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만지기


 날마다 세 시간 남짓 책을 만진다. 바닥에 신문종이 두 장을 깔고, 책을 스물다섯 권쯤 얹은 다음, 다시 신문종이 두 장을 위에 얹는다. 지난해에 쓰고 나서 갈무리한 끈뭉치를 다시 끄집어 내어 책을 천천히 묶는다.

 끈으로 묶은 책뭉치가 도서관 한쪽에 차츰 쌓인다. 한 해 만에 책을 다시 묶는다. 집일을 하는 틈을 쪼개어 조금씩 책을 묶는다. 책을 묶다가도 이내 집으로 돌아가서 일을 해야 하니까 느긋하지 않다. 책을 묶으며 이 책은 언제 어디에서 어떻게 샀고, 이 책을 읽으며 어떠했던가 하고 돌아보지 못한다. 그저 바삐 묶고 다시 묶으며 쌓을 뿐이다.

 집에서는 집에서대로 아이랑 집일이랑 복닥여야 하고, 도서관에서는 도서관에서대로 책묶기에 매달려야 한다. 하루에 한 쪽씩 꼬박꼬박 읽자고 다짐했던 삶인데, 요 며칠 동안 한 쪽조차 못 읽고 지나가는 하루가 되고 만다.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어떤 책이 내 삶으로 스며들 수 있을까. 눈코 뜰 사이 없는 사람은 무슨 책을 손에 쥘 만할까. 사람이 새벽부터 밤까지 쉴 겨를이 조금조차 없다면, 이 사람한테는 무슨 기쁨과 보람이 있다 할 만할까.

 느긋하거나 한갓지지 않다면 책을 읽을 수 없다고 하리라. 바빠도 바쁜 틈을 쪼개어 책을 읽는다 하리라. 그런데, 책이란 뭘까. 책 하나는 힘겹거나 고단한 사람한테 어떻게 마음밥이 될 만한가. 네 살 첫째 아이가 아버지가 책을 묶는 곁에서 뛰고 노래하면서 논다. 집일하는 보금자리에서는 혼자 그림책을 무릎에 얹어서 펼친다. 스스로 놀고 스스로 읽는 아이가 대견하다. 일하는 아버지 곁에서 놀고 읽는 아이가 고맙다. 등허리를 쿵쿵 두들기며 사진기를 살짝 들어 아이가 놀거나 읽는 모습을 사진으로 한두 장 적바림하면서 내 책읽기로 삼는다. (4344.7.3.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이가시


 오이에 가시가 있다고 생각하지 못했다. 겉에 오돌토돌 돋은 뭔가가 있구나 하고 느끼지만, 있거나 없거나 날로 그냥 먹어 버릇했다. 다른 사람이 먹도록 차릴 때에는 손바닥으로 슥슥 훑어서 썰었다.

 오이를 딸 때에 손바닥이 가시에 찔린다고들 한다. 그렇지만 나는 오이를 따며 장갑을 낀 일이 없다. 그냥 맨손으로 딴다. 뭔가 손바닥을 간질이지만, 이 간질이는 녀석이 가시라고 여기지 않았다.

 문득 예전 어머니들을 떠올린다. 빨래기계가 없던 지난날, 고무장갑이 없던 지난날, 실장갑이 없던 지난날 어머니들을 헤아린다. 집안일을 하든 집밖일을 하든, 으레 맨손으로 모든 일을 하던 어머니들을 생각한다.

 오이에는 틀림없이 가시가 있단다. 텃밭에서 오이를 따며 가만히 돌아보니 틀림없이 가시라 할 만하다. 두릅싹을 딸 때에도 두릅나무 가시에 찔려야 한다. 반창고라느니 연고라느니 하나도 없던 지난날 어머니들 손은 어떤 모양이었을까. 예쁘장하거나 연기가 빼어나다는 연예인이 역사연속극에서 ‘어머니 차림’으로 멋진 모습을 뽐내는 일은 흔할 테지만, 또 잘생기거나 울퉁불퉁한 힘살을 뽐내는 연예인이 역사연속극에서 ‘아버지 차림’으로 훌륭한 말을 들려주는 일은 흔할 테지만, 오늘을 살아숨쉬는 어머니하고 아버지는 어디에서 만나야 좋을까. (4344.7.1.쇠.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지렁이 걱정


 엊저녁부터 빨래하는 방에 지렁이가 나타난다. 장마철 빗줄기가 그치지 않으니 이곳에까지 지렁이가 나오는가 보다. 지렁이가 살아가는 흙 속에 빗물이 너무 많이 고여 숨이 차기 때문일 테지. 퍼붓는 빗줄기라 하더라도 사이사이 한 시간쯤 쉰다면 밭에 물이 고이지 않을 테지만, 몇 시간 내리 퍼붓는 비일 때에는 제아무리 물빼기를 잘하는 밭이라 하더라도 물이 고이고 만다. 이렇게 되면 밭에서 살아가는 지렁이는 물에 잠겨 숨이 막혀 죽을 수밖에 없다.

 골목동네 인천 한켠에서 살던 때에도 비가 퍼붓는 날 골목마실을 하면 지렁이를 곧잘 보곤 했다. 조용한 동네 한켠에 꽃밭이나 텃밭을 일구는 분들 살림집 언저리에서는 어김없이 지렁이를 만난다. 그러나, 도시에 살던 지난날 지렁이를 참으로 걱정했다고는 느끼지 않는다. 아, 지렁이가 여기에서도 사는구나, 하고 생각하거나 느낄 뿐이었다.

 멈출 길 없이 퍼붓는 빗줄기에 개똥벌레이며 파리이며 모기이며 어떻게 견딜까. 나비와 나방과 잠자리는 어떻게 먹이를 찾거나 날개를 말릴까. 도랑에 살던 도룡뇽과 개구리는 이 물결에 휩쓸리지 않을까. 아이 손을 잡고 우산을 받은 채 도랑 옆에 서서 거세게 구비치는 물결을 바라보았다. 문득, 푸른개구리 옛이야기가 떠올랐다. 사람 아닌 조그마한 개구리, 이 가운데에서도 더 작은 푸른개구리 눈으로 바라볼 때에 이 도랑물이 얼마나 무시무시할까. 푸른개구리한테 냇물은 바다요, 이 도랑만 하더라도 낙동강이나 압록강처럼 길고 커다라며 깊은 물줄기라고 느끼지 않을까. 퍼붓는 거센 비에는 굵직한 물줄기 둘레 땅도 무너지는데, 멧골짝 조그마한 도랑 둘레 흙이라 하면 금세 쓸리겠지.

 여러 날 길디길게 이어지는 빗줄기라 하더라도 부디 한 시간이나 두 시간씩 비가 쉬어, 멧새와 풀벌레와 흙벌레와 멧짐승이 먹이를 찾거나 몸을 말릴 겨를을 내준다면 하늘님과 구름님이 참말 고맙겠다. (4344.6.25.흙.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햇빛눈물 2011-06-26 21:10   좋아요 0 | URL
아...위에 도깨비 동화책도 그렇지만 내용이 왠지 옛 생각이 나는 것들이네요. 저도 오늘 아이하고 산책을 나갔습니다. 비가 퍼붓다 잠시 햇볓이 보이길래 너무 답답해서 나갔죠. 그런데 주차장(아파트에 삽니다) 바닥에 달팽이 한 마리가 있던군요. 요즘 아이가 걸을때마다 바닥을 보며 나뭇잎이나 돌맹이를 주우는 버릇이 있어, 저도 덩달아 지나다닐때마다 아이랑 길바닥을 보곤하죠. 그러다 달팽이를 보았습니다. 한 마리, 두 마리, 세 마리... 아이랑 와이프랑 셋이서 꿈틀거리는 달팽이를 보았죠. 그러다 그 옆을 보니 그 무엇에 밝힌 달팽이들이 있더군요. 이것들에게 목숨이 이리 하찮을까요? 그 달팽이들을 보며 시골살때 비올때면 길바닥에 널려있던 지렁이 생각이 났었습니다. 지렁이가 왜 나오나 했더니 그런 이유가 있었군요.

숲노래 2011-06-27 02:46   좋아요 0 | URL
작은 목숨들은 장마나 큰비에 물에 빠져 죽거든요. 사람들은 자동차를 타면서 이들 작은 목숨을 밟아서 죽이는데, 밟아서 죽이는 줄을 너무 쉽게 잊고 말아요......
 



 하이디는 왜 글을 배워야 하는가


 알프스 알름산에서 살아가던 하이디는 거짓말하는 이모 손에 이끌려 프랑크푸르트라는 큰도시로 갑니다. 흰눈이 덮이는 높은 멧봉우리에서 할아버지랑 양치기 오빠랑 염소랑 새랑 개랑 나무랑 벌판이랑 사귀고 싶은 하이디는 큰도시를 갑갑한 구멍이라고 느낍니다. 여덟 살 하이디가 할 줄 아는 일이란 염소젖 짜기입니다. 여덟 살 하이디는 글을 읽을 줄 모를 뿐더러, 책을 들여다본 적이 없습니다. 알프스 알름산에서 함께 살아가는 할아버지나 이웃 할머니나 양치기 오빠 또한 책을 들여다본 적이 없거나 책을 살필 일이 없습니다.

 프랑크푸르트에서는 수많은 사람이 수많은 집에 모여 수많은 일을 하고 수많은 돈을 벌거나 쓰면서 살아갑니다. 프랑크푸르트 구멍집 창문은 조그마할 뿐 아니라 좀처럼 열리지 않는데다가, 애써 창문을 연달지라도 똑같이 생긴 구멍집만 바라볼 뿐입니다. 드넓은 하늘과 벌판과 나무와 숲과 멧짐승과 멧새와 흰눈을 바라볼 수 없습니다. 매캐한 바람이 불고 매서운 마음씨만 가득합니다. 너른 곳에서 너른 바람이 불며 너른 마음으로 사귀는 사람을 더는 마주하기 힘듭니다.

 생각해 보면, 알프스 알름산에서 살아가는 사람일 때에는 굳이 종이에 새겨진 글을 읽을 까닭이 없습니다. 흰눈이 책이고 파란하늘이 책이며 푸른들과 우거진 숲이 책입니다. 염소젖을 짤 때에 몽클몽클한 젖퉁이가 책이고, 멧새가 우짖는 소리가 모조리 책이에요. 프랑크푸르트 같은 큰도시에서는 살가이 사귈 이웃이나 동무가 아니기 때문에, 혼자 외로우니까 종이에 새긴 글을 곰곰이 팔밖에 없습니다. 글을 읽고 쓸 줄 모른다면 큰도시에서는 일자리조차 얻을 수 없고, 일자리를 얻어 돈을 벌어들여도 느긋하거나 따숩게 쉴 보금자리를 마련하기는 힘듭니다.

 여덟 살 하이디는 글을 배워야 할까요. 여덟 살 하이디는 학교에 다녀야 즐거운 앞날이 열릴까요. 여덟 살 하이디는 글을 배우지 않고 깊은 멧봉우리에서 할아버지하고 둘이 살아가는 일이 괴롭거나 나쁜 일이 될까요. 여덟 살 하이디가 학교에 다닌다면 누가 무엇을 가르치며 하이디가 앞으로 어디에서 무슨 일을 하며 살아가기를 바랄까요. (4344.6.23.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으로 보는 눈 163 : 자랑하려고 읽는 책


 아무리 바빠도 밥을 먹어야 합니다. 바쁘기 때문에 끼니를 걸러도 되지 않습니다. 바쁘니까 하루에 한두 끼니만 먹는다든지, 밥때에 반 그릇만 먹어도 되지 않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바쁘기 때문에 잠을 안 자도 된다든지 반만 자도 되지 않습니다. 내 몸을 살찌울 밥을 먹고, 내 몸을 쉴 잠을 자야 합니다.

 아무리 바빠도 책을 읽어야 합니다. 바쁘기 때문에 책읽기를 걸러도 되지 않습니다. 바쁘니까 한 해에 한 권을 사서 읽는다든지, 한 달에 한 권 가까스로 사서 읽는다든지, 아예 책이라고는 아랑곳하지 않는다든지 해도 되지 않아요. 바쁘다 해서 내 마음과 넋을 살찌우는 책하고 등돌릴 수 없어요. 바쁘니까 책을 읽습니다.

 가난하기 때문에 밥을 굶어도 되거나 적게 먹어도 되지 않습니다. 돈이 많건 적건 배고프기는 매한가지입니다. 가난하기에 잠을 적게 자야 하지 않습니다. 가난하대서 밤잠을 줄이거나 건너뛰어도 되지 않아요. 가난하니까 책 따위를 장만하는 데에 돈을 못 써도 되지 않습니다. 가난한 사람은 마음밥을 안 먹어도 되지 않아요.

 가난하기에 더 맛나게 밥을 먹어야 합니다. 가난하니까 더 달콤하게 밤잠을 즐겨야 합니다. 가난한 만큼 더 알차게 마음밥을 맞아들여야 합니다. 가난한 사람일수록 마음과 넋을 살찌우는 책을 장만하는 데에 품과 돈과 땀을 들여야 합니다.

 1923년에 태어나 인천 화평동에서 수채그림을 그리며 마지막 삶을 빛내는 박정희 할머님 이야기가 담긴 《박정희 할머니의 행복한 육아일기》(걷는돌,2011)가 새로 나왔습니다. 2000년에 처음 나왔으나 제대로 빛을 못 보고 스러졌는데, 새옷을 입고 한결 어여삐 태어났습니다. 새로 나온 책 머리말에 박정희 할머님은 “좋은 동화책을 찾아다니다가 구할 수가 없어 직접 만들어 보자고 마음먹었다. 그래서 글도 쓰고 그림도 그려 넣은 〈육아일기〉를 만들어 아이들에게 주었다.”고 적습니다. 네 딸과 한 아들이 태어나 자란 자취를 곰곰이 되돌아보며 적바림한 육아일기는 아이들이 한글을 깨우치는 길잡이가 되기도 했고, 이제 할머니 할아버지가 된 다섯 아이가 저희 어린 삶뿐 아니라 저희 새 아이들한테 옛이야기를 들려주는 좋은 길동무가 되기도 합니다. 박정희 할머님은 당신 다섯 아이를 돌보며“유명한 사람, 부모에게 효도하는 사람이 되기보다는 스스로의 삶을 즐기는 행복한 어른으로 크길 바라는 마음이 컸다.”고 덧붙입니다.

 참 그렇습니다. 누구나 이름난 사람이 되거나 돈 잘 버는 사람이 되거나 힘센 사람이 될 까닭이 없어요. ‘어버이한테 효도하는 사람’이 될 까닭이나 ‘나라에 충성하는 사람’이나 ‘회사에 몸바치는 사람’이 될 까닭이 없습니다. 아이들은 스스로 제 삶을 사랑하며 아끼는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아이들은 동무와 이웃과 살붙이를 믿으며 어깨동무하는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착하고 참다우며 곱게 살아야 할 아이들이에요. ‘효도’하거나 ‘충성’하거나 ‘근면’한 삶은 자랑하는 책읽기입니다. ‘사랑’하고 ‘믿’으며 ‘나누’는 삶이 될 때에 비로소 착하고 참다우며 고운 책읽기예요. 착한 어버이가 착한 아이를 낳아 착한 책을 읽습니다. (4344.6.22.물.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양철나무꾼 2011-06-22 15:35   좋아요 0 | URL
된장님의 글을 읽다보면...어느새 저도 독기 빠지고 유순해 지는 느낌이 들어요.
바빠도 책을 읽어야 할텐데 쉽지 않네요.

숲노래 2011-06-22 18:34   좋아요 0 | URL
바빠서 책을 못 읽는 사람은 없어요.
몸이나 마음이 힘들어서 책을 못 읽는답니다...
기운내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