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넋·삶 32 ‘배우다’와 ‘가르치다’



  받아들여서 몸에 붙도록 할 때에 ‘배운다’고 합니다. 내가 아닌 남이 알도록 이끌 때에 ‘가르친다’고 합니다. ‘알도록 하’는 일만 놓고 ‘배우다’라 하지 않습니다. 어떤 이야기를 보거나 듣거나 생각하면서 “몸으로 받아들이고 마음으로 삭여서 내 것으로 삼는다”고 할 적에 비로소 ‘배우다’라는 낱말을 씁니다. ‘가르치다’라는 낱말도 이와 같아요. 사회나 학교에서는, 남이 무엇을 알도록 이끌 때에 으레 ‘가르치다’라 하지만, 내 둘레에 있는 남들이 “어떤 이야기를 받아들여서 마음으로 삭여 이녁 것으로 삼”도록 이끌 때에 비로소 ‘가르치다’입니다. 내가 너한테 어떤 이야기를 들려주는데 네가 이 이야기를 찬찬히 받아들여서 마음으로 삭여 네 것으로 삼으면, 나는 너를 가르쳤다고 할 만하지만, 네가 내 이야기를 받아들이지도 않고 삭이지도 않아서 네 것으로 안 삼거나 못 삼으면, 이때에는 가르쳤다고 할 수 없습니다. 이때에는 그저 ‘말했다’고만 합니다.


  학교에서는 어른이 ‘가르치’고 아이가 ‘배운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때에도 ‘가르치다·배우다’라는 낱말을 섣불리 쓸 수 없습니다. 교사 자리에 서는 어른은 그저 ‘말하’기만 합니다. 교사로서는 언제나 ‘말’을 들려줄 뿐입니다. 학생 자리에 서는 아이가 이 ‘말’을 귀여겨들으면서 받아들이고, 받아들인 다음에 스스로 삭일 수 있을 때에, 비로소 ‘가르치다·배우다’가 이루어집니다.


  더 많이 아는 사람이 누군가를 ‘가르치’지 않습니다. 배우려는 사람이 있을 때에 비로소 가르칩니다. 배우려는 사람이 없으면, 더 많이 알건 모두 알건 아무도 못 가르칩니다. 배우려는 사람은 ‘가르칠’ 사람을 부릅니다. 배우려는 사람은 ‘배우려는 사람한테 걸맞’다 싶은 사람을 불러서 ‘가르쳐’ 줄 수 있도록 이끕니다. 배움과 가르침은 모두 ‘배우는 쪽’에서 일으키는 몸짓이요 삶입니다.


  그러면, 가르치는 자리에 서는 사람은 무엇을 할까요? 처음에는 그저 ‘말’을 할 뿐이지만, 배우려는 사람이 기쁘게 받아들여서 삭이는 얼거리가 되면, 아하 그렇구나 ‘가르침’이란 이렇구나 하고 ‘배웁’니다. 다시 말하자면, 배우려는 사람은 ‘가르침’을 끌어내고, 가르치려는 사람은 ‘배움’을 끌어당깁니다. 배우는 사람은 늘 가르칠 수 있으며, 가르치는 사람은 늘 배울 수 있습니다. 이리하여, 슬기롭거나 철이 든 교사(어른)는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늘 많이 배우’거나 ‘가르치는 동안 언제나 새롭게 배운다’고 말합니다.


  한 가지를 더 살펴야 합니다. 가르침과 배움은 지식이 아닙니다. 지식을 주고받는 일은 가르침이나 배움이 아닙니다. 삶을 물려주고 물려받는 사랑이 바로 가르침이요 배움입니다. 지식은 퍼뜨릴 수 없습니다. 지식은 물려줄 수 없습니다. 오직 삶만 퍼뜨리고, 삶만 물려줄 수 있습니다.


  언제 어느 곳에 어떤 씨앗을 심고, 씨앗이 어느 만큼 자랄 적에 갈무리를 하느냐 하는 대목을 가르치거나 배우는 일은 ‘삶짓기’를 물려주고 물려받는 일입니다. 이는 지식이 아니고 철학도 아닙니다. 왜냐하면, 가르침과 배움은 어떤 슬기를 물려주거나 물려받는 사람이 스스로 ‘새로운 사람으로 거듭나’도록 이끄는 이야기요 생각이기 때문입니다. 몇째 서랍에 무엇이 있다고 말하는 일은 ‘알리다’쯤 됩니다. 저녁에 텔레비전에서 어떤 방송이 흐른다고 말하는 일도 ‘알리다’쯤 됩니다. 신문에 나오는 사건이나 사고 같은 이야기도 그저 ‘알리다’일 뿐입니다. 내가 읽은 책에서 재미난 대목을 말할 때에도 그냥 ‘알리다’입니다.


  가르치거나 배울 적에는 ‘말’을 빌기도 하지만, 아무 말이 없이 몸으로 가르치거나 배우기 일쑤요, 으레 마음으로 가르치거나 배웁니다. 사랑으로 가르치거나 배우기도 하고, 믿음으로 가르치거나 배우기도 합니다. 삶을 물려주거나 물려받기에 가르침이면서 배움입니다. 삶을 다룰 때에 비로소 가르침이요 배움입니다. 이리하여, 오늘날 거의 모든 학교교육과 인문지식은 가르침이나 배움하고 크게 동떨어지거나 아예 끈조차 안 이어지기 마련입니다. 4348.2.28.흙.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람타 공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량한 말 바로잡기

 (1050) 선행 1


이와 같은 출판금고의 이원화는 출발의 단계에서 꼭 선행되어야 할 조건을 필요로 한다

《출판과 교육에 바친 열정》(우촌이종익추모문집간행위원회,1992) 332쪽


 꼭 선행되어야 할

→ 꼭 먼저 이루어져야 할

→ 꼭 먼저 갖추어야 할

→ 꼭 밑바탕이 되어야 할

→ 꼭 짚고 넘어가야 할

 …



  한국말사전에서 한자말 ‘선행’을 찾아보니 네 가지 나오는데, ‘旋行’은 ‘옮기기’로 고쳐쓰면 되고, ‘跣行’은 “맨발로 감”으로 고쳐쓰면 됩니다. 맨발로 간다면 그냥 “맨발로 간다”고 하지, 어느 누구도 ‘선행한다/跣行한다’고 하지 않습니다. 이런 두 가지 한자말 ‘선행’은 한국말사전에서 치워야 합니다.


  “착한 일”을 가리키는 ‘善行’은 쓸 만할까요? 아닙니다. 우리는 “착한 일”이라 하면 되지, 이를 굳이 한자로 옮겨서 써야 하지 않습니다. “선행을 베풀다”가 아니라 “착한 일을 하다”요, “선생 학생”이 아니라 “착한 학생”입니다.


 선행 작업 → 미리 하기 / 먼저 하기 / 앞서 하기

 선행 투자 → 미리 투자 / 먼저 투자 / 앞서 투자


  한자말 ‘先行’은 “먼저 하기”나 “앞서 하기”나 “미리 하기”를 가리킵니다. 이 낱말도 한국말로 쉽고 또렷하게 쓰면 됩니다. 글흐름이나 때나 곳을 살펴서 ‘먼저·미리·앞서’ 가운데 한 가지를 골라서 쓰면 돼요. 이 보기글에서는 “먼저 짚고 넘어갈”이나 “먼저 다루어야 할”로 손볼 수 있습니다. 4339.2.22.물/4348.3.10.불.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이와 같은 출판금고 이원화는 처음부터 꼭 갖추어야 할 조건이 있다

이와 같이 출판금고를 둘로 나누려면 처음에 꼭 살펴야 할 대목이 있다


“출판금고의 이원화(二元化)”는 “출판금고 이원화”나 “출판금고를 둘로 나누려면”으로 손보고, “출발(出發)의 단계(段階)에서”는 “처음에”나 “첫머리에”나 “맨 처음에”나 “첫걸음에서”로 손봅니다. “조건(條件)을 필요(必要)로 한다”는 “조건이 있어야 한다”로 손질합니다.



선행(先行)

1. 어떠한 것보다 앞서 가거나 앞에 있음

    - 선행 부대

2. 딴 일에 앞서 행함. 또는 그런 행위

    - 선행 작업 / 선행 투자

선행(旋行) : 음률이 한 음에서 다른 음으로 옮겨 가는 것

선행(善行) : 착하고 어진 행실

   - 선행을 베풀다 / 선행 학생에게 장학금을 지급하다

선행(跣行) : 맨발로 감


..



 알량한 말 바로잡기

 (1661) 선행 2


중학생이 된 지금은 고등학교 입시에 대한 고민과 곧 닥쳐올 대입까지 미리 걱정한다. 이를테면 고민도 선행을 하는 셈이다

《강현정·전성은-거창고 아이들의 직업을 찾는 위대한 질문》(메디치,2015) 201쪽


 고민도 선생을 하는 셈이다

→ 걱정도 미리 하는 셈이다

→ 근심도 먼저 하는 셈이다

→ 걱정도 지레 하는 셈이다

→ 근심도 앞질러 하는 셈이다

 …



  이 보기글을 잘 살피면 “대입까지 미리 걱정한다”처럼 적습니다. 그런데, 잇달아 적은 글에서는 “고민도 선행을 하는”처럼 적어요. 이 글을 쓴 분은 ‘미리’와 ‘걱정’이라는 한국말을 압니다. 그리고, ‘선행’과 ‘고민’이라는 한자말도 알아요. 그래서 두 가지 말을 섞어서 씁니다.


  언뜻 보자면 아무 말썽이 없다 할는지 모르나, 이 보기글이 ‘한국말과 영어’로 되었다면 어떠했을까요? 적잖은 이들이 한자말도 마치 한국말이라도 되는 듯이 잘못 생각하니, 이 보기글처럼 글을 쓰거나 말을 하고 맙니다. 앞에서 쓴 말과 다른 말을 쓰고 싶다면, 뒤쪽에서는, “근심도 앞질러 하는”처럼 적어 줍니다. 4348.3.10.불.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중학생이 된 요즘은 고등학교 입시 걱정과 곧 닥쳐올 대입까지 미리 걱정한다. 이를테면 걱정도 앞질러 하는 셈이다


‘지금(只今)은’은 ‘요즘은’으로 손보고, “입시에 대(對)한 고민(苦悶)”은 “입시 걱정”으로 손봅니다. 보기글을 잘 살피면, 한자말 ‘고민’과 한국말 ‘걱정’을 섞어서 쓰는데, 한국말 ‘걱정’만 넣으면 됩니다. ‘걱정’과 맞물려 ‘근심’을 넣어도 돼요.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량한 말 바로잡기

 (1654) 시작 68


호랑이가 떡을 먹기 시작했는데 / 길고 긴 떡을 먹기 시작했는데

《위기철-신발 속에 사는 악어》(사계절,1999) 12쪽


 떡을 먹기 시작했는데

→ 떡을 먹는데

→ 떡을 먹으려는데

→ 떡을 먹으려 했는데

→ 떡을 막 먹는데

→ 이제 막 떡을 먹는데

→ 이제부터 떡을 먹는데

 …



  이 보기글에서는 “먹기 시작했는데”라는 말마디가 앞뒤에 잇달아 나옵니다. 똑같이 쓴 말마디라 할 텐데, 범이 떡을 ‘처음으로 먹으려는 때’를 나타내려고 ‘시작’이라는 한자말을 넣습니다. 이러한 모습이라면 “먹을 먹는데”나 “떡을 먹으려는데”로 손질하면 됩니다. ‘막’이나 ‘이제’나 ‘이제 막’을 앞에 넣어서 “떡을 막 먹는데”나 “이제 떡을 먹는데”나 “이제 막 떡을 먹는데”처럼 손질할 수도 있어요. 앞뒤를 다르게 손보면서 “떡을 먹는데 … 이제부터 떡을 먹는데”라든지 “떡을 먹으려는데 … 바야흐로 떡을 먹으려는데”처럼 적으면, 말맛이나 말결을 한껏 북돋울 만합니다. 4348.3.10.불.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범이 떡을 먹는데, 길고 긴 떡을 막 먹는데


‘호랑(虎狼)이’는 ‘범’으로 고쳐씁니다.


..



 알량한 말 바로잡기

 (1663) 시작 71


다음날부터 바로 운반 작업이 시작되었어요. 라피와 키는 친구들을 떠나보내는 것이 기쁘면서도 슬펐지요

《토미 웅거러/이현정 옮김-꼬마 예술가 라피》(비룡소,2014) 29쪽)


 운반 작업이 시작되었어요

→ 나르기로 했어요

→ 날랐어요

→ 옮기기로 했어요

→ 옮겼어요

→ 실어 가기로 했어요

→ 실었어요

 …



  한자말 ‘운반 작업’을 그대로 두더라도 “운반 작업을 했어요”처럼 쓰면 됩니다. 그런데, 한자말 ‘운반’은 한국말로는 “옮겨 나르기”를 가리켜요. 그러니, 우리는 한국말로 “옮겨 나르는 일”이나 “옮겨 나르기”로 고쳐쓰면 넉넉합니다. 또는 ‘옮기다’만 써도 되고, ‘나르다’만 써도 됩니다. 짐차에 물건을 싣는 모습이라면 ‘싣다’를 써도 돼요. 4348.3.10.불.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다음날부터 바로 나르기로 했어요. 라피와 키는 동무들을 떠나보내자니 기쁘면서도 슬펐지요


‘운반(運搬) 작업(作業)이”는 “옮겨 나르기가”나 “나르기가”나 “옮기기가”로 손질하고, ‘친구(親舊)’는 ‘동무’로 손질합니다. “떠나보내는 것이”는 “떠나보내기가”나 “떠나보내자니”로 손봅니다.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옹글게 쓰는 우리 말

 (1592) 늦꽃


 늦꽃 : ‘만화(晩花)’의 북한어

 만화(晩花)

  1. 늦은 철에 피는 꽃

  2. 제철이 지나서 늦게 피는 꽃



  철에는 ‘이른철’과 ‘늦철’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른봄·늦봄’처럼 말합니다. ‘이른여름·늦여름’처럼 말하지요. 그런데 한국말사전을 보면 ‘늦봄’이라는 낱말은 나오지만, ‘이른봄’이라는 낱말은 안 나옵니다. 왜 안 나올까요? 사람들이 이 말을 안 쓰기 때문일까요. 아니면, 이 낱말은 한국사람이 쓸 만하지 않은 낱말이기 때문일까요.


  한국말사전에서 ‘늦꽃’이라는 낱말을 찾아봅니다. ‘늦꽃’은 무엇일까요? 늦게 피는 꽃이니 ‘늦꽃’입니다. 제철에 피는 꽃이 아니고, 제철보다 늦게 피는 꽃이기에 늦꽃이에요. 남녘에서 내는 한국말사전에는 ‘늦꽃’을 “‘만화(晩花)’의 북한어”로 풀이합니다. 이 낱말은 북녘말일까요? 북녘에서만 쓰는 말일까요? 북녘에서만 써야 하는 말일까요? 북녘 아니고 남녘에서는 쓰면 안 되는 말일까요? 북녘에서만 써야 하고 남녘에서는 안 쓸 만한 낱말일까요?


  남녘 한국말사전에서 다루는 한자말 ‘만화’를 가만히 생각합니다. 이 같은 한자말을 쓰는 분이 아예 없지는 않을 테지만, 이러한 한자말을 알아보거나 알아들을 만한 사람은 많지 않으리라 느낍니다. 그러니까, ‘늦꽃’을 북녘말로만 삼기에는 대단히 아쉽습니다. 아니, ‘늦꽃’ 같은 낱말은 남북녘이 함께 사랑하면서 두루 쓸 낱말로 삼아야 하리라 느껴요.


 늦꽃 . 늦나무 . 늦나물

 이른꽃 . 이른나무 . 이른나물


  늦게 피는 꽃이 ‘늦꽃’이라면 때나 철이 이르게 피는 꽃이라면 ‘이른꽃’입니다. 일찍 피는 꽃도 ‘이른꽃’이라 할 만해요. 그래서, 나무나 나물을 놓고도, 일찍 자라는 나무라든지 일찍 돋는 나물을 따로 가리킬 수 있고, 늦게 자라는 나무나 늦게 돋는 나물을 가리키는 이름을 쓸 수 있습니다.


  한편, ‘늦둥이’가 있듯이 ‘늦사람’을 말할 수 있고, ‘이른철’과 ‘늦철’ 같은 말도 쓸 수 있어요. 4348.3.9.달.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1361) 선善


예수께서 이 땅에 다시 오시면 사람들한테서 무엇을 가장 먼저 보시리라고 당신은 생각하는가? 순수한 사랑의 광대한 선善과 아름다움과 진실일 것이다

《앤소니 드 멜로/이현주 옮김-행복하기란 얼마나 쉬운가》(샨티,2012) 112쪽


 광대한 선善과

→ 드넓은 착함과

→ 드넓게 착하고

 …



  한자를 즐기는 이들은 으레 ‘진선미(眞善美)’를 말합니다. 그런데, 이 낱말은 “참됨, 착함, 아름다움”을 가리켜요. 그러니까, 처음부터 한국말 ‘참됨’과 ‘착함’과 ‘아름다움’을 쓰면 된다는 뜻입니다. 한국말을 굳이 한자말로 바꾸어서 써야 할 까닭은 없습니다. 이 보기글을 보면 ‘아름다움’은 한국말 그대로 씁니다. 그런데, ‘참됨’이나 ‘참’은 그만 한자말 ‘진실’로 적고, ‘착함’은 아예 한자로 ‘善’을 드러내어 적고 맙니다.


 선을 행하다

→ 착한 일을 하다

→ 착하게 하다


  “善을 行하다” 같은 말마디는 겉으로는 한글이지만, 속으로는 한국말이 아닙니다. 겉뿐 아니라 속까지 옹글게 한국말이 되도록 고쳐쓸 수 있어야지 싶습니다. 이를테면, “선을 행하는 사람이 아름답다”가 아니라 “착한 일을 하는 사람이 아름답다”나 “착한 사람이 아름답다”처럼 적으면 돼요.


 이 세상에는 선과 악이 존재한다

→ 온누리에는 착함과 나쁨이 있다

→ 이 땅에는 착함과 나쁨이 있다


  외마디 한자말로 쓰는 ‘선’은 “선과 악” 꼴로 무척 자주 씁니다. 이 말투는 “착함과 나쁨”으로 고쳐쓰면 됩니다. 말 그대로 ‘착함’과 ‘나쁨’이니까요.


  한국말사전을 보면 “선을 쌓다” 같은 보기글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런 말은 말짜임부터 올바르지 않습니다. 우리는 “아름다움을 쌓다”라든지 “참을 쌓다”처럼 쓰지는 않아요. 착함이나 아름다움이나 참은 쌓지 않습니다. 아니, 쌓을 수 없을 테지요. 눈에 보이는 것(물건)이 아니니까요. 마음으로 이루고, 마음으로 나누며, 마음으로 펼치는 넋을 가리키니, 이러한 모습을 ‘쌓다’ 같은 낱말로 나타낼 수 없어요. “착한 일을 꾸준히 하다”라든지 “착한 일을 오래 하다”처럼 써야 맞고, “늘 착하다”라든지 “언제나 착하다” 같은 말마디로 이야기하면 넉넉하리라 생각해요. 4348.3.9.달.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예수가 이 땅에 다시 오시면 사람들한테서 무엇을 가장 먼저 보시리라고 생각하는가? 티없는 사랑으로 드넓은 착함과 아름다움과 참이리라


‘예수께서’는 그대로 둘 수 있지만, ‘예수가’나 ‘예수님이’로 다듬으면 한결 부드럽습니다. ‘당신(當身)은’은 ‘그대는’으로 손볼 수 있으나, 이 보기글에서는 덜어도 됩니다. “순수(純粹)한 사랑”은 “티없는 사랑”이나 “깨끗한 사랑”으로 다듬고, ‘광대(廣大)한’은 ‘크고 넓은’이나 ‘드넓은’이나 ‘크나큰’으로 다듬습니다. “진실(眞實)일 것이다”는 “참이리라”로 손질합니다.



선(善) : 올바르고 착하여 도덕적 기준에 맞음

   - 선을 쌓다 / 선을 행하다 / 이 세상에는 선과 악이 존재한다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