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넋·삶 26 넉넉하고 너그러우니 넓다



  마음이 큰 사람은 이웃과 동무를 얼마든지 받아들입니다. 마음이 크지 못한 사람은 이웃과 동무뿐 아니라 나 스스로도 받아들이지 못하기 일쑤입니다. 마음이 크기에 이웃과 동무를 기꺼이 받아들일 뿐 아니라, 나 스스로 살가이 사랑할 수 있습니다. 마음이 크지 못한 탓에 아무도 받아들이지 못하니, 내가 나조차 받아들이지 못해 내가 나를 사랑하는 길을 그만 잊기 일쑤입니다.


  ‘넉넉하다’는 “마음이 크고 시원하다”를 뜻합니다. “남을 만큼 많다”를 가리키며, “어느 자리가 크다”를 가리킵니다. 이리하여, “살림이 제법 넘쳐서 남을 만큼 남다”를 가리키기도 합니다. 우리가 흔히 일컫는 ‘부자’는 바로 “넉넉한 사람”입니다. 다만, 부자 가운데 구두쇠나 자린고비나 깍쟁이가 있을 뿐입니다.


  ‘넉넉하다’에서 ‘너그럽다’가 갈립니다. ‘넓다’도 함께 태어납니다. 마음이 크고 시원한 사람은 생각을 한결 크고 시원하게 트거나 열 수 있고, 생각을 한결 크고 시원하게 트거나 열기에 언제나 환하면서 눈부신 슬기와 빛과 셈으로 나아갑니다.


  넉넉하거나 너그럽거나 넓은 사람은 ‘네가 나한테서 하나를 빌거나 얻으려’ 하면 하나를 줄 뿐 아니라 둘을 주기도 하고, 아예 몽땅 주기도 합니다. 몽땅 주면 나한테 아무것도 안 남는다고 여길는지 모르나, 넉넉한 사람은 새롭게 마음그릇을 채웁니다. 너그러운 사람과 넓은 사람도 새롭게 마음자리를 채우고 마음밭을 가꿉니다. 네가 나한테서 빌리거나 얻어도 좋으며, 네가 나한테서 모두 가져가도 좋다고 하는 품이 바로 넉넉함이요 너그러움이며 넓음입니다. 푸고 또 퍼도 다시 풀 수 있습니다. 푸고 자꾸 퍼도 새롭게 풀 수 있습니다.


  사랑을 나누는 사람은 언제나 사랑을 나눕니다. 사랑은 마르지 않거든요. 꿈을 키우는 사람도 언제나 꿈을 키웁니다. 꿈은 끝나지 않습니다.


  마르지 않는 모든 것을 얼마든지 나눌 수 있기에 넉넉합니다. 마르지 않도록 언제나 철철 넘치게 가꾸거나 새롭게 지으니 너그럽습니다. 마르지 않는 샘물이 되어 나와 이웃과 동무 모두 웃고 노래할 터전을 일구니 넓습니다.


  넉넉함은 숫자로 따지지 않습니다. 이 만한 숫자가 되어야 넉넉하지 않아요. 너그러움은 부피로 살피지 않습니다. 이쯤 되어야 너그럽지 않지요. 넓음은 크기로 재지 않습니다. 이 크기는 넓고 저 크기는 좁다고 하지 않을밖에요.


  햇볕은 늘 넉넉합니다. 햇살은 늘 너그럽습니다. 햇빛은 늘 넓습니다. 넉넉하기에 웃음이 자라고, 너그럽기에 노래가 흐르며, 넓기에 춤이 샘솟습니다. 넉넉하기에 일마다 기쁘고, 너그럽기에 놀이가 재미나며, 넓기에 삶이 신납니다. 샘물이 겨울에도 얼지 않는 까닭은 쉬지 않고 끝없이 솟으면서 흐르기 때문입니다. 사랑은 언제나 샘물처럼 흐릅니다. 샘물은 한겨울에 따스하고 한여름에 시원합니다. 사랑은 누구한테나 고루 아름답게 스밉니다.


  마시고 마셔도 바람은 사라지지 않습니다. 마시면 마실수록 더욱 싱그러우면서 푸르게 흐르는 바람입니다. 바람을 마시면서 온몸에 파란 기운을 그득 담았다면, 이제부터 나는 넉넉하고 너그러우면서 넓은 삶으로 거듭날 기운을 새롭게 펼칩니다. 4348.2.23.달.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람타 공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 말도 익혀야지

 (632) 그/그들 5


그러나 반세기 동안 자기 혼자 사는 법을 터득한 대마를 뽑아 치우는 정도로 절종시킨다는 발상은 자연을 너무 얕보는 행위이다. 그는 추위와 더위, 병해충, 다른 종족의 간섭을 이겨내고 혼자 사는 방법을 터득했다

《함광복-DMZ는 국경이 아니다》(문학동네,1995) 50쪽


 그는 추위와 더위를 이겨내고

→ 삼은 추위와 더위를 이겨내고

→ 삼잎은 추위와 더위를 이겨내고

→ 삼이라는 풀은 추위와 더위를 이겨내고

→ 이 풀은 추위와 더위를 이겨내고

 …



  풀은 풀입니다. 풀을 가리킬 적에는 ‘풀’이라고 합니다. 풀을 가리켜 ‘그’나 ‘그녀’라 하지 않습니다. 꽃이나 나무를 가리킬 적에도 ‘그/그녀’를 쓰지 않습니다. 꽃은 ‘꽃’이요, 나무는 ‘나무’입니다. 이 보기글에서는 ‘삼’이나 ‘삼잎’이나 ‘삼풀’이나 ‘삼이라는 풀’로 고쳐씁니다. 4339.10.20.쇠.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그러나 반세기 동안 저 혼자 사는 길을 익힌 삼을 뽑아 치워서 없앨 수 있다는 생각은 숲을 너무 얕보는 짓이다. 삼은 추위와 더위, 병과 벌레, 다른 풀을 모두 이겨내고 혼자 사는 길을 익혔다


‘자기(自己)’는 ‘저’로 손보고, “사는 법(法)을 터득(攄得)한”은 “사는 길을 깨달은”이나 “사는 길을 익힌”이나 “사는 길을 안”으로 손보며, ‘대마(大麻)’는 ‘삼’으로 손봅니다. “뽑아 치우는 정도(程度)로 절종(絶種)시킨다는 발상(發想)”은 “뽑아 치워서 없앨 수 있다는 생각”으로 손질하고, “자연(自然)을 너무 얕보는 행위(行爲)이다”는 “숲을 너무 얕보는 짓이다”로 손질하며, ‘병해충(病害蟲)’은 ‘병과 벌레’나 ‘벌레’로 손질합니다. “다른 종족(種族)의 간섭(干涉)을 이겨내고”는 “다른 풀을 모두 이겨내고”나 “다른 풀이 우거져도 이겨내고”로 다듬습니다.


..



 우리 말도 익혀야지

 (681) 그/그들 6


나의 아들이 죽었다. 조국이 나에게서 아들을 빼앗아갔다. 그는 그의 삶을 희생했다

《야누쉬 코르착/송순재·김신애 옮김-홀로 하나님과 함께》(내일을여는책,2001) 48쪽


 나의 아들이 죽었다. 그는 그의 삶을 희생했다

→ 내 아들이 죽었다. 아들은 제 삶을 잃었다

→ 우리 아들이 죽었다. 아들은 삶을 빼앗겼다

 …



  서양말에서는 대이름씨를 자주 씁니다. 서양말에서는 으레 대이름씨를 씁니다. 이와 달리 한국말에서는 대이름씨가 있어도 잘 안 씁니다. 웬만해서는 대이름씨를 쓸 생각을 안 하는 한국말입니다. 이 보기글을 보면 첫머리에 “나의 아들”이라고 나옵니다. 한국말로는 ‘내’나 ‘우리’로 적어야 합니다. 그러나, 첫머리부터 한국말로 올바로 못 적습니다. 번역 말투이거나 일본 말투인 ‘나의’입니다. 또는 ‘일본 번역 말투’라고 할 ‘나의’예요. 이러다 보니, “그는 그의 삶을”처럼 ‘그’를 잇달아 두 차례 적습니다. 한국말을 제대로 모르기 때문입니다. 4340.1.12.쇠/4348.3.3.불.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우리 아이들이 죽었다. 나라가 나한테서 아들을 빼앗아갔다. 아들은 제 삶을 잃었다


‘나의’가 아니라 ‘내’나 ‘우리’입니다. ‘조국(祖國)’은 ‘나라’나 ‘이 나라’로 다듬고, ‘희생(犧牲)했다’는 ‘바쳤다’나 ‘빼앗겼다’나 ‘잃었다’로 다듬습니다.


..



 우리 말도 익혀야지

 (850) 그/그들 9


귀뚜라미가 열심히 울어대는 소리에 귀를 기울인다. 그들의 맥박이 내 호흡과 하나가 된다

《클레어 워커 레슬리,찰스 E.로스/박현주 옮김-자연 관찰 일기》(검둥소,2008) 98쪽


 귀뚜라미가 … 그들의 맥박이

→ 귀뚜라미가 … 귀뚜라미 숨소리가

→ 귀뚜라미가 … 귀뚜라미 숨결이

 …



  서양사람은, 아니, 미국말을 쓰는 사람은 ‘귀뚜라미’를 가리킬 때에 ‘그들’이라고 할는지 모르지만, 한국말을 쓰는 사람은 귀뚜라미를 ‘귀뚜라미’로 가리킵니다. 미국말로 된 책을 한국말로 옮길 적에는 ‘they’를 ‘그들’이 아니라 ‘귀뚜라미’로 옮겨야 올바릅니다. 4341.7.6.해/4348.3.3.불.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귀뚜라미가 힘차게 울어대는 소리에 귀를 기울인다. 귀뚜라미 숨결이 내 숨과 하나가 된다


‘열심(熱心)히’는 ‘힘껏’이나 ‘힘차게’로 다듬고, ‘맥박(脈搏)’은 ‘숨결’이나 ‘숨소리’로 다듬습니다. ‘호흡(呼吸)’은 ‘숨’으로 손봅니다.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 말도 익혀야지

 (461) 그/그들 1


그들은 스멀스멀 나에게 배어들었지만 그 텁텁하며 구수한 냄새가 싫지 않았으며 부러 피하거나 떨치지 않았다

《이지누 엮음-잃어버린 풍경 1》(호미,2005) 6쪽


 그들은 스멀스물 나에게 배어들었지만

→ 그 글은 스멀스멀 나한테 배어들었지만

→ 그 이야기는 스멀스멀 나한테 배어들었지만

→ 그 기행문은 스멀스멀 나한테 배어들었지만

 …



  이 보기글에 나오는 ‘그들’은 ‘기행문’을 가리킵니다. 이 글을 쓴 분은 다른 사람이 쓴 여러 ‘기행문’을 읽고 나서 ‘그 글’이 이녁 마음으로 스멀스멀 배어들었다고 밝히면서 ‘그들’이라는 대이름씨를 넣습니다.


  한국말에서 ‘그/그들’은 무엇을 가리키는 자리에 쓸까요? ‘그/그들’은 사람을 가리키는 대이름씨입니다. 짐승이나 풀이나 나무를 사람처럼 꾸며서 쓰는 문학이나 동화라 한다면 ‘그/그들’을 쓸 수 있다고 할 테지만, 다른 자리에서는 이 대이름씨를 쓰지 않습니다.


  “그 글”이라 하지 않고 “그들”이라고 하면 글맛이나 글멋이 날는지 궁금합니다. 대이름씨를 이렇게 써도 될는지 궁금합니다. 대이름씨를 이와 같이 써야 문학이 될는지 궁금합니다.


  이 보기글처럼 ‘글’이나 ‘책’이나 ‘신문’을 ‘그/그들’로 가리킬 수 있다면, “그 글을 읽어 주셔요”가 아닌 “그를 읽어 주셔요”라 말할 수 있겠지요. 그러나, 이렇게 ‘그/그들’을 넣어서 말하면 다들 아리송하다면서 고개를 갸우뚱하리라 봅니다. “책을 읽자”라 하지 않고 “그를 읽자”라 하면 그야말로 말이 뒤죽박죽이 되고 맙니다. 4338.11.13.해/4348.3.2.달.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그 글은 스멀스멀 나한테 배어들었지만 그 텁텁하며 구수한 냄새가 싫지 않았으며 부러 꺼리거나 떨치지 않았다


‘피(避)하거나’는 ‘멀리하거나’나 ‘꺼리거나’로 다듬습니다.


..



 우리 말도 익혀야지

 (547) 그/그들 4


문득 정신을 차려 보니, 지금껏 단 한 번도 와 본 적 없던 갯바람 날리는 부산에 그는 닿아 있었다

《김은식-장기려,우리 곁에 살다 간 성자》(봄나무,2006) 24쪽


 갯바람 날리는 부산에 그는 닿아 있었다

→ 그는 갯바람 날리는 부산에 닿았다

→ 갯바람 날리는 부산에 닿았다

 …



  이 보기글에서는 대이름씨 ‘그’를 넣을 수 있습니다. 다만, 글월 사이에는 넣지 않습니다. 글월 첫머리에 넣어야지요. “그는 이제껏”처럼 넣거나, “그는 갯바람 날리는”처럼 넣어야 어울립니다. 글월 사이에 넣는 ‘그를’은 뜬금없습니다. 이 글월을 찬찬히 살피면 ‘그를’은 덜 만합니다. 굳이 넣을 까닭이 없습니다. 4339.4.30.해/4348.3.3.불.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문득 넋을 차려 보니, 이제껏 어느 한 번도 와 본 적 없던 갯바람 날리는 부산에 닿았다


“정신(精神)을 차려”는 “넋을 차려”로 손보고, ‘지금(只今)껏’은 ‘이제껏’이나 ‘여태껏’으로 손보며, ‘단(單)’은 ‘딱’이나 ‘어느’로 손봅니다. “닿아 있었다”는 “닿았다”로 손질합니다.


..



 우리 말도 익혀야지

 (529) 그/그들 3


드러누운 채, 얼굴로 떨어지는 눈송이에 흠칫 놀라면서도 그들을 피하지 않았다

《이지누-절터 그 아름다운 만행》(호미,2006) 19쪽


 그들을 피하지 않았다

→ 이를 피하지 않았다

→ 눈송이를 꺼리지 않았다

→ 고개를 돌리지 않았다

→ 얼굴을 가리지 않았다

 …



  하늘에서 내리는 눈은 눈입니다. 눈을 보면서 ‘눈들’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하늘에서 내리는 비는 비입니다. 비를 보면서 ‘비들’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그러니까, 눈이나 비를 가리켜 ‘그’라고도 하지 않을 뿐 아니라, ‘그들’이라고도 하지 않습니다. 눈송이와 빗방울을 놓고도 이와 같습니다. 한국말에서는 ‘눈송이들’이나 ‘빗방울들’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잘 생각해 보셔요. 바닷물은 ‘바닷물’일 뿐, ‘바닷물들’이 아닙니다.


 눈 . 비 . 물 . 바닷물 . 냇물 (o)

 눈들 . 비들 . 물들 . 바닷물들 . 냇물들 (x)


  영어(미국말이나 영국말)를 쓸 적에는 영어 말투대로 써야 합니다. 영어 말법을 살피면서 써야 합니다. 한국말을 쓸 적에는 한국 말투대로 써야 합니다. 한국 말법을 살피면서 써야지요. 한국말을 어설피 영어처럼 쓰지 않기를 바랍니다. 한국말을엉뚱하게 서양 말법이나 말투를 흉내내듯이 쓰지 않기를 바랍니다. 4339.3.24.쇠/4348.3.3.불.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드러누운 채, 얼굴로 떨어지는 눈송이에 흠칫 놀라면서도 눈송이를 꺼리지 않았다

드러누운 채, 얼굴로 떨어지는 눈송이에 흠칫 놀라면서도 얼굴을 가리지 않았다


‘피(避)하지’는 ‘꺼리지’나 ‘가리지’로 다듬습니다.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넋·삶 25 세면서 생각하다



  ‘세다’라는 낱말은 소리값이 같으면서 여러 갈래로 씁니다. 먼저 “머리카락이 세다”처럼 쓰고, 다음으로 “얼마나 있는지 세다”처럼 쓰며, 마지막으로 “힘이 세다”처럼 씁니다. 이 가운데 “얼마나 있는지 세다”는 움직씨이고, 이를 이름씨로 바꾸면 ‘셈’이 됩니다. ‘세다’에서 ‘셈’으로 꼴을 바꾸면, 이 낱말은 “콩알을 셈하다”뿐 아니라 “값이 맞는지 셈을 하다”나 “네 셈이 맞는구나”라든지 “너희 셈이 깊구나”라든지 “셈을 옳게 따지다”라든지 “씨앗을 심고 갈무리하는 셈이 잘 들다”처럼 쓰임새가 늘어납니다. ‘세다 → 셈’인데, ‘셈’에서 다시 ‘셈하다’가 나오기도 합니다.


  ‘세다’와 ‘헤아리다’는 뿌리가 같습니다. ‘헤아리다’는 ‘헤다·혜다’에서 갈린 말입니다. 이 낱말들 ‘세다·헤다·혜다·헤아리다’는 밑뜻이 “어느 만큼 있는지 보다”를 가리킨다고 할 수 있습니다. 어느 만큼 있는지 보기에, 숫자가 얼마인가를 알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세다·헤다·혜다·헤아리다’는 내 앞에 있는 것을 똑똑히 보거나 또렷하게 보는 모습을 나타내려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똑똑히 보거나 또렷하게 보기에 ‘제대로 가를’ 수 있고 ‘올바로 살필’ 수 있지요.


  이리하여 이 낱말은 ‘생각’이라는 낱말이 태어나게 이끕니다. ‘생각’이란 우리가 머리를 써서 마음속에 그리는 이야기일 텐데, 이는 ‘그릴 이야기’를 바라볼 수 있을 때에 비로소 지을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자면 ‘느끼고 보고 하나하나 가르거나 살피면서 생각이 태어난다’는 얼거리입니다.


  ‘셈’이라는 낱말은 “씨앗을 심고 갈무리하는 셈이 잘 들다”처럼 쓰기도 합니다. 여기에서 ‘셈’은 ‘슬기’와 같습니다. ‘슬기’는 바르며 알맞고 또렷하게 어떤 일을 잘 해낼 수 있는 마음을 가리킵니다. 그러니까, 제대로 보고 제대로 알아서 제대로 생각할 수 있으면 ‘셈·슬기’가 드는 흐름입니다. 아무것이나 머리로 지어서 마음에 생각을 그린대서 셈이 들거나 슬기가 들지 않습니다. 제대로 보고 제대로 알아서 제대로 생각할 때에, 비로소 셈이나 슬기가 듭니다. 생각하는 사람일 때에 철이나 셈이 들지만, 생각을 바르며 알맞고 또렷하게 할 때에 철이나 셈이 들어요.


  올바로 생각하는 사람이 철이 듭니다. 올바로 생각해서 철이 드는 사람이 삶을 짓습니다. 옳고 바르고 헤아리는 사람이 셈이 듭니다. 옳고 바르게 헤아려서 셈이 드는 사람이 삶을 지을 길을 또렷하게 그립니다.


  ‘컴퓨터’라는 것이 한국에 들어올 적에 적잖은 이들은 이를 ‘셈틀’이라는 이름으로 쓰자고 했습니다. 조선일보라는 신문에서는 ‘컴퓨터’ 이름을 새로 짓는 ‘국민 설문조사’를 정부와 함께 했고, 이때에 나온 ‘국민 공모’ 이름은 ‘슬기틀’이었습니다. 말밑을 찬찬히 살피면 ‘셈틀 = 슬기틀’이고, ‘슬기틀 = 셈틀’입니다. 어느 이름을 쓰든 똑같습니다. 다만, ‘셈틀’은 컴퓨터라는 것을 처음 들여올 적에 과학자와 기술자가 손수 지은 이름이고, ‘슬기틀’은 신문사와 정부가 엄청나게 광고와 홍보를 해서 애써 지은 이름입니다. 이 가운데, 여느 자리에 있던 여느 사람이 지은 ‘셈틀’이라는 낱말은 아직 목숨을 잃지 않고 이럭저럭 이 낱말을 듣거나 아는 사람이 있으나, ‘슬기틀’이라는 낱말은 거의 아는 사람이 없습니다. 정부에서 아무리 이 낱말을 퍼뜨리려고 하더라도 뒷받침하는 힘이 없습니다.


  하나를 세고 둘을 세면서 너와 나를 제대로 봅니다. 너와 나를 제대로 볼 줄 아는 눈길이기에, 이 눈길은 차츰 자라서 깊거나 너른 생각으로 뻗고, 이 생각을 가다듬고 추스를 때에 셈·슬기·철로 자랍니다. 4348.2.23.달.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람타 공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묶음표 한자말 205 : 부요富饒



아무것도 아니어도 좋다고 말하는 사람은 부요富饒한 사람이다(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부유(富裕)하다와 같은 뜻으로 풀이하고 있다. 여기에서 ‘부유’ 대신 ‘부요’를 사용한 것은 재물이 많아 넉넉한 상태라기보다 내적 충만감으로 마음이 넉넉한 상태를 표현하기 위함이다)

《강현정·전성은-거창고 아이들의 직업을 찾는 위대한 질문》(메디치,2015) 85쪽


 부요富饒한 사람이다

→ 마음이 넉넉한 사람이다

→ 넉넉한 사람이다

→ 너그러운 사람이다

→ 넓은 사람이다

 …



  이 보기글을 보면 ‘부요’라는 한자말을 씁니다. ‘부유’와는 다른 뜻이기에 이 한자말을 쓴다고 밝히며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을 말하는데, 국립국어원 사전을 살피면, “부요(富饒)하다 = 부유(富有)하다”로 적습니다. ‘富裕’가 아닌 ‘富有’와 같은 한자말이라고 나와요.


  그런데, 생각해 볼 노릇입니다. 이 보기글이든 국립국어원이든, 한자를 놓고 말놀이를 합니다. 그리고, 세 가지 한자말을 살피면, 셋 모두 “넉넉하다”를 뜻합니다. 다시 말하자면, 이 한자말을 쓰던 저 한자말을 쓰든 그 한자말을 쓰든, 모두 한국말로는 ‘넉넉하다’입니다.


  한국말 ‘넉넉하다’는 “마음이 가없다”와 “돈이 아주 많다”와 “보기에 많이 있다”를 뜻합니다. 세 가지를 한 낱말로 나타내요. 그러니, 이 보기글에서는 한국말 ‘넉넉하다’를 쓰면 그만입니다.


  그러나, 이 보기글을 쓴 분은 아무래도 어느 한 가지를 더 콕 집어서 말하려 했지 싶어요. 그러니, 굳이 한자말을 갖고 이래저래 골머리를 앓았으리라 봅니다. 그러면, 이때에는 “마음이 넉넉한 사람이다”처럼 적거나 “너그러운 사람이다”처럼 적으면 됩니다. ‘너그럽다’는 “마음이 가없다”를 더 짙게 가리키는 낱말이니까요.


 부요한 생활을 누리다

→ 넉넉한 삶을 누리다

→ 삶을 넉넉히 누리다

 집안이 부요해서 돈 걱정은 안 하고 살았다

→ 집안이 넉넉해서 돈 걱정은 안 하고 살았다

→ 집안이 좋아서 돈 걱정은 안 하고 살았다


  더 헤아린다면, “마음이 넓다”나 “너그럽다”를 쓰면 될 뿐 아니라, “마음이 넓다”나 “마음이 따스하다”나 “마음이 믿음직하다”나 “마음이 포근하다”나 “마음이 좋다”처럼 쓸 만합니다. 4348.3.2.달.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아무것도 아니어도 좋다고 말하는 사람은 마음이 넉넉하다


부요(富饒)하다 : = 부유하다

   - 부요한 생활을 누리다 / 집안이 부요해서 돈 걱정은 안 하고 살았다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