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5.30.


《내 얼굴이 도착하지 않았다》

 이설야 글, 창비, 2022.5.27.



실비가 뿌리고서 걷힌다. 살짝 가뭄을 적시듯이 덮는다. 봄비가 유난히 적어 봄열매는 하나같이 알이 작다. 서울(도시)에서는 비가 적은 줄 느낄까. 비가 안 내려 슈룹(우산)을 안 챙겨도 된다고 여길까. 옛날에는 비가 올 적에 비를 안 가린 줄 잊었을까. 비는 들이며 논밭도 적시지만, 우리 몸도 적신다. 바다에 몸을 담그거나 빗물로 씻을 적에 몸이 말끔하게 빛난다. 풀꽃나무는 가뭄을 탓하는 일이 없다. 숲은 언제나 이슬방울로 촉촉하다. 사람이 파헤친 곳만 가뭄에 고단하다. 사람이 땅을 자꾸 파헤치고 망가뜨리기에 비바람해가 흔들린다고 느낀다. 저녁나절에 작은아이하고 우리 책숲을 다녀오다가 꿩을 만난다. 꿩은 “나 좀 봐. 나 여기에 있어. 너희 곁에 늘 있어.” 하고 알려주는 듯싶다. 《내 얼굴이 도착하지 않았다》를 읽는다. 글님이 펴려는 사랑이 물씬 흐른다. 낱말 하나마다 스스로 사랑하려는 손끝이 만난다. 다만, ‘도착’이란 한자말보다는 ‘닿다’나 ‘다다르다’나 ‘오다’나 ‘이르다’나 ‘가다’라는 우리말을 쓴다면, 말결이 가없이 깊으며 너를 만하다고 느낀다. 우리 노래는 ‘우리 삶말’로 담아내기에 사랑으로 핀다. 한자말이나 영어를 써야 멋진 문학예술이 된다는 허울을 벗으면 누구나 아름노래를 부른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5.29.


《생태 돋보기로 다시 읽는 우리 속담》

 국립생태원 엮음·김영곤 외 그림, 국립생태원, 2016.11.15.



누구라고 글로 밝혀 놓을 수 없으나 대뜸 손전화로 “‘사전투표’ 했느냐”고 묻는 사람이 있다. 손전화라서 이 얘기는 잘 담아 놓았으나 선관위에 보낼까 말까 망설이다가 그만두었다. 가뜩이나 고흥에서 ‘귀여움’ 받으니 ‘귀염거리’를 늘리지 말자. 몇 해 앞서 ‘선거참관인’을 해본 적 있는데, 고흥처럼 작은시골에서는 “누가 뭘 했는지 안 했는지” 매우 쉽게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이 대목이 쉽게 퍼진다. 북녘에 ‘5호감시제’가 있었다면 남녘에도 ‘간첩신고’처럼 집집이 서로 들여다보며 수군수군한다. 바보같은 짓은 떨치고, 석류꽃을 어루만진다. “넌 어쩜 이렇게 야무지면서 새빨갛게 빛날 수 있니? 너한테 ‘붉돌’이란 이름을 새로 지어 보아도 될까?” 우리 집 뒤꼍은 어느덧 숲으로 간다. 바람을 쐰다. 구름이 끼는 하늘을 마신다. 《생태 돋보기로 다시 읽는 우리 속담》을 읽었는데 어쩐지 많이 아쉽다. ‘국립생태원’이라서 ‘생태 돋보기’란 이름을 쓸 테지만, ‘나라숲돌봄이’처럼 어린이 곁으로 다가서는 이름을 지을 생각은 언제쯤 해보려나. 감투를 쓰면 다들 한자말이나 영어로 이름을 붙이려 한다. 네 살 아이 눈으로 마을을 보고, 말글을 보고, 숲을 보고, 사람을 보는 어진 어른이 태어나기를 빌어 본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5.28.


《꽃서점 1일차입니다》

 권희진 글, 행성B, 2021.4.28.



밤에는 서늘하고 낮은 후끈하다. 밤낮으로 바람결이 벌어진다. 다만 우리 집에서만 이렇게 느끼는 셈일 수 있다. 바깥일을 보러 늦은저녁이나 밤에 걷노라면 다른 고장에서는 이런 바람결은 아니니까. 시골에서도 그렇다. 모든 시골이 밤낮이 다르지는 않다. 풀꽃나무가 뜸한 데는 밤에도 덥다. 돌나물꽃을 본다. 앵두알을 바라본다. 지는 꽃찔레(장미)를 쓰다듬는다. 그동안 고맙고 반가웠어. 네 꽃내음은 참 대단하더구나. 별빛을 만진다. 하늘로 손을 뻗어 조물딱조물딱한다. 《꽃서점 1일차입니다》를 읽었다. 올 2월에 부산마실을 하며 〈동주책방〉에서 샀는데, 책더미 어디에 파묻혔는지 두 달 동안 헤매다가 비로소 찾아내어 읽었다. 갈수록 ‘우리 집 책’을 찾아내지 못하고 다시 사는 일이 늘어난다. 꽃서껀 책서껀 있으니 꽃책집이리라. 서울 양천 〈꽃 피는 책〉도 꽃책집이다. 꽃집하고 책집을 더하는 살림은 빛날 만하다고 느낀다. 문득 생각한다. 꽃을 다루는 곳은 ‘꽃집’인데, 책을 다루는 곳을 ‘책집’이라 하는 분이 드물다. 왜 그럴까? 우리나라는 예부터 ‘가게’를 ‘집’이란 낱말로 함께 가리켰다. 그만큼 ‘마을가게’란 뜻이고, ‘찻집·떡집·옷집’처럼, 책도 이제는 마을 품으로 아이들 곁으로 ‘내려와’야지 싶은데.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5.27.


《용의 눈물》

 하마다 히로스케 글·이와사키 치히로 그림, 강라현 옮김, 달리, 2006.5.5.



매실이 쪼그라든다. 비가 적구나. 마을 어르신 마늘밭 일손을 거들며 보니 마늘도 알이 작던데. 읍내 우체국을 다녀온다. 시골버스에서 하루쓰기를 하고 노래꽃을 쓰다가 살며시 눈을 감고서 쉰다. ‘틀린곳 짚기’를 돌아본다. 누가 나한테 틀린곳을 짚어 주면, 얼마나 왜 어떻게 틀렸는지, 또는 그분이 제대로 살펴보았는지 하나하나 되새긴다. 틀림없이 틀렸으면 넙죽 절을 하고, 그분 계신 곳을 알면 책을 부친다. 어쩌다 보니 숲노래 씨는 온갖 책을 읽으며 온갖 책마다 틀린곳을 으레 찾아낸다. ‘틀린곳 짚기’를 이러구러 서른 해를 했구나 싶은데, 틀린곳을 알려줄 적에 고맙다고 절한 사람은 드물다. 안 틀렸다고 억지를 쓰는 분이 퍽 많고, 아무 대꾸가 없는 곳이 가장 많다. 말없이 틀린곳을 고친 곳이 제법 있되, 틀린곳을 안 고치는 곳이 참 많다. 틀린곳을 바로잡을 수 있어 고맙다며 ‘어떻게 바로잡았는가 알려주려고 책을 보낸 분’은 여태 둘이다. 《용의 눈물》은 글도 그림도 아름다운 그림책이다. 숨빛을 읽는 아이가 있고, 숨빛을 안 읽는 어른이 있다. 갈수록 숨빛을 안 읽는 사람이 늘어나는데, 갈수록 서울이 더 크는 탓이다. “서울은 틀려먹었다”는 말을 서글서글 받아들이면서 숲으로 삶터를 옮길 분은 얼마나 있을까?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5.26.


《선생님, 평화통일이 뭐예요?》

 김병연·배성호 글, 이재임 그림, 철수와영희, 2022.5.15.



이른아침에 명동을 걷는데 마을가게가 안 여네. 아이들 몫으로 세모김밥을 사려 했는데. 어쩐 일인지 고흥 돌아가는 아침버스가 있다. 지난 이태 남짓 이 아침버스가 사라졌는데 숲노래 씨더러 집에 얼른 돌아가도록 하늘이 내려준 빛일까. 시외버스에서 손으로 글을 쓰면서 쉰다. 이른아침부터 달렸기에 한낮에 집에 닿아 짐을 끌르고 드러눕자니, 청주에서 찾아온 동무님이 “뭐 하세요? 바람 쐬어요?” 하고 묻는다. 동무님은 부릉이를 몰기에 함께 숲길을 달리고 바닷가에 가서 바닷바람을 쐰다. 동무님은 집으로 돌아가고 나도 집에서 다시 드러눕는다. 별이 쏟아지는 밤이다. 서울사람은 일거리나 돈벌이가 많아도 별밤이 없지. 숲노래 씨는 시골집에서 날마다 별잔치에 새랑 벌레가 베푸는 노래잔치를 누린다. 《선생님, 평화통일이 뭐예요?》를 읽었다. 뜻깊은 책이지만 글님이 더 깊이 안 들어간 대목이 아쉽다. ‘평화통일’을 말하자면 총칼(전쟁무기)을 왜 어떻게 누가 확 없애야 하는가를 다룰 노릇인데, 겉훑기만 했다. 총칼에 길든 돌이가 총칼수렁에서 못 헤어나오는 밑길을 읽고서 슬기롭게 풀어내는 눈썰미를 온나라 길잡이(교사)가 찬찬히 품기를 바라자면 아직 멀었을까. 싸울아비(군인)가 있는 나라에 주먹질(폭력)은 나란히 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