발바닥 내 발바닥》(녹색평론사,2005) 186쪽


개인적인 글쓰기는 일이라고 볼 수 없다

→ 개인 이야기를 쓰면 일이라고 볼 수 없다

→ 내 이야기 쓰기는 일이라고 볼 수 없다

→ 내 삶을 쓸 때에는 일이라고 볼 수 없다

《폴 제닝스/권혁정 옮김-책벌레 만들기》(나무처럼,2005) 139쪽


개인적인 정도의 차이는 있어도

→ 사람마다 조금씩 달라도

→ 저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 조금씩 다르기는 해도

《강덕상-학살의 기억, 관동대지진》(역사비평사,2005) 91쪽


개인적인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 도움말을 아끼지 않았다

→ 여러 가지 말을 아낌없이 했다

→ 제 생각을 들려주기도 했다

→ 여러모로 도움말을 들려주었다

→ 여러모로 도움 되는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데이비드 바사미언/강주헌 옮김-시대의 양심 20인, 세상의 진실을 말하다》(시대의창,2006) 310쪽


개인적인 의견 등을 말했다

→ 제 생각들을 말했다

→ 제 느낌들을 말했다

→ 어떻게 생각했는지를 말했다

→ 어떻게 느꼈는지를 말했다

→ 어떻게 들었는지를 말했다

→ 어떻게 보았는지를 말했다

《이하영-열다섯 살 하영이의 스웨덴 학교 이야기》(양철북,2008) 157쪽


개인적으로 나는

→ 나는

→ 나로서는

→ 내 생각으로는

→ 내가 생각하기에는

→ 내가 보기에는

《조나단 콕스/김문호 옮김-뛰어난 사진을 위한 접사의 모든 것》(청어람미디어,2008) 18쪽


그저 나의 개인적인 선호 때문이다

→ 그저 내가 좋아하기 때문이다

→ 그저 내가 좋게 여기기 때문이다

《하워드 가드너/류숙희 옮김-인간은 어떻게 배우는가?》(사회평론,2015) 18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적' 없애야 말 된다

 전통적



 전통적 윤리관 → 전통 윤리관 / 예부터 이은 윤리관

 전통적인 생활양식 → 전통 생활양식 / 오래된 살림새

 전통적인 형식 → 전통 형식 / 옛 틀 / 오랜 짜임새

 전통적 교육관 → 전통을 따르는 교육관 / 오래된 교육관

 전통적인 명문대와 신흥 명문대 → 오래된 명문대와 새로운 명문대

 전통적 자연관과 서구적 자연관 → 전통 자연관과 서구 자연관

 전통적 디자인에서 벗어나다 → 낡은 디자인에서 벗어나다

 전통적인 지지층 → 오래된 지지층 / 단단한 지지층


  한국말사전을 보면, ‘전통적(傳統的)’을 “예로부터 이어져 내려오는”으로 풀이하고, ‘전통(傳統)’을 “어떤 집단이나 공동체에서, 지난 시대에 이미 이루어져 계통을 이루며 전하여 내려오는 사상, 관습, 행동 따위의 양식”으로 풀이합니다. 한자말 ‘전통’을 쓰려 한다면 쓸 만하지만, 여느 자리에서는 ‘삶’이나 ‘오랜 삶’으로 손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예로부터 이어져 내려오는”으로 적은 풀이말은 “예부터 이어져 내려오는”으로 바로잡아야 하고, 이러한 말풀이처럼 ‘예부터 이어진’이나 ‘예부터 내려오는’으로 손질해서 쓰면 알맞습니다.


  예부터 이어지거나 내려온 것이란 ‘오래된’을 가리켜요. 때로는 ‘옛’이나 ‘옛날’이나 ‘예전’을 가리키는데, 자리에 따라 ‘묵은·해묵은·케케묵은’이라든지 ‘낡은·낡아빠진’을 가리킬 수 있습니다. 4348.10.31.흙.ㅅㄴㄹ



전통적인 놀이마저

→ 전통놀이마저

→ 옛놀이마저

→ 예부터 즐기던 놀이마저

→ 오래도록 잇던 놀이마저

→ 그동안 함께 즐기던 놀이마저

→ 삶이 고이 깃든 놀이마저

《윤정모-황새울 편지》(푸른숲,1990) 27쪽


티베트의 전통적인 가치관을 엿볼 수 있습니다

→ 티베트에서 예부터 내려오던 생각을 엿볼 수 있습니다

→ 티베트에서 옛날부터 이어오던 믿음을 엿볼 수 있습니다

→ 티베트에서 깊고 오래도록 이은 넋을 엿볼 수 있습니다

《가브리엘 랩킨 엮음/베블링 북스 옮김-평화를 그리는 티베트 친구들》(초록개구리,2008) 117쪽


전통적으로 내려오던 역관문법을 계승하여

→ 전통으로 내려오던 역관문법을 물려받아

→ 예부터 내려오던 역관문법을 이어서

→ 예전부터 내려오던 역관문법을 이어받아

→ 옛날부터 내려오던 역관문법을 따라서

→ 대물림되어 내려오던 역관문법을 살펴서

《최경봉-우리 말의 탄생》(책과함께,2005) 101쪽


전통적으로 수행자들은

→ 수행자들은 전통처럼

→ 예부터 수행자들은

→ 흔히 수행자들은

→ 으레 수행자들은

《법륜-붓다 나를 흔들다》(샨티,2005) 46쪽


어린아이 티를 벗지 못하는 전통적인 이브가 아니라

→ 어린아이 티를 벗지 못하는 낡은(낡아빠진) 이브가 아니라

→ 어린아이 티를 벗지 못하는 해묵은(케케묵은) 이브가 아니라

→ 어린아이 티를 벗지 못하는 구닥다리(한물 간) 이브가 아니라

→ 어린아이 티를 벗지 못하는 판에 박힌(틀에 박힌) 이브가 아니라

《앨리스 밀러/신홍민 옮김-사랑의 매는 없다》(양철북,2005) 28쪽


전통적인 농법을 유지하고 싶은데

→ 전통 농법을 지키고 싶은데

→ 옛 농법을 잇고 싶은데

→ 지난날부터 내려온 농법대로 하고 싶은데

→ 물려받은 대로 흙을 일구고 싶은데

→ 예전부터 짓던 대로 흙을 짓고 싶은데

《데이비드 스즈키·홀리 드레슬/조응주 옮김-굿 뉴스》(샨티,2006) 314쪽


전통적으로 남자한테는

→ 예부터 남자한테는

→ 옛날부터 남자한테는

→ 오래도록 남자한테는

→ 여태껏 남자한테는

→ 그동안 남자한테는

《권인숙-어린이 양성 평등 이야기》(청년사,2008) 48쪽


교육은 전통적으로 젊은이들에게 꼭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 교육은 예부터 젊은이들한테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 교육은 오래도록 젊은이들한테 꼭 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하워드 가드너/류숙희 옮김-인간은 어떻게 배우는가?》(사회평론,2015) 75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156] 노래그림



  어느 모로 보자면 ‘시’라고 할 수 있으나, 나는 시를 쓰지 않습니다. 다만 나는 노래를 부릅니다. 가락을 입혀서 불러야 노래라 할 터인데, 처음에는 가락을 헤아리지 않고 그저 ‘글’을 쓰는데, 이 글은 그냥 글이 아닌 노래입니다. 왜냐하면, 내가 쓰는 글은 나 혼자 읽는 글이 아니라 우리 집 아이들하고 함께 읽으면서 노래로 부르는 글이거든요. 어떤 교육이나 훈육이나 훈계나 훈련 같은 뜻으로 쓰는 글도 시도 동시도 아닌 노래입니다. 그래서 나는 우리 집 아이들하고 함께 부르면서 즐겁게 읽는 이 노래에 ‘삶노래’라는 이름을 붙여 보았어요. 큰아이가 여덟 살인 요즈음은 둘이서 함께 ‘노래 지어서 그림 그리는 놀이’를 합니다. 8절 그림종이에 내가 삶노래를 한쪽에 먼저 써요. 그러면 큰아이도 작은아이도 내 둘레에서 아버지가 글씨를 어떻게 쓰는가 하고 지켜봅니다. 내가 글씨를 다 쓰면, 그러니까 삶노래를 다 쓰면, 이제 큰아이가 그림순이가 되어서 척척 그림을 그립니다. 나는 그림종이에서 ¼쯤 차지하는 삶노래를 빚고, 큰아이는 그림종이에서 ¾ 넓이에 그림을 빚어요. 내 삶노래는 아이 그림이랑 어우러지면서 빛나고, 아이 그림은 내 삶노래와 어울리면서 환합니다. 그래서 우리 둘이 빚는 이 즐거운 놀이에 ‘노래그림’이라는 새 이름을 붙여 봅니다. 다른 어른들은 이 놀이를 ‘시화’라고 하겠지요. 4348.10.31.흙.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놀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