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1.4.8.

숨은책 319


《信仰》 6호

 全師基督學生會 傳道部 엮음

 全師基督學生會

 1951.11.8.



  종이 한 자락이 어떻게 책이냐고 묻는 분한테 되묻습니다. “1000쪽으로 나오면 책이지요?” “그럼.” “100쪽으로 나오면 책인가요?” “그렇지.” “99쪽은?” …… “55쪽은?” …… “12쪽은?” …… “1쪽은?” 1000쪽부터 1쪽으로 오는 동안 ‘쪽이 적어도 책이다’라는 말을 할밖에 없습니다. 이 되물음에 “말장난 같은데?” 하고 대꾸하시다가도 ‘두툼하지 않으면 책이 아니’라는 생각에 갇혔다는 말이 나오곤 합니다. 두껍기에 값진 책이 아니요, 얇기에 안 값진 책이 아닙니다. 저마다 다른 숨결을 언제나 새로운 손길로 가다듬어서 엮기에 이야기꾸러미인 책입니다. ‘全師基督學生會 傳道部’에서 6호로 낸 《信仰》은 1951년 11월 8일에 태어납니다. 1951년이면 한겨레가 총부리를 서로 들이대며 죽이던 뼈아픈 한복판입니다. 그무렵 종이 한 자락하고 오늘날 종이 한 자락은 사뭇 다릅니다. 그무렵 종이 한 쪽으로 낸 이야기꾸러미는 오늘날하고도 확 다르겠지요. 앞뒤 한 쪽짜리 종이에 빼곡하게 쇠붓으로 새기어 나누려는 믿음길은 삶길을 비는 애타는 눈물입니다.

.

“不安의 이世上을 異常히 生覺하며 이世上의 不安을 이世上것으로 解決된다 生각마라. 不安은 이世上의 正體이며 解決은 이世上의 終末과 더부러있을 것임을 알라.”

.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1.4.8.

숨은책 510


《강특고 아이들 6》

 김민희 글·그림

 서울문화사

 2010.



  만화책을 안 반기는 분이 많아요. 이 나라가 ‘만화’란 이름에 씌운 굴레에 매인 탓은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오랫동안 만화책은 ‘청소년 유해도서’란 굴레에 갇혀야 했고, 1990년으로 접어든 뒤에도 ‘열린터에서 유해만화 불태우기’ 같은 일이 벌어졌습니다. 곰곰이 생각하다가 ‘만화는, 글하고 그림을 꽃처럼 여미는 이야기꾸러미’라는 얼거리를 살펴 ‘그림꽃책’이란 이름을 지어 보았어요. 만화책은 그림으로만 꾸리는 일이 더러 있지만 으레 글이 꽃처럼 어우러지는 이야기이기 마련입니다. 그림도 글도 꽃처럼 엮을 적에 어린이랑 어른이 손잡고 누릴 아름다운 책으로 태어나요. 2010년 앞뒤로 태어나 일곱걸음으로 맺은 《강특고 아이들》은 새로웠습니다. 종이책을 떠나 누리그림(웹툰)으로 가는 사람이 아주 많은데, 이 그림꽃책은 종이책으로 우리 삶자리 이야기를 녹여내었어요. 일본스러운 결에 젖어들지 않은 채 아기자기하면서 익살에 속뜻을 품었지요. 그런데 ‘서울문화사·학산문화사·대원’처럼 그림꽃책만 힘껏 펴내는 곳에서 나오면, 아무리 재미나고 알차고 좋더라도 아름책(추천도서)에는 안 넣는다는 말을 곳곳에서 들었습니다. 그림꽃책을 오래도록 내는 곳에서 낸 책을 안 보면 만화는 어디에 있을까요?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숨은책 516


《少女百面相》

 佐々木邦 글

 大日本雄辯會講談社

 1933.10.20./1936.3.25.14벌



  때랑 곳을 가리지 않고 읽습니다. 갓 나온 책도 해묵은 책도 읽습니다. 시골버스를 타고 읍내로 가거나, 시외버스를 타고 큰고장에 가거나, 큰고장에서 전철을 타거나, 그냥 길을 적에도 읽습니다. 밥을 짓다가 설거지까지 마치고 손이 비면 물을 닦고서 몇 줄이나 몇 쪽을 슥 읽습니다. 아기를 업고 어르면서도, 자장자장 노래를 부르고 토닥이면서도 읽었어요. 읽을 적에는 그저 읽을 뿐, 글쓴이나 펴낸곳 이름은 안 봅니다. 이야기에 흐르는 마음만 헤아립니다. 해묵다 못해 낡고 빛바랜 《少女百面相》을 처음 만나던 때에는 ‘어떤 책이기에 이렇게 낡고 닳도록 오늘까지 살아왔을까’ 궁금했습니다. 책자취를 보니 1933년에 처음 찍고 1936년에 열넉 벌을 찍었다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꽤 오랫동안 엄청 사랑받은 책이라더군요. 우리나라에는 이 책이 언제 처음 들어왔을까요? 일본사람 아닌 한겨레가 이 책을 장만해서 읽었지 싶어요. 책 안쪽에 “이 冊은 大端히 재미있읍니다” 하고 한글로 적었어요. 책 곳곳에 한글·한자·일본글을 섞은 적바림이 있습니다. 아마 1936년 언저리에 이 땅 어느 고장 어느 분이 ‘재미있게’ 읽었을 텐데요, 일본말을 쓰고 일본살림을 배우며 먹고살아야 하던 손길이 귀퉁이에 남은 셈입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숨은책 514


《한글》 제4권 제8호

 조선어학회·이윤재 엮음

 조선어학회

 1936.9.1.



  헌책집을 돌며 묵은 《한글》을 하나씩 장만해서 읽었습니다. 한글학회에 오랜 《한글》은 없다고 했습니다. 1950∼80년대에 나온 《한글》은 어렵잖이 만나서 읽다가 2002년 1월에 서울 〈뿌리서점〉에서 1930년대 《한글》을 처음 만났고, 2021년 3월에 부산 〈고서점〉에서 다시 만났습니다. 2002년에 1930년대 《한글》을 처음 만날 적에는 ‘로빈손 무인절도 표류기’나 ‘하멜 표류기’를 옮긴 글이 새로웠다면, 2021년에 1930년대 《한글》을 다시 만나서 읽자니 온통 새까맣게 일본 한자말을 쓰는 글결이 거슬립니다. 곰곰이 보니 조선어학회는 1920∼40년대에 걸쳐 ‘한글맞춤법 통일안’을 세우는 데에 온힘을 쏟았고, ‘기독교 성경’하고 싸웠더군요. ‘기독교 성경’이 한글을 퍼뜨리는 데에 앞장섰지만 ‘서울말(표준어)’이 아닌 사투리를 그대로 쓴다며 나무랍니다. 선교사·조선총독부는 진작 ‘조선말 사전’을 엮었습니다. 낱말책을 엮자면 맞춤길·서울말이 서기도 해야겠으나, 선교사·조선총독부는 사투리를 나무라지 않았어요. 맞춤길을 세우고 서울말로 가다듬어도 나쁘지 않으나, 새물결에 걸맞게 새말을 짓는 길에도 마음을 쏟으면 좋았을 텐데 싶어 아쉽고, 이 얼개가 오늘날 국립국어원까지 고스란히 흐르네 싶습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숨은책 515


《近世日本 國民史 豊臣氏時代戊篇 朝鮮役 中卷》

 德富猪一郞 글

 民友社

 1935.5.25.



  이웃나라 일본에서는 툭하면 ‘홀로섬(독도)’을 저희 땅으로 여기는 말을 내놓고, 배움책(교과서)에 이런 얘기를 적는다고 합니다. ‘자취 비틀기(역사 왜곡)’를 한다는데, 우리는 우리 자취를 어느 만큼 되새기거나 똑바로 밝혀서 오늘 새롭게 들려주는지 궁금합니다. 《近世日本 國民史 豊臣氏時代戊篇 朝鮮役 中卷》은 ‘도요토미 씨’하고 얽혀 ‘조선으로 쳐들어온(임진왜란·朝鮮役)’ 이야기를 다룹니다. ‘근세일본 국민사’란 이름을 달고 1920∼30년대에 쉰 자락에 이르는 책을 내놓았고, 밑글을 꼼꼼히 보면서 엮었다지요. 우리는 1500년·1800년·2000년 나라자취(한국사)뿐 아니라 살림자취(생활사)를 얼마나 찬찬히 갈무리해서 밝힐까요? 고구려·백제·신라·가야·부여 자취나 살림살이를 얼마나 알뜰히 여미어 나눌까요? 이웃나라에서도 비틀기를 하지만, 우리 스스로도 ‘역사 연속극’을 엉뚱하게 그려서 말밥에 자꾸 오릅니다. 무엇보다 임금자리 아닌 살림자리 이야기는 거의 안 적거나 안 밝히곤 해요. 이제는 이웃나라하고 한자리에 앉아서 함께 나라자취·살림자취를 적고, 수수한 사람들 살림새를 고이 여기는 길이 되어야지 싶어요. 우리 자취는 우리 손으로 쓰고, 우리 살림은 우리 손으로 지을 노릇입니다.


ㅅㄴㄹ


(이곳으로 들어가면 《豊臣氏時代戊篇 朝鮮役 中卷》을 볼 수 있습니다.

https://dl.ndl.go.jp/info:ndljp/pid/1223757/201?tocOpened=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