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4.3.26.

숨은책 898


《나츠코의 술 1》

 오제 아키라 글·그림

 박시우 옮김

 학산문화사

 2011.7.25.



  1999년에 처음 한글판이 나온 《명가의 술》이 2011년에 《나츠코의 술》로 이름을 바꾸어 새로 나왔습니다. 1999년에는 굳이 술을 들려주는 그림꽃을 읽어야 할까 하고 여기며 아예 안 폈습니다. 2011년에 이르러 문득 폈습니다. 곰곰이 보면 술이 무엇인지 들려주는 글이나 그림꽃이 뜻밖에 적다고 느꼈고, 제대로 다루는 글이나 그림꽃도 드물더군요. 《나츠코의 술》은 나츠코라는 아가씨가 옛술을 새롭게 살릴 뿐 아니라, ‘술로 담그는 쌀’이 무엇인지 밑바닥부터 온몸으로 배우고서 온마음으로 깨닫는 길을 밝힙니다. 모두 열두 자락으로 새로 나온 그림꽃을 마지막까지 덮고서 “아! 책이름에 ‘술’이란 낱말이 깃들 뿐, 이 그림꽃은 ⅔나 ‘논밭살림’을 다루는구나! 겉으로만 보면 안 될 일이었어!” 하고 뉘우쳤습니다. 빈곳에서 손수 빚어서 빛을 이루는 이야기란 눈부십니다. 비운 자리에 사랑이 비추도록 가다듬는 살림길이란 반짝거립니다. 술 한 모금도 밥 한 그릇도 땅에서 옵니다. 모든 마실거리하고 먹을거리는 들숲바다가 베풉니다. 한 방울에 서린 바람을 읽을 적에는 한 톨에 감도는 별빛을 헤아립니다. 더 많이 거두어 더 많이 사고팔아야 넉넉하지 않아요. 오롯이 이슬 같은 눈빛으로 지을 적에 알차면서 아름답습니다.


#夏子の酒 #尾瀬あきら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4.3.26.

숨은책 900


《詩人의 눈》

 조지훈 글

 고려대학교출판부

 1978.4.30.



  요즈음은 예전처럼 한자를 함부로 드러내어 글을 쓰는 사람이 드뭅니다만, 굳이 한자를 밝히는 글을 적는 분이 꼭 있습니다. 한자를 잘 안다면 구태여 한자를 안 씁니다. 영어를 잘 안다면 애써 영어를 안 씁니다. 잘 알기에 누구나 쉽게 맞아들일 만하게 우리말로 풀거나 녹여서 들려줍니다. 얼핏 알거나 가볍게 아는 분들이 자꾸 한자나 영어를 자랑합니다. 두바퀴를 잘 모는 사람은 자랑하거나 뽐내면서 달리지 않습니다. 두바퀴가 비싸거나 좋다고 자랑하려는 이들이 함부로 달리거나 휘젓습니다. 《詩人의 눈》은 1978년에 나왔고, 그무렵 적잖은 글바치는 한자를 새까맣게 적었습니다. 그런데 그무렵에 나온 《뿌리깊은 나무》는 한자를 한 마디도 안 썼어요. 바탕이 한자말이라 하더라도 ‘한글로 적어도 누구나 알 수 있는 낱말’을 가려서 쓰던 《뿌리깊은 나무》입니다. 버스를 ‘bus’로 적어야 글멋이 나지 않습니다. 시도 ‘詩’가 아닌 ‘시’라 적으면 되고, 어린이를 헤아린다면 ‘노래’로 풀 만합니다. 노을처럼 너울처럼 누리처럼 느긋하면서 함께 말놀이를 펴는 ‘노래’입니다. 묵은 글이어도 배울 대목은 있고, 비록 우리글하고 우리말을 등졌어도 노래넋과 노래눈을 익힐 수 있습니다만, 이제는 글결부터 바꿔야지 싶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숨은책 883


《후쿠시마 오염수 10가지 괴담》

 편집부 엮음

 대한민국 정부

 2023.7.10.



  2023년 8월 11일에 고흥군 고흥우체국에 글월을 부치러 갔다가 《후쿠시마 오염수 10가지 괴담》을 문득 보았습니다. 언제부터 꽂혔는지 모르겠지만, 두고두고 건사하자고 여기면서 챙겼습니다. 그런데 이 꾸러미를 누가 쓰고 엮었는지, 또 언제 펴내었는지 어디에도 없습니다. “10가지 괴담”을 알린다고 하면서 정작 누가 알리는지 알 길이 없고, 무엇을 바탕으로 이렇게 엮었는지도 알 수 없습니다. 오직 하나 ‘대한민국 정부’에서 펴냈다고 하는데, 책자취(간기)조차 없이 내놓는다면, 또 더 궁금하거나 묻거나 따지고 싶을 적에 어디로 물어봐야 하는지조차 없다면, 참말로 ‘대한민국 정부’에서 냈는지, 아니면 다른 곳에서 나라이름을 빌려서 냈는지 아리송할 만합니다. 나중에 알고 보니,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적어도 9만 자락을 찍어서 온나라에 뿌렸고, 기차에도 놓았다더군요. 앞으로 더 찍을는지 안 찍을는지 알 길조차 없는데, ‘역대 괴담 사례’라 하면서 ‘2005년 천성산터널 반대’를 들기도 하더군요. 2005년에 지율 스님은 목숨을 걸며 노무현·문재인하고 맞섰어요. ‘도롱뇽이 버젓이 있는데, 환경영향평가에는 이 도롱뇽조차 빠졌다’고 하면서 ‘사람도 도롱뇽도 함께 살아야 하지 않느냐?’고 물으려는 뜻이었습니다.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6223831&memberNo=30808385&vType=VERTICAL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모든 정부는 썩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숨은책 881


《우표로 100만장자 되는 길》

 김재환

 양지문화사

 1966.11.15.



  이제 나래터(우체국)에 가서 나래꽃(우표)을 사기는 쉽지 않습니다. 나래꽃을 아예 안 파는 곳마저 꽤 있습니다. 글월을 부치는 값만 찍찍 뽑아서 찰싹 붙이는 얼거리로 바뀌었어요. 나래꽃을 안 쓰다시피 하는 오늘날에는 나래꽃 값어치가 어떨까요? 예전에는 ‘사람들한테 거의 없는’ 나래꽃 하나가 어마어마하게 비쌌다고 했습니다. 글자루에 붙인 나래꽃에 어떻게 쿵 찍느냐에 따라, 이 새김무늬로 값을 매기기도 했습니다. 이제는 ‘사용제 우표·봉투’라는 말은 잊혔다고 할 만하고, 나래꽃집(우표상)은 거의 사라졌어요. 《우표로 100만장자 되는 길》이라는 묵은 책을 2000년 언저리에 서울 불광동 헌책집에서 만났습니다. 그즈음은 벌써 ‘나래꽃 모으기(우표 수집)’는 철지난 놀이였어요. 책집지기님하고 이 책에 적힌 ‘당신도 돈벌 수 있다’라는 글자락이며, 일러두기에 줄거리를 함께 살피면서 “‘우표로 돈벌 수 있다’라는 말은 다 뻥 아니에요? 우표를 파는 가게에서 아이들 코묻은 돈으로 장사한 셈 아닐까요?” 같은 말을 주고받았습니다. 다들 가난하고 버거워서 무엇 하나로도 돈길을 찾고 싶었는지 모릅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나래꽃은 이웃나라에서 값으로 쳐주지 않았어요. ‘우두머리(대통령) 얼굴’에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자주 찍어대는 나라는 후지다고 여기거든요. 그나저나 《우표로 100만장자 되는 길》은 뒤쪽에 ‘韓國郵票投資目錄’을 싣습니다. ‘우표목록’이 아닌 ‘투자목록’이라는 이름으로 스스로 값어치를 떨어뜨리는 모습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숨은책 902


《弁證法とはどういうものか》

 松村一人 글

 岩波書店

 1950.11.20.첫/1971.3.20.36벌



  헌책집에서 책을 살필 적에 으레 일본 손바닥책을 뒤적입니다. ‘암파서점(岩波書店)’을 비롯한 여러 곳에서 나온 작은책을 들추는데, 일본은 진작부터 우리나라 이야기를 꾸준히 자주 내놓았고, 우리나라에서는 좀처럼 나오기 어려운 책을 값싸고 단출하게 여밉니다. 더구나 조그마한 책 사이에 담은 책갈피조차 남달라요. 책을 읽다가 꽂는 구실뿐 아니라, 책밭을 새롭게 헤아리는 징검돌도 담으니 쏠쏠합니다. 《弁證法とはどういうものか》는 1950년에 처음 나오고서 1971년에 36벌을 찍은 꾸러미이고, 이 책을 장만해서 읽던 분은 ‘영진장서(永辰藏書)’라는 글씨를 새겨서 꾹 찍었을 뿐 아니라, 바지런히 배운 손자국이 곳곳에 있어요. “이웃나라 손바닥책을 두 손에 품고서 살뜰히 배운 자국”을 쓰다듬으면서 “오늘 나는 어떻게 익히며 가꾸려는가?” 하고 스스로 묻습니다. 더 빠르게 바뀌는 물결이고, 하루가 채 지나지 않아도 갖은 이야기가 휙휙 쏟아지지만, 오히려 띄엄띄엄 천천히 읽고 새깁니다. 바쁠수록 돌아가라는 말처럼, 바쁠수록 한 손에는 종이책을 들고, 다른 손에는 붓을 쥡니다. 사각사각 손글씨를 적습니다. 느끼고 생각하는 바를 적바림합니다. 이제부터 일굴 살림길을 곰곰이 되새깁니다. 하루를 쪼개기보다는 하루를 통으로 바라봅니다. 그리고 책을 읽었으면, 그만큼 아이들하고 집안일을 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