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1.8.26.

숨은책 537


《音樂과 現實》

 박용구 글

 민교사

 1949.4.15.



  일곱 살까지는 거리끼지 않고 노래를 불렀다면, 여덟 살로 넘어선 뒤부터 입을 다물었습니다. 여덟 살에 들어간 배움터에서는 아이들을 줄세우고 셈겨룸(시험)을 시키며 나무라거나 웃음거리로 삼았어요. 이제 와 돌아본다면, 어른(교사)들이 무슨 멱 따는 소리라고 놀리거나 나무라건 말건 스스로 노래하고 싶을 적에 신나게 노래하면 될 뿐입니다. 노래도 놀이도 눈치로는 못 누리거든요. 노래바보(음치)이더라도 즐거이 노래를 부르고 싶어서 새뜸나름이로 지내고 싸움판(군대)을 다녀오던 1995∼1999년에 새벽이나 아무도 없는 곳에서 목청껏 노래를 하면서 소릿결을 가다듬었어요. 누구한테 불러 주기보다 스스로 몸을 달래는 가락하고 말을 펴고 싶었어요. 《音樂과 現實》은 이 땅에서 노래라는 빛을 새롭게 지으며 펼치려고 애쓴 박용구 님(1914∼2016)이 홀로선(해방) 나라에서 기쁘게 여민 책입니다. 갈라진 나라에서 헤매느라 일본으로 조용히 건너가서 일하다가 이승만이 무너진 뒤에 돌아왔더니 샛놈(간첩) 소리를 들으며 고단하기도 했다지만, 온해(100년)를 넘나든 삶길은 노래와 함께하기에 견디었겠지요. 저는 2008년부터 맞이한 우리 집 아이들한테 날마다 노래를 불러 주며 하루하루 새롭게 살림을 짓는 기운을 얻었습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2021.8.22.

숨은책 535


《手工敎育學原論》

 鈴木定次 글

 同文館

 1928.9.25.



  1923년, 서울에 ‘조선총독부 도서관’이 섭니다. 우리나라 첫 책숲(도서관)은 아니나, 우리 삶터를 다룬 책을 알맞게 갈래를 지어서 두루 건사하기로는 처음이라고 할 만합니다. 총칼을 앞세우던 일본이 물러간 1945년 9월에 이곳은 ‘국립도서관’으로 바뀌고, 이윽고 ‘국립중앙도서관’이 됩니다. 일본사람이 건사했던 숱한 책을 얼결에 우리가 챙기면서 ‘나라책숲’을 가꾼 셈입니다. 그때 우리 책숲지기(도서관 사서)는 일본책을 어떻게 했을까요? 보기 싫어서 버렸을까요, 우리 삶터를 일굴 밑자락으로 삼으려 했을까요? 《手工敎育學原論》은 “朝鮮總督府圖書 記號 I.丙 六, 番號 251”이란 이름글을 새겼는데, 손살림을 아이한테 가르치는 길을 찬찬히 밝힌 책입니다. 나라책숲 이름글은 없으나 ‘朝鮮總督府圖書館’이라 찍힌 붉은 이름글에 ‘消’라는 글씨를 덧씌웠고, 곳곳에 ‘政府 圖書課 1947.10.14.’라는 이름글을 따로 찍습니다. 1945년 8월 뒤로 버림받을 뻔하다가 살아남았으나, 이제는 내버린 책이 되어 헌책집에 깃들었고, 2021년 8월에 서울 〈숨어있는 책〉에서 만났습니다. 마지막까지 머물 자리가 있기에 아스라한 자취를 돌아봅니다. 그들은, 또 우리는 어린이한테 무엇을 가르치거나 보여주면서 책을 여미는 마음일까요.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1.8.12.

숨은책 533


캔디플로스

 루머 고든 글

 에이드리엔 아담스 그림

 햇살과나무꾼 옮김

 비룡소

 2014.3.10.



  처음에는 《인형의 집》(햇살과나무꾼 옮김, 비룡소, 2008)이었습니다. 같은 이름으로 나온 다른 책이 우리나라에 훨씬 알려졌습니다만, ‘루머 고든(Rumer Godden 1907∼1998)’이라는 분이 쓴 어린이책 《인형의 집》을 읽으며 애틋하면서 아름다운 이야기에 놀랐어요. 어린이를 사랑하는 마음이 물씬 흐르는 글에 담뿍 빠졌어요. 2014년에 《캔디플로스》하고 《튼튼 제인》이 우리말로 나옵니다. 더 놀랐어요. 이분 다른 책을 우리말로 만날 수 있다니 더없이 고맙더군요. 헌책집에서 《소년세계위인전기전집 9 안데르센》(루우머 고덴/장경룡 옮김, 육영사, 1975)을 만나고서 다시 깜짝 놀랍니다. 이분 책이 진작 우리말로 나왔더군요. 더구나 《안데르센》은 제가 어릴 적에 배움터(국민학교) 학급문고로 읽은 몇 안 되는 책입니다. 어릴 적에는 글님 이름을 살펴보지 않았고, 2008년에 이르도록 이분 책이 우리말로 안 나왔으니 만날 길조차 없었지요. 아이들이 늘 곁에 두는 장난감 가운데 ‘인형’을 눈여겨보면서 ‘온갖 장난감이 속삭이는 말과 품는 생각’을 따사로이 풀어낸 숨결이 무척 곱구나 싶습니다. 다만, 애써 나왔어도 이내 사라진 《캔디플로스》하고 《튼튼 제인》은 이 나라 아이들 곁에서 다시 피어날 수 있을까요?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2021.8.6.

숨은책 494


《어머니는 나에게 하고 싶은 일을 하라고 하셨다》

 데즈카 오사무 글·그림

 정윤이 옮김

 누림

 1999.2.5.



  “예전에는 다 그랬지.” 하고들 말하지만, 막상 예전 그맘때 이야기를 둘레에 여쭈면 “우리는 안 그랬는데?” 하는 이웃님이 많습니다. 저는 막내여서 아버지 어머니 형한테서 늘 맞으며 자랐는데 “전 맞은 적이 없는데요? 때린다고요?” 하고 되묻는 이웃님이 꽤 있어요. 늘 맞으며 자란 아이는 늘 무엇이든 “하면 안 되”었습니다. “시키는 대로 해!”란 소리를 늘 듣지요. 어느 날 어머니가 한숨을 길게 내쉬면서 “누구는 하고 싶은 대로 안 하고 싶은 줄 아니? 다들 하고 싶은 대로 하면 집안일은 누가 하니? 하고 싶지 않아도 다 꾹 누르고 참으면서 사는 법이야.” 하시더군요. 《어머니는 나에게 하고 싶은 일을 하라고 하셨다》를 읽으며 첫 쪽부터 끝 쪽까지 내내 눈물에 젖었습니다. 서슬퍼런 총칼나라 일본에서 ‘둘레 목소리’를 모조리 가로막는 든든한 품이 되면서 아이를 사랑으로 돌본 어머니가 있었군요. 이 어머니는 이녁 아이가 뒷날 ‘그림꽃님(만화의 신)’이란 이름을 받을 줄 알았을까요? 테즈카 오사무(데즈카 오사무) 님이 이녁 그림꽃에 늘 사랑을 담은 바탕은 바로 어머니 손빛이었지 싶습니다. 사랑이어야 미움을 녹이고 싸움을 잠재운다지요. 사랑이어야 꿈을 꾸고 어깨동무를 한다지요. ‘늘사랑’입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2021.8.6.

숨은책 435


《東仁全集 第六卷 아기네·王府의 落照》

 김동인 글

 정양사

 1951.12.10.



  푸른배움터를 다닐 무렵, 시키는 대로 배우고 외우면서도 “영 아니지 싶은데? 거짓말 같은데? 그러나 이대로 안 외우면 시험점수를 못 받는데? 이곳을 마칠 때까지 참고 거짓말을 외워야 하나?” 하고 생각했습니다. 푸른배움터를 다니며 ‘국어’하고 ‘문학’이란 이름으로 김동인이며 서정주 같은 사람들 글하고 책을 자주 읽고 외워야 했습니다. 읽으면서도, 또 이들이 쓴 글을 다룬 물음종이(시험지)를 풀면서도 “이런 사람들 글이 아니라, 아름답고 사랑스러운 글이 얼마나 많은데, 왜 우리를 이런 글에 가두나?” 하고 아리송했습니다. 《東仁全集 第六卷 아기네·王府의 落照》는 1951년에 김동인 님이 숨을 거둔 다음 나옵니다. 남북이 갈려 한창 싸우던 무렵 꽤 좋은 종이에 껍데기까지 씌웠지요. 이즈음 남북 모두 종이가 모자라 배움터에서는 배움책조차 제대로 없어요. 《동인전집》은 무슨 뒷배로 반들거리는 판으로 나올 수 있었을까요? 가만 보면 총칼나라(일본 제국주의) 앞잡이 노릇을 한 김동인 이야기는 오래도록 쉬쉬했고, ‘동인문학상’까지 생겼어요. 글을 쓰는 사람일수록 바른길을 가고, 붓으로 이야기를 펴는 사람부터 바른말을 나눌 노릇이나, 우리나라는 글힘이 이름힘·돈힘하고 손잡고 짬짜미였지 싶습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