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살이 일기 67] 우리가 있는 곳

― 천등산 꼭대기를 오르면서



  어른들은 멧길을 타고 오르면서 가슴을 활짝 틔운다고 합니다. 나무가 우거진 멧길을 천천히 오르내리면서 푸른 바람을 마시고 푸른 마음이 된다고 합니다. 그러면, 아이들도 멧길을 타고 오르내릴 적에 가슴을 활짝 틔우면서 푸른 마음이 될 수 있을 테지요. 독일에서는 이러한 대목을 잘 헤아려 ‘숲 유치원’을 만듭니다. 한국도 일본을 거쳐 ‘숲 유치원’을 받아들입니다.


  생각해 보면, 우리 겨레는 예부터 언제나 ‘숲마을’이었고 ‘시골마을’입니다. 굳이 ‘숲 유치원’이나 ‘숲 학교’를 만들지 않아도, 늘 숲을 타고 멧길을 오르내렸어요. 나무를 하러 숲에 깃들지요. 지게를 짊어지고 멧길을 타고내렸습니다. 참말 예전에는 어른도 아이도 언제나 숲에서 살거나 놀았어요. 지난날에는 어느 시골에서든 숲을 누리고 멧자락을 품에 안으며 살거나 놀았습니다.


  오늘날에는 등산장비를 갖춘 어른들만 멧길을 오릅니다. 오늘날에는 도시에서도 시골에서도 숲이나 멧자락을 품에 안으려고 하지 않습니다. 고속도로가 숲과 멧자락을 가로지르거나 구멍을 내면서 지나갑니다. 오늘날 사람들은 자가용을 몰아 숲이든 멧자락이든 쳐다볼 겨를이 없이 바삐 이 도시에서 저 도시로 움직이기만 합니다.


  아이들을 자전거에 태우고 멧길을 오릅니다. 고흥에 뿌리를 내린 지 네 해째 되는 올해에 드디어 아이들과 천등산 꼭대기까지 가 보자고 생각합니다. 두 아이가 더 어릴 적에는 엄두를 내지 못했으나, 이제 이 아이들과 멧길을 오르내릴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다만, 아직 작은아이가 많이 어리니까 자전거를 끌고 오르고 나서, 내려올 적에는 씽 하고 달립니다.


  멧꼭대기에 이르러 자전거를 눕히고 아이들이 뛰놀도록 한 다음, 나는 지친 몸을 추스르려고 길게 뻗었습니다. 어느 모로 본다면, 지게에 두 아이를 앉히고 멧길을 걸어서 올라올 때가 한결 수월할 수 있겠다 싶습니다.


  멧길을 천천히 자전거를 끌면서 올라오는 동안, 아이들은 숲노래를 듣습니다. 멧빛을 바라봅니다. 사람이 살아가는 터가 어떠한 무늬이고 소리인가 하고 온몸으로 느낍니다. 풀벌레가 울고 새가 날며 골짝물이 흐릅니다.


  숲에서 살아가는 사람은 언제나 숲을 생각합니다. 멧골에서 지내는 사람은 늘 멧자락에 마음을 둡니다. 그러니까, 숲사람은 사랑과 꿈을 생각할 뿐, 전쟁이나 경제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멧사람은 이야기와 노래를 헤아릴 뿐, 따돌림이나 푸대접을 헤아리지 않습니다.


  도시와 문명을 이루는 사회에는 끔찍하도록 피가 튀기는 다툼(경쟁)이 있습니다. 학교에서도 회사에서도 공공기관에서도 공장에서도 ‘어깨동무’ 아닌 ‘경쟁’이 도사립니다. 도시와 문명을 이루더라도 숲과 멧자락이 함께 있을 노릇입니다. 시골에서 살자면 마을과 집이 제대로 숲이랑 멧자락하고 어울려야 합니다. 4347.7.26.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골살이 일기 66] 말없이 하는 항공방제

― 주는 대로 받는 삶



  아침 일곱 시에 마을 이장님이 우리 집에 찾아옵니다. 지난해에 있던 일 때문에 농협에서 ‘항공방제 못 하겠다’고 말한다는 이야기를 알려줍니다. 지난해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떠올려 봅니다. 그래요. 지난해 여름, 칠월 십일일에 항공방제 헬리콥터가 우리 집 마당으로 넘어왔습니다. 한창 볕이 좋아 아이들 옷가지하고 이불을 말리는데, 또 아이들이 마당에서 이불놀이를 하는데, 항공방제 헬리콥터가 갑자기 넘어오더니 농약을 쏴아아 뿌렸습니다. 깜짝 놀라서 아이들을 집안으로 들여 문을 모두 닫고 사진기를 챙겨서 사진을 찍습니다. 사진을 먼저 찍었다면 항공방제 헬리콥터가 마당 위쪽으로 버젓이 들어온 모습을 담았겠지요. 그러나, 아이들이 먼저이기 때문에 아이들부터 더 농약에 안 맞도록 집안으로 들여서 문을 닫으려 했습니다.


  이장님한테 말씀을 여쭙니다. “이장님, 저희가 항공방제를 하지 말라고 말하지 않잖아요. 지난해에는 저희 집 마당 위로 헬리콥터가 넘어와서 아이들이 농약을 맞았으니, 이 때문에 항의를 했어요. 마을에서 농약을 쳐야 한다면 쳐야 하는데, 농협 사람들이 저희를 핑계로 대면서 그렇게 말하면 안 돼요.”


  며칠 앞서 이런 일도 있었습니다. 우리 집 울타리와 맞닿은 옆밭에 고추를 심은 면소재지 사람들이 있는데, 이들은 이녁 아이들을 데리고 와서 옆밭에 농약을 뿌립니다. 우리한테는 말도 안 하고 뿌립니다. 그런데 이녁 아이들은 짐차에 태우고 창문을 꽁꽁 닫습니다. 이녁 아이들은 짐차에서 내리고 싶으나 못 나오도록 합니다. 그러면서 버젓이 농약을 칩니다. 우리 집 아이들이 마당에서 노는 모습을 보고도 아무렇지 않게 농약을 칩니다.


  적어도 ‘아이가 있는 집’이라면 ‘저희 아이’한테만큼은 농약이 닿으면 안 되는 줄 압니다. 이웃 아이가 어떻게 되든 말든 아랑곳하지 않더라도 ‘저희 아이’는 생각합니다. 그러면, 더 생각을 이을 수 있어야 해요. ‘내 아이’한테만 농약이 나쁠까요? 농약을 듬뿍 머금은 고추를 따서 누가 먹을까요? 내다 팔기도 할 테지만, 이녁 식구들이 먹겠지요. 농약을 머금은 고추를 이녁 아이들도 고추장으로 먹을 텐데, 농약을 뿌릴 적에 짐차에 숨긴들 이 아이들이 ‘농약 피해’를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마을 어르신들이 농협에 돈을 내고 항공방제를 합니다. 논에 농약을 뿌리기 힘들기 때문에 항공방제를 합니다. 항공방제는 농약입니다. 이렇게 항공방제를 해서 나락을 거두면, 도시로 떠나 살아가는 이녁 딸아들과 손자 손녀한테 쌀을 부치실 테지요. 다시 말하자면, 도시로 떠나 살아가는 딸아들과 손자 손녀는 ‘항공방제 농약을 먹는 셈’입니다.


  농약을 써야 한다 말아야 한다, 와 같은 이야기는 할 마음이 없습니다. 그저 한 가지 이야기를 하고 싶을 뿐입니다. 농약을 뿌리면, 농약을 우리가 먹습니다. 농약을 안 뿌리면, 우리는 농약을 안 먹습니다. 모기를 잡는다며 모기약을 뿌리거나 무기향을 태우면 모기약과 모기향 기운을 우리가 고스란히 함께 먹습니다. 숲과 들과 바다와 냇물은 ‘우리가 그들한테 주는 것을 고스란히 우리한테 돌려줍’니다.


  그나저나 지난해에는 항공방제를 할 적에 면사무소에서 예고 방송을 며칠 앞서부터 했는데, 올해에는 예고 방송조차 없네요. 하기는, 지난해에도 예고 방송이 없이 항공방제를 곧잘 했습니다. 4347.7.23.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골살이 일기 65] 불어난 골짝물
― 장마가 끝난 골짜기에서


  장마가 오기 앞서 비가 거의 오지 않아서 골짜기는 물이 아주 얕았습니다. 이러다가 스무 날 남짓 비가 그치지 않고 내렸습니다. 골짜기는 물이 얼마나 많이 불었을까요. 비가 그친 이튿날 자전거를 몰아 아이들과 골짜기로 갑니다. 아, 골짜기에 닿으니 골짝물이 아주 엄청납니다. 스무 날 남짓 쏟아부은 빗물이 흐르는 골짜기는 마치 폭포와 같습니다. 골짝물 흐르는 소리도 여느 때와는 사뭇 달리 아주 큽니다. 이곳까지 자동차를 끌고 와서 술과 고스톱을 즐기는 아저씨와 아주머니가 보이지만 아랑곳할 일은 없습니다. 우리는 안쪽 깊숙한 곳으로 들어가니까요.

  고흥에서 지내며 스무 날 넘는 장마는 만난 적이 없습니다. 골짝물이 이렇게 불어난 모습을 처음 만납니다. 아이들은 무척 거세게 흐르는 골짝물을 보면서 섣불리 물에 들어가지 못합니다. 살짝 궁둥이를 담그고 나서는 “추워.” 하고 말합니다. 그렇지만, 1분이 지나고 2분이 지나면서 슬슬 차가운 골짝물에 몸을 맞춥니다. 물을 튀기고 깊은 물에 잠기면서 놉니다.

  하얗게 물보라를 일으키는 골짝물을 바라봅니다. 장마가 길었을 적에는 날마다 고단했는데, 장마가 끝난 뒤 이렇게 멋진 골짝물을 베풀어 주는군요. 이튿날에도 다음날에도 해가 뜨겁게 내리쬐면 아이들과 자전거를 타고 골짜기에 가려 합니다. 집과 더 가까운 데에 골짜기가 있으면 더 자주 마실을 할 테고, 아이들은 여름 내내 골짜기에서 살겠구나 싶습니다. 아니, 어른도 골짜기에서 여름 내내 살겠지요. 4347.7.20.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골살이 일기 64] 우리 집 딱새 두 마리

― 노래이웃



  우리 집에서 살듯이 지내는 딱새가 두 마리 있습니다. 처음에는 마당을 가로지르면서 다니지 않았으나 며칠 앞서부터 마당이고 섬돌이고 아무렇지 않게 뾰롱뾰롱 날아앉거나 콩콩콩 뛰어서 다닙니다. 한 마리인가 했으나 두 마리입니다. 한 마리는 수컷일 텐데, 다른 한 마리는 암컷일까요. 새끼를 까면서 모두 떠나고 빈 제비집에 깃들려나 궁금합니다. 후박나무에 둥지를 지었을까요, 풀숲에서 지내려나요.


  제비가 떠나고 없는 우리 집에 딱새가 날마다 노래를 베풉니다. 고마우면서 반갑고 사랑스러운 이웃입니다. 딱새는 노래이웃입니다. 딱새 두 마리는 노래동무입니다. 날마다 고운 빛으로 노래하면서 시골집에 밝은 기운을 나누어 줍니다. 4347.7.17.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골살이 일기 63] 토끼풀과 나비

― 즐겁게 바라볼 수 있는 곳



  어릴 적에 제가 가장 오래 살던 곳은 다섯 층짜리 아파트입니다. 이 아파트에 살기 앞서 인천에서 온갖 골목집을 떠돌았다고 하는데, 주민등록 초본에만 이러한 발자국이 남고, 내 머릿속에는 몇 가지 일을 빼고는 떠오르지 않습니다. 어릴 적 살던 다섯 층짜리 아파트에는 계단만 있고 연탄으로 불을 땝니다. 겨울을 앞두고 집집마다 연탄을 들이느라 부산해요. 1층집은 1층에 연탄을 두면 되지만 5층집은 5층까지 연탄을 쌓느라 늘 애먹어야 했습니다.


  다섯 층짜리 작은 아파트는 동마다 꽃밭이 퍽 넓게 있습니다. 아파트 넓이만큼 꽃밭이 꼭 있습니다. 꽃밭이 아니어도 빈터에는 흙이 쌓이고 시멘트가 깎여 풀밭이 됩니다. 풀밭이나 흙밭이 된 곳은 우리들 놀이터입니다. 잠자리와 나비를 잡고, 토끼풀을 고르면서 놀았어요.


  시골마을에서 토끼풀은 무척 흔합니다. 논둑이나 밭둑에서도 잘 자라고 빈터에서도 잘 자랍니다. 토끼풀에서 꽃이 피어나면 벌과 나비가 모여듭니다. 흰나비와 노랑나비도 몰려들고, 부전나비와 제비나비도 찾아듭니다.


  집에서도 토끼풀꽃과 나비를 바라봅니다. 대문 바깥 마을 들판에서도 토끼풀꽃과 나비를 만납니다. 가만히 지켜봅니다. 나비는 팔랑팔랑 날다가 살포시 내려앉습니다. 나비가 날갯짓을 그치고 꽃송이에 내려앉을 적에도 소리가 나겠지요? 사람 귀에는 도무지 들리지 않을 만큼 조그마한 소리가 나겠지요?


  나비가 내려앉는 소리를 들을 수 있으면 어떠할까 생각해 봅니다. 얼마나 그윽할는지, 얼마나 살가우면서 보드라울는지 생각해 봅니다.


  풀꽃을 바라보는 동안 마음이 느긋합니다. 풀꽃에서 노는 나비를 바라보는 동안 몸이 넉넉합니다. 풀꽃과 함께 내 마음은 푸르게 흐르고, 나비와 함께 내 넋은 가볍게 움직입니다.


  즐겁게 바라볼 수 있는 곳이란 사랑스러운 곳이 되리라 느낍니다. 즐겁게 마주할 수 있는 곳이란 아름다운 곳이 되겠다고 느낍니다. 따로 꽃밭을 가꾸어도 좋을 테지요. 그러나 풀밭만 있어도 좋습니다. 넓게 꽃밭을 만들어도 재미있을 테지요. 그렇지만 너른 빈터에 풀이 스스로 어깨동무하면서 자라나서 고운 풀내음을 나누어 주면, 풀벌레와 벌나비가 찾아들면서 푸른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4347.7.8.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