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3.6.


《동시에 고리 걸기》

 전국초등국어교과모임 서울남부 쌀떡밀떡 글, 삶말, 2022.2.20.



옮겨심은 어린 후박나무 두 그루한테 거름흙을 퍼서 덮어 준다. 처음에는 숲노래 씨 혼자서 했는데, 마당에 나와서 놀려고 하던 작은아이가 보더니 “나도 해야지.” 하면서 삽을 들고서 신나게 뛰어다닌다. 어린 후박나무한테 다시금 “잘 자라렴. 너희는 마음껏 뿌리를 내리고 줄기를 올리고 가지를 뻗고 잎을 내렴.” 하고 속삭인다. 《동시에 고리 걸기》를 읽었다. 읽으면서 몹시 아쉬웠다. ‘동시’라는 이름이야 아직 그냥 쓸 수도 있으나, 동시란 무엇인가 하고 풀어내는 글을 보니, 이런 눈길로 어린이한테 가르친다고 한다면 이 나라 배움터에서 어린이가 무엇을 배우려나 싶어 한숨이 나온다. “시는 인문정신을 대표하는 문학의 한 갈래이며, 동시에 ‘없는 세계’를 구현하는 언어 놀이 즉 언어 예술이다(14쪽)”는 뭔 씨나락 까먹는 소리일까? 말이 되는 말인가? 노래꽃(동시)에 무엇이 없단 말인가? 동화하고 동시를 낮잡는 숱한 평론가·작가가 여태 내뱉은 잠꼬대를 그대로 옮긴 생각으로 동시를 읽는다니, 참말로 노래꽃다운 노래꽃을 한 자락이라도 알아차리면서 함께 오늘을 누리고 사랑을 그리면서 꿈을 펴는 실마리를 아이어른이 함께 짓는 밑거름을 이룰 수 있을까? 오늘을 사랑으로 노래하며 숲이 되기에 노래꽃일 뿐이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3.5.


《끝에서부터 시작합니다》

 유창민 글, 부크크, 2021.9.23.



전남 고흥에 마을책집이 열었다. 3월 1일에 열었기에 그날 찾아가 보려 했으나 집살림부터 건사하느라 오늘 틈을 낸다. 고흥읍으로 시골버스를 타고 가서, 도양읍(녹동)으로 건너간다. 바닷바람을 실컷 맞으면서 〈더바구니〉로 걸어간다. 책집지기님은 마을 어린이하고 어울리는 길을 꾸준히 걸어오다가 책집으로 살며시 거듭나셨구나 싶다. 배움책(교과서·참고서)이 아닌 삶책을 들여놓는 첫 고흥책집이라 할 텐데, 고흥 이웃님부터 이곳을 눈여겨보기를 바라고, 녹동바다로 마실하는 길손도 살며시 들를 수 있기를 빈다. 책집에서 조금만 걸으면 바닷가에 이른다. 녹동바다는 풍덩 뛰어드는 바닷가는 아니고, 늘 찰랑거린다. 오던 길을 거슬러 집으로 돌아가니 해가 똑 떨어진다. 《끝에서부터 시작합니다》는 부산 보수동 〈파도책방〉 지기님이 쓴 책이다. 모든 책이며 글에는 지은이 삶이 그대로 흐른다. 날마다 물결을 치는 눈빛이 감돌고, 하루하루 이 너울결을 다독이는 손빛이 맴돈다. 꽃이 피고 져야 씨앗을 맺고, 씨앗을 맺어야 새로 뿌리를 내리고 싹을 틔워서 꽃으로 핀다. 돌고도는 길이 아닌, 새롭게 나아가는 살림이다. 푸나무는 해마다 잎을 떨구어 둘레 흙을 까무잡잡하게 북돋우고, 사람은 오늘을 가꾸어 모레를 기쁘게 맞이한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3.4.


《바다로 간 고래》

 트로이 하월 글·리처드 존스 그림/이향순 옮김, 북뱅크, 2019.10.15.



오늘은 폭 쉬기로 한다. 어제 옮겨심기를 할 적에는 이럭저럭 즐거이 했다고 여겼으나 새벽에 일어나고 보니 온몸이 찌뿌둥하다. 이처럼 찌뿌둥하기 싫으니 다들 틀(기계)을 곁에 두리라 본다. 삽차를 쓰면 수월하고 빠르겠지. 일꾼을 부리면 힘이 안 들 테지. 손으로 삽질에 호미질을 하면, 부릉이를 건사하지 않고 두 다리로 걷거나 자전거를 달리면, 온몸을 고스란히 쓰니 머리털부터 발끝까지 욱씬거리게 마련이다. 마당에 서서 하늘을 보니 온통 먼지로구나. 안개도 조금 끼었지만 먼지하늘이다. 《바다로 간 고래》를 다시 편다. 갓 태어날 무렵부터 서울(도시) 한켠에 갇힌 채 사람들한테 구경거리 노릇을 하던 고래는 바다가 있는 줄 모르며 살았다고 한다. 구경거리가 되는 곳(수족관) 빼고는 간 적이 없고 듣거나 배운 적이 없으며, 고래 동무나 헤엄이 이웃도 없으니까. 오늘날 우리는 누가 이웃이고 동무일까? 숲을 속삭이고 풀꽃나무를 들려주고 별빛하고 햇빛이 어우러지는 삶빛을 이야기하는 이웃하고 동무가 있는 삶인가, 아니면 나라(사회·정부)가 떠드는 대로 배움터에 길들면서 쳇바퀴를 도는 굴레인가? 어느 날 아이는 고래한테 ‘집’이 따로 있다고 속살거렸단다. 아이라면 누구나 처음 태어날 적부터 무엇이든 다 안다.


ㅅㄴㄹ

#whaleinaFishroom #TroyHowell #RichardJone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3.3.


《열두 살 해녀》

 김신숙 글·박둘 그림, 한그루, 2020.8.27.



오늘은 모과나무를 옮겨심는다. 아홉 해쯤 앞서 감나무 곁에서 가지를 못 뻗는 석류나무를 너른 자리로 옮겼는데, 이때 옮긴 곳 옆에 조그마한 나무가 있었다. 그때에는 대수로이 여기지 않았는데 아홉 해 즈음 지나고 보니 굵다란 모과나무로 뻗었다. 처음에는 혼자 뿌리를 캤고, 이내 작은아이가 알아채고서 거들고, 이윽고 곁님하고 큰아이도 알아보고서 돕는다. 옮겨심을 적에는 구덩이를 똑같이 둘 파는 셈이라 힘이 곱으로 든다. 봄볕하고 봄바람을 누리면서 삽질에 호미질을 한다. 뿌리가 다치지 않도록 살살 파다가 더 깊이 팔 수 없을 즈음 톱으로 자른다. 모과나무 뿌리를 캘 일이 여태 없었으니 몰랐을 텐데, 호미나 삽으로 뿌리를 스칠 적마다 해맑으며 달달한 내음이 훅 끼친다. 이토록 달며 싱그러이 냄새가 퍼지는 뿌리가 있던가? 저녁에 서울 손님이 찾아온다. 이야기꽃을 늦도록 편다. 《열두 살 해녀》를 돌아본다. 늙은 어머니한테서 물려받은 이야기로 엮은 노래꽃(동시)이다. 나는 우리 어버이한테서 무슨 이야기를 물려받았을까? 오늘 우리 아이들은 나한테서 무슨 이야기를 이어받을까? 함께 짓고 같이 돌보고 서로 아끼면서 나누는 손길이 모이면 저절로 이야기밭을 이루지 싶다. 이야기는 참말 먼데에 있을 까닭이 없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3.2.


《하늘에서 돌이 쿵!》

 존 클라센 글·그림/서남희 옮김, 시공주니어, 2021.9.5.



맑게 트인 하늘을 본다. 찌푸렸던 어제는 빨래를 안 했으니 오늘 신나게 빨래를 한다. 큰아이하고 서울·인천·일산·서울을 빙그레 돌고서 고흥에 돌아오고서 하루 잘 쉬었으니, 빨래도 하고, 뒤꼍에서 어린 후박나무 둘을 옮겨심는다. 사람이 씨앗을 심어도 잘 자랄 테지만, 새가 열매를 먹고서 눈 똥으로 묻은 씨앗일 적에 참으로 잘 자란다. 새는 어쩜 이렇게 나무심기를 잘 할까? 사람은 새한테서 숲살림을 배우고, 노래하기를 배우고, 집짓기를 배우고, 짝짓기를 배우고, 하루를 누리는 즐거운 길을 배울 노릇이라고 생각한다. 《하늘에서 돌이 쿵!》을 작은아이가 좋아한다. 여러모로 돌아볼 대목이 있고, 빗대는 생각이나 이야기가 너르다. 돌이 쿵 떨어지기에 쳐다보거나 느끼는 사람이 있고, 돌이 떨어지거나 말거나 아랑곳않는 사람이 있다. 돌을 걱정하는 사람이 있고, 돌을 치우려는 사람이 있다. 돌이 무엇을 하든 스스로 하루를 아름답고 사랑스레 그리면서 둘레를 가꾸는 사람이 있고, 그냥그냥 쳇바퀴에 갇히거나 톱니바퀴가 되어 헤매는 사람이 있다. 옮긴 자리에서 어린 후박나무가 튼튼히 마음껏 뿌리를 내리기를 빈다. 살살 북돋우고 토닥인다. 옮겨심었기에 더 자주 들여다보면서 쓰다듬어 본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