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네에서 제가 즐겨 찾아가는 구멍가게는 ‘충인상회(-商會)’입니다. 충인상회로 가는 길목에 ‘재영슈퍼(-supermarket)’가 있습니다. 동구청으로 가는 길을 따라 곧게 걸으면 ‘금곡제일슈퍼’가 있습니다. 이 구멍가게에서 오른쪽 골목으로 접어들면 ‘금곡상회’가 있습니다. 금곡제일슈퍼 건너편으로는 ‘한아름마트(-mart)’가 있어요. 저는 ‘구멍가게’에 간다고 생각하지만, 제가 가는 구멍가게마다 ‘상회’나 ‘슈퍼’나 ‘마트’라는 이름이 달려 있습니다. 적어도 ‘가게’라는 이름을 붙인 곳은 없습니다.

 동무들하고, 또는 손윗사람이나 손아랫사람하고, 또는 이웃사람하고 술 한잔 하자며 나들이를 하곤 합니다. 이때 우리들은 ‘술집’에 가지만, 그 어느 술집에서도 ‘술집’이라는 말을 쓰지 않습니다. 막걸리를 팔면 ‘주점(酒店)’이고, 맥주를 팔면 ‘호프(Hof)’입니다. ‘주점’이 ‘술 + 집(가게)’을 한자로 옮긴 말일 뿐임을 헤아려 보는 사람은 찾아보지 못합니다.

 옷집이 줄줄줄, 또는 다닥다닥, 또는 층층이 늘어서 있는 동대문 같은 곳을 일컬어, ‘패션(fashion)의 거리’라고들 합니다. ‘옷집거리’나 ‘옷집골목’ 또는 ‘옷가게거리’나 ‘옷가게골목’ 같은 말은 한 번도 들어 보지 못합니다. 옷을 파니까 옷집이요, 옷을 다루니 옷가게입니다. 그렇지만, ‘패션’ 아닌 말로 이와 같은 거리나 골목을 가리킬 때에는 으레 ‘의류타운(衣類town)’입니다.

 우리 식구는 집에서 밥을 먹지만, 때때로 집 밖으로 밥을 사먹으러 마실을 나가곤 합니다. 집에서 해먹을 수 없는 밥이 먹고플 때, 이래저래 바깥 볼일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왔는데 날푸성귀가 하나도 없을 때, 밖에서 밥을 사먹습니다. 우리는 밥을 먹으러 “밥 파는 가게”를 찾아갑니다. ‘밥집’을 찾습니다. 그러나, 우리들이 찾아가는 곳에는 한결같이 ‘식당(食堂)’이라는 말만 붙어 있습니다. 그나마, 보리밥을 파는 곳은 ‘보리밥집’이라 하지, ‘보리밥 식당’이나 ‘보리 식당’이라고는 하지 않더군요. 더욱이, 가게를 마련하여 밥을 파는 일을 하는 사람들을 가리켜 ‘요식업(料食業)’을 한다고 이야기하는 우리 사회요, 정부입니다. ‘밥일’을 한다든지 ‘밥집일’을 한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생각해 보면, 집에서 밥을 먹을 때에는 ‘집밥’입니다. 집 바깥에서 밥을 먹을 때에는 ‘바깥밥’입니다. 뭐, 바깥밥을 먹는다고 말하는 사람은 없고, 하나같이 ‘외식(外食)’을 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만.

 우리들은 예부터 얼마 앞서까지 흙을 바닥으로 삼아 흙으로 벽을 올리고, 흙에서 거둔 짚이나 풀로 지붕을 이어서 살았습니다. 두 발로 땅을 디디듯이 등과 배를 흙에 깔고 잠을 이루었습니다. 흙을 만지며 일을 했고, 흙을 다루어 집을 지었습니다. 흙으로 지은 집이었으니 ‘흙집’입니다. 풀로 지붕을 이었으니 ‘풀집’입니다. 그런데, 흙집이나 풀집에 살던 사람은 스스로 ‘흙집’과 ‘풀집’이라 했으나, 흙집이나 풀집에 안 살던 사람들이 흙집이나 풀집에 살던 사람을 가리키는 자리에서는 으레 ‘토담집(土-)’이니 ‘토옥(土屋)’이니 ‘초가집(草家-)’이니 ‘초가(草家)’니 ‘초옥(草屋)’이니 하는 말을 썼습니다. 한국사람이 살던 집을 가리켜 ‘한옥(韓屋)’이라 하는데, 이 한옥에는 ‘풀집’이나 ‘흙집’은 끼어들지 못합니다. 오로지 ‘기와집’ 하나만을 한옥이라고 합니다. 모르는 일이지만, 앞으로 스무 해쯤만 더 지나면, 또는 서른 해쯤만 되면, 아파트(apartment)라는 곳이 한옥이 되지 않으랴 싶습니다. 어느 프랑스사람이 《아파트 공화국》(후마니타스)이라는 책도 한 권 써내기도 했지만,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한국 집 문화’를 말할 때에는 아파트 말고는 이야기를 꺼낼 수 없습니다. 시골 고샅집은 죄 사라졌습니다. 박씨 집안이 쇠삽날을 밀어붙여 없애기도 했지만, 우리 스스로 우리 고샅집을 볼품없이 여겼습니다. 시골이 거의 사라지고 도시만 멀뚱멀뚱 남은 오늘날 도시에서는 골목집이 집 대접을 못 받습니다. 판자집이든 나무집이든 벽돌집이든 무슨 집이든, 돈과 힘과 이름이 없이 도시에 몰려든 사람들이 옹기종기(높으신 분들은 게딱지나 성냥갑이라고 가리키셨겠지만) 모여살던 골목집은 집이 아닌 집, 문화가 아닌 문화, 삶이 아닌 삶, 도시가 아닌 도시, 동네가 아닌 동네, 이리하여 사람이 아닌 사람으로 시달렸고 들볶였고 떠밀렸고 쫓겨났고 짓밟혔습니다.

 우리 식구 달삯 내며 붙어사는 집은 1957년에 지어졌습니다. 동네 다른 집과 견주면, 지은 지 그리 오래되지 않은 집이라 할 만합니다. 그래도 벌써 쉰한 살입니다. 쉰한 살이면 그 옛날 사회와 문화와 삶을 찬찬히 헤아릴 수 있는 집인 셈입니다. 이 집, 또 우리 이웃집들마다 깃들어 있는 사회와 문화와 삶을, 우리들 시민한테 권력을 넘겨받아서 꾸려 나가는 공무원과 시장과 정치꾼들이 얼마나 보듬어 줄는지 모를 일입니다만, 그러거나 말거나 우리들은 우리 깜냥껏 우리들 깃든 보금자리를 잘 추스르며 살아야지 싶습니다.

 저는 자주 못 가고, 옆지기는 부지런히 가는 ‘성당(聖堂)’이라는 곳이 있습니다. 이곳, ‘거룩한집(성당)’에서 비손을 드리노라면, 모두들 일어나서 “거룩하시도다, 거룩하시다” 하는 노래를 부릅니다. 그래요, 거룩한집에 모였으니 ‘거룩하다’고 노래를 부르지요. 그러하오나, 거룩함을 기리거나 받드는 이 집 이름은 ‘聖堂’일 뿐입니다. 성당에서 파는 ‘거룩한 물건(성물:聖物)’을 파는 가게 이름은 얼마 앞서까지 ‘성물방(聖物房)’이었습니다. 지난달 끝머리, 거룩한집 알림판을 새로 단다고 해서, 그러면 ‘거룩한가게’로 이름을 붙여 보시면 어떻겠습니까 하고 말씀을 여쭈었습니다. 그러고 나서 한 주 뒤 다시 거룩한집을 찾아가 보니, 말끔한 판에 깔끔한 글씨로 ‘거룩한가게’ 알림판이 붙었습니다. (4341.6.16.달.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서울 헌책방에는 책이 참 많습니다. 낯익은 책도 많고 낯선 책도 많습니다. 볼 만한 책도 많고 손길이 가는 책도 많으며 골라들게 되는 책도 많습니다. 인천에도 헌책방이 몇 군데 있고, 쏠쏠히 책 구경을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서울에 있는 헌책방을 찾아간 다음에 헤아려 보면, 인천에는 ‘책이 없다’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니겠구나 싶습니다. 부산에 보수동 헌책방골목이 있고, 서울 아닌 곳에도 제법 큼직하게 꾸려 나가는 헌책방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서울 골목길 안쪽에 조그맣게 꾸리는 곳에 드나드는 책 가짓수가 한결 많거나 넓거나 깊다는 느낌을 지울 길이 없습니다. 그래서 모두들 서울로 몰려들까요. 책 하나를 놓고도 이렇다면, 책 아닌 대목에서 서울은 얼마나 많이많이 껴안고 있는 셈일까요. 서울에서 누리는 문화는 얼마나 너르고 많고 깊을까요. 이리하여 서울 아닌 곳에서는 얼마나 조금만 껴안고 있는 셈이며, 서울 바깥쪽 사람들은 얼마나 조금만 얕게만 몇 가지만 어줍잖게 누리고 있는 셈인가요. (4341.6.4.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루 내내 바쁘게 살아가는 사람들한테 전철은 책을 느긋하게 읽을 수 있는 곳입니다. 쇠바퀴와 쇳길이 부딪히며 내는 치치 소리 시끄럽고, 간첩신고 하라는 방송이 아직도 끊이지 않으며, 목소리 높여 손전화 받는 사람 많은 가운데, 옆사람은 아랑곳하지 않으며 밟고 치고 미는 사람 많은 전철입니다만, 마음을 그러모아서 책을 읽을 수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서서 가며 책을 읽기는 어려울 수 있으나, 버릇을 들이면 괜찮아집니다. 버스는 너무 덜컹거릴 뿐더러, 운전기사가 지나치게 마구 몰아서 책을 읽기 아주 나쁩니다. 자가용을 몰면 책은 못 읽습니다. 집이나 일터에서는 수많은 일거리가 끊이지 않으니 책에 마음을 쏟기 어렵습니다. 일거리가 줄거나 고된 일을 마친 뒤에는, 아무 생각 없이 인터넷 화면을 들여다보거나 텔레비전 화면을 쳐다보는 일이 한결 낫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이리하여 전철은 책을 가까이하는 소중한 곳이 되기도 합니다. 가방에 책 한 권 언제나 챙겨 놓고 있다면. 가방 없는 빈손이라 해도 한손에 책 하나 들고 움직일 만큼 매무새를 추스를 수 있다면. (4341.6.4.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원과 다시다


 ‘미원’과 ‘다시다’라는 이름으로 대표되는 조미료가 있습니다. 화학조미료지요. 일본에서 만든 조미료를 고스란히 받아들여서 만들고, 상품광고마저도 일본 광고를 고스란히 베껴서 내보내 왔습니다. 1998년에 신문방송학 공부를 하면서 본 일본 조미료 회사 광고와 한국 조미료 회사 광고가 하나부터 열까지 똑같고, 노래며 광고말이며 어느 하나 안 베낀 곳이 없는데, 이와 같은 광고가 한국에서는 ‘광고상’까지 받는 형편이었으니 그저 놀랄 뿐이었습니다.

 미원이며 다시다며, 또 맛나며, 또 새로운 이름으로 나오는 숱한 조미료며, 집살림을 하는 아주머니들이 끊임없이 엄청나게 사서 밥을 하고 반찬을 하고 찌개를 끓이고 국을 끓입니다. 조미료가 있기 앞서까지는 된장과 소금과 간장으로 간을 보았으나, 조미료가 싼값으로 퍼져나가자, 모두들 된장과 소금과 간장을 뒤로 밀쳤습니다. 집집마다 다 다른 손맛과 입맛으로 우리 몸을 북돋우던 흐름이 하루아침에 끊겼습니다. 이러는 가운데 나라에서 라면공장 키우는 정책을 펼치며, 사람들 밥상에 라면이 부쩍 자주 오르게 되었고, 이제 라면 없이는 하루도 살 수 없다고 느끼는 분이 무척 많습니다. 라면에는 ‘스프’가 들어가는데, 이 스프는 미원이나 다시다보다 더 자극이 센 조미료입니다.

 아주 어릴 적부터 이제까지, 찬장에 미원이나 다시다나 맛나나 라면스프가 없는 집을 거의 못 보았습니다. 조미료를 쓰지 않고 밥과 국을 하는 손길을 찾는 일은 놀이터 모래밭에서 천 원짜리 캐내는 일보다 훨씬 어려운 일이 되었습니다. 동네 이웃집에 놀러가서 밥 한 그릇 얻어먹게 될 때면 일찌감치 ‘하늘에 계신 아버지……’ 하고 비손을 올려야 합니다. 조미료덩이를 배속에 집어넣고 삭여야 할 일을 생각하면 몸서리가 쳐지지만, 싫은 얼굴을 할 수 없습니다. 세탁기 안 돌리고 텔레비전 안 본다는 대목 하나만으로도 ‘미친 놈’ 소리를 듣고 있는데, 조미료 하나 안 쓰고 소금과 된장과 간장으로만 간을 해서 찌개를 끓여서 먹는다고 하면, ‘이 동네를 떠나 산골구석으로 들어가라’는 듯한 눈초리를 받습니다.

 커피를 마시면 꼭 물똥을 누거나 속이 뒤집어져서 괴로웠지만, 어디를 가도 하도 커피를 타 주기 때문에 차마 개수대에 흘려보내기만 할 수 없어서 억지로, 어거지로 마시고 했더니 이제는 몸에서 조금 받아 주기는 합니다. 토마토나 딸기 대접을 받을 때, 그냥 꽁다리까지 우걱우걱 씹어먹습니다. 설탕은 안 묻히고 먹습니다. 그러나 ‘그럼 맛없어!’ 하면서 일부러 설탕을 푹 묻혀서 이쑤시개로 찍어서 제 손에 쥐어 주십니다. 능금이나 배를 먹을 때 껍질을 안 벗기고 속까지 모두 먹고 싶으나, ‘맛없어! 그걸 왜 먹어!’ 하면서 쓰레기통에 얼른 집어넣으십니다.

 눈물이 핑 돌지만, 가슴이 쓰리지만, 어찌할 길이 없습니다. 옆지기와 저는 배추 날것 그대로 물에 씻어서 먹기를 좋아하나, 싱그러운 열매는 껍질과 씨까지 오독오독 깨물어 먹기를 즐기나, 집에 찾아온 손님이 있으면, 어쩔 수 없이라도 능금 껍질을 벗겨서 드려야 합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껍질 안 벗긴 것을 속까지 냠냠짭짭 씹어서 먹지요.

 여러모로 알아보고 생각하고 길찾기를 해 본 끝에, 우리들이라도 도시에서 똥오줌을 거름으로 삭혀서 집에서 푸성귀를 기른다든지, 아니면, 만들어 놓은 거름을 동네 꽃밭에라도 뿌려 줄까 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일을 동네이웃하고 함께 할 수 있다면 더없이 기쁘고 신날 텐데, 옆지기가 이웃 아주머니한테 들어야 하는 소리는 장난이 아닙니다. 어느 만큼 어림하고 있었습니다만, 참으로 어렵습니다. 우리들 살아가는 모습이 아주 남다른 삶도 아닌데, 당신들 아주머니 아저씨들이 고작 스무 해나 서른 해 앞서만 해도 다들 이렇게 사셨는데, 그리고 당신들 아주머니 아저씨를 낳아 기른 아버님 어머님은 모두 그렇게 살아오셨는데, 그 위로 올라가면 모두들 거리낌이 없는 모습과 매무새로 그렇게들 이 땅에서 어울려 왔는데.

 무거운 마음을 풀고자 동네 막걸리집에 갑니다. 동네 막걸리집에서 틀어놓은 텔레비전에서 “우리 나라 식량자급률이 51%인데 어쩌고 ……, 식량위기가 저쩌고 …….” 하는 이야기가 흐릅니다. 뭐라고? 우리 나라 식량자급률이 51%라고? 뭔 소리여? 우리 나라 식량자급률이 25% 밑으로 떨어진 지가 언제인데 헛소리를 늘어놓고들 있나? 아니, 헛소리이건 아니건, 그렇게 자기들도 우리 나라가 ‘식량 위기’인 줄 안다면, 이러한 이야기를 크나큰 특집으로 삼아서 이 나라 사람들 모두가 깨우치고 몸을 움직여 삶을 바꿀 수 있도록 운동을 벌여 나가야 하지 않나?

 우리 동네 아주머니들도, 아저씨들도 모두모두 집에서 저 텔레비전 소식을 들으실 테지요. 식량 위기가 어쩌고, 자급률이 어쩌고 ……. 그런데 우리 이웃 아주머니 아저씨 가운데 몇 분쯤이나마, 이런 이야기를 당신들 살갗으로 받아들이면서, ‘미원’과 ‘다시다’로 물들이고 있는 삶을 털어내도록 움직여 주실 수 있을까요. (4341.5.3.흙.ㅎㄲㅅㄱ)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kalms 2010-07-12 10:41   좋아요 0 | URL
다른 이유로 검색하다가, 즉 우연히, 들렀습니다.
저도 멸치는 대가리 내장(?) 다 먹는 편이고
명태도 새우도(?) 대가리까지 먹지만
사과 내장은 그 사과씨의 독특한 맛 때문에 ... 네 사과 뼈는 맛이 괜찮습니다.
또 하나 사과 배꼽(꽃자리)는 맛이 별로 입니다.
맛이 별로인 것은 이유가 있지 않을까 싶은데. 사과씨는 근거가 부족하니
사과배꼽도 마찬가지겠네요.
포도씨도 씹자니 삼키자니 ... 포도 껍질도 어느덧 벗기는 게 씹는 것보다 편해졌고 ...
딸기 꼭다리는 아직 시도해 보지 못했네요. 딸기는 흔하지도 않아서였는지 ...
요즘은 애들과 애엄마랑 먹을 때 기준이 내가 아니라 더더욱 ... 그렇네요.
 


 사 놓고 미처 못 읽는 책이 있습니다. 아직 사 놓지도 못해서 못 넘겨보는 책이 있습니다. 나온 줄도 몰라서 사 놓을 생각조차 못하는 책이 있습니다. 지금 제 곁에 있으면서도 제 손길을 제대로 타지 못하는 책들은, 한편으로는 쓸쓸하지만 언젠가 저 아닌 다른 누군가한테 손길을 탈 수 있는 책입니다. 적어도 제가 잘 간수해 놓고 있으면 이 책은 제 살림집에서 고이 목숨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아직 사 놓지 못한 책들은 누군가 사들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어느 누구도 사들이지 않으면서 헌책방 책시렁, 또는 새책방 책꽂이에서 조용히 사라질 수 있습니다. 출판사에서는 재고정리 하듯 찢어버릴 수 있습니다. 나와 있을 텐데 아직 나와 있는 줄 모르는 책 또한 누군가 알아보고 사들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알아보는 사람이 드물어 눈물만 흘리고 기다리다가 고요히 잠들어 버릴 수 있어요.

 모든 책을 다 사서 읽을 수 없습니다. 모든 책을 고루 장만할 수 없습니다. 다만, 제 힘이 닿는 데까지는, 제 눈길이 끌리는 데까지는, 제 손길이 미치는 데까지는, 제 곁에 책을 마련해 놓고 싶습니다. 제가 이 책을 하나하나 넘겨보게 되든, 짬도 없고 틈도 없어서 미처 들춰보지 못하게 되든. (4341.4.10.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