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935 : 아담 소박 자연의 신선함 속 심신 단련
아담하고 소박한 자연의 신선함 속에서 심신을 단련하였습니다
→ 소담하고 수수하고 싱그러운 들숲에서 몸마음을 다스렸습니다
→ 반듯하고 꾸밈없고 맑은 들숲메에서 마음몸을 갈고닦았습니다
《도산서원》(라현선·제소라, 초방책빵, 2004) 3쪽
한자말 ‘아담’하고 ‘소박’은 여러모로 비슷한 결을 나타냅니다. 이 보기글은 ‘자연’을 ‘아담·소박·신선’으로 나타내려고 하는데, 이때에는 ‘슾’이나 ‘들숲’이나 ‘들숲메’가 “소담하고 수수하고 싱그럽다”거나 “반듯하고 꾸밈없고 맑다”고 나타내면 됩니다. “신선함 속에서”는 잘못 쓰는 옮김말씨입니다. 들숲에서 몸마음을 다스려요. 숲들메에서 마음몸을 갈고닦습니다. ㅍㄹㄴ
아담하다(雅淡/雅澹-) : 고상하면서 담백하다
소박(素朴) : 꾸밈이나 거짓이 없고 수수하다
자연(自然) : 1. 사람의 힘이 더해지지 아니하고 세상에 스스로 존재하거나 우주에 저절로 이루어지는 모든 존재나 상태 2. 사람의 힘이 더해지지 아니하고 저절로 생겨난 산, 강, 바다, 식물, 동물 따위의 존재. 또는 그것들이 이루는 지리적·지질적 환경 3. 사람의 힘이 더해지지 아니하고 스스로 존재하거나 저절로 이루어진다는 뜻을 나타내는 말 4. [철학] 사람과 사물의 본성이나 본질 5. [철학] 의식이나 경험의 대상인 현상의 전체 6. [교육] 초등학교 교과의 하나. 일상생활 속에 나타나는 자연 사물과 현상에 대하여 과학적으로 관찰하고 사고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그 목적이다 = 자연과 7. 사람의 의도적인 행위 없이 저절로 ≒ 자연히
신선하다(新鮮-) : 1. 새롭고 산뜻하다 2. 채소나 과일, 생선 따위가 싱싱하다
심신(心身) : 마음과 몸을 아울러 이르는 말
단련(鍛鍊) : 1. 쇠붙이를 불에 달군 후 두드려서 단단하게 함 ≒ 연단 2. 몸과 마음을 굳세게 함 3. 어떤 일을 반복하여 익숙하게 됨. 또는 그렇게 함 4. 귀찮고 어려운 일에 시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