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아요 선생님 - 남호섭 동시집
남호섭 지음, 이윤엽 그림 / 창비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를 사랑하는 시 26



함께 살아가면 모두 노래

― 놀아요 선생님

 남호섭 글

 창비 펴냄, 2007.1.10.



  사월 십육일은 우리 면소재지에서 잔치를 하는 날입니다. 면민잔치를 합니다. 그러께에는 면민잔치 하는 날에 체육대회를 했는데, 올해에는 무엇을 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러께에는 아이들을 데리고 가서 줄다리기나 달리기를 함께 했지만, 올해에는 순천에 일이 있어 다녀오느라 면민잔치 자리에 가지 못합니다. 해가 기우는 저녁에 두 아이를 자전거에 태우고 면소재지에 살짝 들러 봅니다. 잔치를 마무리하는가 하고 살짝 들여다봅니다. 면소재지를 쩌렁쩌렁 울리는 노래가 울립니다. 초등학교 운동장에 천막을 곳곳에 치고 북적거리는 모습을 봅니다. 자전거에 탄 큰아이가 “놀이터에서 놀고 싶은데.” 하고 말합니다. 오늘은 놀이터에서 놀 만하지 않습니다. 자전거를 댈 만한 자리도 없고 너무 시끌벅적합니다. “다음에 다시 오자. 오늘은 안 되겠어.” 하고 말하면서 집으로 돌아갑니다.


  작은아이는 집으로 돌아가는 자전거에서 잠듭니다. 샛자전거에 앉은 큰아이가 “저기 꽃길로 가요.” 하고 말합니다. 큰아이 말이 아니더라도 유채꽃이 물결치는 들길로 갈 생각입니다. 들길로 접어드니 큰아이는 “나 걷고 싶은데.” 하고 말합니다. 그래, 그러면 같이 걸어 볼까.


  자전거를 세웁니다. 큰아이는 콩콩 뛰듯이 걷습니다. 수레에 앉은 작은아이는 하염없이 잡니다. 천천히 유채꽃 들길을 지나가니 꽃내음이 물씬 퍼집니다. 큰길로 지나가는 자동차는 하나도 없고, 아주 호젓합니다. 호젓하며 조용한 들길에는 바람소리만 흐릅니다.



.. 숲 속 나무들처럼 / 우리는 그저 지켜 주었고 / 숲 속에서 정식이는 / 천천히 아주 천천히 / 마음 문 열어 갔다 ..  (정식이, 간디학교 7)



  보름달이 밝습니다. 아이들을 재우기 앞서 “애들아, 마당으로 나와 보렴. 달 구경 하자.” 하고 부릅니다. “달이요?” 하면서 두 아이가 쪼르르 나옵니다. 아주 환한 보름달인데, 달 둘레로 별이 몇 보입니다. 하늘에 구름 한 점 없지만 달빛이 워낙 밝아 별빛은 사그라듭니다.


  까르르 웃고 떠드는 아이들 목소리 사이로 개구리 소리가 들립니다. 응? 우리 집 옆밭에 개구리가 있나? 아이들더러 “쉿. 조용히 해 보렴.” 하고 말하면서 귀를 기울입니다. 왁 왁 하는 개구리가 두 마리 있습니다. 틀림없이 우리 집 개구리입니다. 겨울잠을 깬 개구리이지 싶습니다. 밤에도 포근한 날씨이니 개구리가 깨어나서 노래할 만합니다.



.. 진선이와 수람이가 얘기했습니다. // 별이 정말 예쁘지 않니? / 그래, 우리 침낭 들고 나가서 자자 ..  (굼벵이, 간디학교 12)



  순천으로 볼일을 보고 집으로 돌아올 적에 이웃 봉서마을에서 군내버스를 내렸습니다. 우리 마을 어귀로 지나가는 버스는 없어, 이웃마을에서 내린 뒤 걸었습니다. 이웃마을부터 천천히 걸어서 돌아오는데, 들판을 날며 노는 제비를 여섯 마리 즈음 봅니다. 고흥에도 비로소 제비가 오는구나 하고 생각합니다. 그제 읍내에서 제비 두 마리를 보기도 했습니다. 제비들은 멋진 날갯짓으로 싱싱 하늘을 가릅니다. 우리 집 처마 밑으로도 제비가 찾아올는지 궁금합니다. 지난해까지 우리 집을 찾아오던 제비는 마을에서 끔찍하게 뿌려댄 농약 때문에 모두 숨을 거둔 듯한데, 우리 집뿐 아니라 우리 마을에 제비가 깃들는지 궁금합니다. 부디 농약물결에서 살아남은 제비가 있어 다시 우리 집 처마 밑으로도 깃들 수 있기를 바랍니다. 우리 마을뿐 아니라 이웃 여러 마을에서 농약물결은 멀리하거나 줄이면서 흙을 살찌우고 가꾸며 돌보면 얼마나 즐거울까 싶습니다.


  시골 할매와 할배도 뻔히 알거든요. 도시로 떠난 이녁 딸아들은 ‘농약을 쳐서 키운 남새’를 가져가지 않아요. 농약을 쳐서 키운 남새는 죄 ‘농협 수매’를 합니다. 이녁 딸아들이 도시로 떠난 뒤 낳은 아이들이 하나같이 아토피를 앓으니 모두 도시에서 비싼값을 치르며 유기농 곡식과 남새를 사다 먹는데, 막상 시골 어르신들은 농약을 줄이거나 없애지 못합니다. 일손이 달리니 농약을 써야 한다고 말씀하고, 도시로 떠난 딸아들은 시골 일손을 거들지 못합니다.



.. 우리 손으로 / 교실도 지을 수 있다면, // 먼 산이 보이는 큰 창에는 / 하늘을 한가득 담아 두고 / 반대쪽 창에는 숲을 들어앉히고 / 새잎 나서 단풍 들 때까지 / 다 볼 수 있을 텐데 ..  (우리 교실, 간디학교 15)



  지난주에 며칠 서울마실과 일산마실을 했습니다. 도시는 벌써부터 찜통입니다. 도시는 봄이 없는 듯합니다. 고흥과 이웃한 순천도 벌써 찜통입니다. 시골이 아닌 도시는 모두 후끈후끈 덥습니다.


  사람들은 으레 ‘봄이 사라졌다’고만 말합니다. 왜 봄이 사라졌는가를 헤아리지 않습니다. 시골은 사월에 사월빛이 어립니다. 시골은 밤이나 낮이나 후끈후끈 무덥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흙이 있고 풀이 있으며 나무가 있기 때문입니다.


  흙이 있으니 햇볕을 받아들이는데, 흙만 있대서 햇볕을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풀이 자라야 햇볕을 받아들입니다. 풀이 싱그럽게 우거진 흙이 있을 때에 봄볕이 포근합니다. 풀이 없이 메마른 흙만 있으면, 풀이 없는 민숭민숭한 밭이나 논이라면 도시와 똑같이 후끈후끈 달아오릅니다.


  나무가 있어도 나뭇가지를 뭉텅뭉텅 베어 나무가 나무답게 살아갈 수 없으면, 나무가 있다 하더라도 무덥습니다. 가지를 잘린 나무는 그늘을 베풀지 못합니다. 가지를 잃은 나무는 싱그러운 잎바람을 나누어 주지 못합니다.



.. 우산을 같이 씁니다. / 동무 어깨가 / 내 어깨에 닿습니다 ..  (사랑)



  남호섭 님 동시를 그러모은 《놀아요 선생님》(창비,2007)을 읽습니다. 간디학교에서 교사로 일하며 겪은 이야기가 꽤 많이 있습니다. 간디학교에서 아이들과 마주한 즐겁고 예쁜 눈빛이 싯말로 새롭게 태어났습니다.


  그런데, 간디학교이기에 이만 한 시가 태어날 수 있다고는 느끼지 않아요. 어느 학교에 있든 아이들 눈빛을 읽을 수 있으면 아름다운 시가 태어납니다. 아이들과 함께 놀고 배우며 사랑하면 누구나 아름다운 시를 쓸 수 있습니다. 함께 놀지 못하고 함께 배우지 못하며 함께 사랑하지 못할 때에는 시 한 줄 노래하지 못합니다.



.. 시골 갔다 오던 / 버스가 갑자기 끼이익! / 섰습니다. // 할머니 자루에 / 담겨 있던 / 단감 세 알이 / 통, 통, 통, / 튀어 나갔습니다 ..  (가을)



  글 한 줄은 삶입니다. 스스로 살아가는 이야기를 스스로 글로 옮깁니다. 스스로 살아가는 이야기를 스스로 그림으로 그리고 사진으로 찍습니다. 살아가는 이야기가 없으면 글도 그림도 사진도 없어요. 살아가는 이야기를 스스로 길어올리지 못하면 노래를 부르지 못해요.


  더 좋거나 덜 좋은 노래란 없습니다. 모두 노래입니다. 굳이 꾸미려 하지 않아도 아름다운 이야기요 삶이며 노래입니다. 애써 덧바르거나 만지작거려야 이야기가 되지 않습니다. 수수하게 사랑하면서 노래입니다. 투박하게 어깨동무하면서 꿈입니다. 살가이 손을 맞잡으면서 시 한 줄입니다.


  동시집 《놀아요 선생님》은 ‘놀아요’ 하고 노래하기는 하는데, 막상 어른들은 어떤 놀이를 하는지, 또 아이들이 어떤 놀이를 골고루 즐기는지는 그리 드러나지 않습니다. 더 흐드러지게 놀고, 더 신나게 놀며, 더 실컷 놀기를 빌어요. 놀이 아닌 삶이 없어요. 밥짓기도 놀이이고, 빨래하기도 놀이입니다. 마냥 뛰고 달리면서 놀이요, 책읽기나 풀뜯기도 놀이입니다. 4347.4.17.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시골에서 동시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풀빛

 


풀이 자라 푸르게 뒤덮은
비탈 둑 도랑 길
흙이 쓸리지 않아요.

 

풀을 모두 뽑거나 베거나 약으로 죽인
논밭 둑 도랑 길
흙이 시뻘겋게 쓸려요.

 

풀이 옹기종기 돋은 곁에서
나무들이 싱그러운 잎
찰랑찰랑 노래해요.

 

풀이 없이 민둥민둥 헐벗은 데에서
나무들이 고단하여
잎은 시들고 뿌리는 기운 잃어요.

 

풀이 없으니 땅이 갈라지고
풀이 있으니 밥을 먹고
풀이 없으니 햇볕이 뜨겁고
풀이 있으니 해님이 포근해요.

 


4347.4.16.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글노래 10. 나는 놀이순이

 


나는 놀이순이
밥 먹다가도 놀이
책 읽다가도 놀이
몸 씻을 때도 놀이
마실 가는 길에도 놀이
잠자리에서도 놀이
언제나 신나게 놀이
나무작대기로 논다
흙을 파고 돌을 주워 논다
동생과 자전거 타고 논다
놀면 배고픈 줄 모르고
놀면서 씩씩히 자라지.

 


2014.2.17.달.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철수’와 ‘영희’가 일하는 작은 출판사에서 “철수와 영희를 위한 대자보”를 내놓는다. 조그맣게 꾸리는 자그마한 책으로, 첫 이야기는 손석춘·지승호 두 사람이 《이대로 가면 또 진다》라는 이름을 붙여 선보인다. 참으로 맞는 이야기이다. 이대로 가면 정치와 사회와 경제와 문화와 언론 모두 바보스럽게 지고 말리라 느낀다. 왜냐하면, 스스로 배우지 않으니 진다. 스스로 가르치지 못하니 진다. 스스로 깨닫지 못하고, 스스로 생각하지 않으며, 스스로 사랑하지 않는데 이길 수 있는가. 삶에는 이기고 진다는 틀이 없다. 사랑이나 꿈을 이기고 진다는 틀로 가르지 못한다. 그예 즐겁게 살아가고, 그저 아름답게 꿈꾸면서 사랑한다. 다시 말하자면, 대통령 선거에서 아무개가 뽑힌다 한들 ‘지지’ 않는다. 정치란 ‘대통령 한 사람 뽑기’가 아니다. 정치란 그야말로 정치를 해야 정치이다. 이기고 진다는 틀을 내려놓고, 삶을 아름답게 가꾸면서 사회에 사랑과 꿈이 감돌도록 한다면, 언제나 이길 수 있고, 누구나 웃음꽃으로 노래할 수 있다. 4347.4.16.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한 줄 책읽기)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이대로 가면 또 진다- 손석춘과 지승호의 대자보, 창간호 01
손석춘.지승호 지음 / 철수와영희 / 2014년 4월
8,500원 → 7,650원(10%할인) / 마일리지 420원(5% 적립)
*지금 주문하면 "5월 23일 출고" 예상(출고후 1~2일 이내 수령)
2014년 04월 16일에 저장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과 함께 41. 꽃과 꽃

 


  하늘을 사진으로 찍을 적에는 하늘을 찍는 한편, 하늘에 깃든 숨결을 찍고, 하늘을 바라보는 내 마음을 찍습니다. 하늘을 사랑하는 넋을 사진으로 담고, 하늘과 마주한 내 삶을 사진으로 담으며, 하늘숨 함께 마시는 이웃들 이야기를 사진으로 담습니다.


  어머니를 사진으로 찍을 적에는 무엇을 찍는다고 할 만할까요. 어머니를 마주하는 내 모습과 매무새, 어머니가 살아온 나날과 이야기, 어머니가 그리는 사랑과 꿈, 어머니를 사랑하는 내 마음과 빛, 어머니가 들려주는 웃음과 노래 들을 골고루 사진으로 찍을 테지요.


  매화꽃이 활짝 피어난 우리 집 뒤꼍에서 매화꽃내음을 아이와 함께 맡다가 사진을 찍습니다. 아이는 벚꽃 무늬를 새긴 긴옷을 입습니다. 꽃빛이 곱다면서 아이가 좋아하는 꽃옷입니다. 꽃옷을 입고 꽃나무 앞에 섭니다. 나는 매화꽃을 찍으면서 꽃아이를 찍습니다. 꽃빛과 꽃내음을 사진으로 담으면서 꽃아이 목소리와 몸가짐을 사진으로 옮깁니다.


  꽃을 사진으로 찍을 적에는 나 스스로 꽃이 됩니다. 스스로 꽃이 되기에 꽃을 사진으로 찍을 수 있습니다. 백두산을 사진으로 찍는 분이 있다면 백두산과 하나가 되기에, 아니 그분 스스로 백두산이 되기에 백두산을 찍을 수 있습니다. 아픈 이웃을 사진으로 찍는다면 스스로 아픈 마음과 몸이 되겠지요. 살가운 골목동네를 사진으로 찍는다면 스스로 살가운 골목사람이 될 테고, 어수선하고 시끄러운 도시 한복판을 사진으로 찍는다면 스스로 어수선하고 시끄러운 마음과 몸이 되리라 느껴요.


  이것을 찍기에 더 좋지 않습니다. 저것을 찍기에 더 나쁘지 않습니다. 그저 찍습니다. 좋거나 나쁨을 가리지 않습니다. 사진으로 찍을 만한 이야기가 있기에 사진을 찍습니다. 사진으로 들려줄 목소리가 있어서 사진을 찍습니다.


  글을 쓰는 이들은 글을 쓸 까닭이 있어서 글을 써요. 누군가는 전태일을 이야기하는 글을 쓸 테고, 누군가는 쌍용자동차를 이야기하는 글을 쓸 테지요. 누군가는 박정희나 박근혜를 이야기하는 글을 쓸 테며, 누군가는 정약용과 정약전을 이야기하는 글을 쓸 테지요. 무엇을 이야기하든 글은 글입니다. 무엇을 찍든 사진은 사진입니다. 스스로 쓰려는 글감에 녹아들면서 글이 태어납니다. 스스로 찍으려는 사진감에 스며들면서 사진이 태어납니다.


  꽃과 꽃입니다. 찍는 꽃과 읽는 꽃입니다. 보는 꽃과 ‘(스스로 하나가) 되는 꽃’입니다. 피어나는 꽃과 저무는 꽃입니다. 맑은 꽃과 밝은 꽃입니다. 잠자는 꽃과 숨쉬는 꽃입니다. 노래하는 꽃과 춤추는 꽃입니다. 꽃으로 살고 꽃으로 사랑합니다. 4347.4.16.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