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지방 地方
열대 지방 → 더운땅 / 더운고을 / 더운터
낯선 지방으로 여행하다 → 낯선 곳으로 마실하다 / 낯선 마을로 나들이하다 / 낯선 고을로 다녀오다
지방 도시 → 작은고을 / 작은고장
지방에서 올라오다 → 다른 곳에서 오다 / 시골에서 오다 / 다른 고장에서 오다
‘지방(地方)’은 “1. 어느 방면의 땅 2. 서울 이외의 지역 ≒ 주현(州縣) 3. 중앙의 지도를 받는 아래 단위의 기구나 조직을 중앙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라고 합니다. ‘마을·고을·고장’으로 알맞게 손볼 만하고, 서울이 아닌 곳을 가리킬 적에는 ‘다르다·또다르다·여느’로 손볼 수 있습니다. 때로는 ‘시골·실’이나 ‘곳·데·자리·쪽·즈음·쯤’으로 손봅니다. ‘땅·녘·골·께·밭’이나 ‘꼬마·꼬마나라·꼬마누리’나 ‘터·터전·판’으로 손보아도 돼요. ‘멀다·먼발치·멀리·먼곳·먼길’이나 ‘바깥·밖·바깥쪽·바깥자리·바깥길’로 손보아도 어울려요. ‘작은골·작은고을·작은고장’이나 ‘작은마을·작은말·작은곳·작은터’로 손볼 수 있습니다. 낱말책 보기글 가운데 “지방에서 올라오다”가 있는데, 이는 서울을 섬기는 따돌림말입니다. “시골에서 오다”나 “다른 고장에서 오다”로 바로잡습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지방’을 다섯 가지 더 싣는데, 모두 털어내어도 됩니다. ‘지방(脂肪)’은 ‘굳기름·기름’으로 손볼 수 있습니다. ㅍㄹㄴ
지방(支放) : [역사] 관아(官衙)에 속하여 있는 일꾼에게 급료를 내어 주던 일
지방(地枋) : [건설] = 하인방
지방(知方) : [북한어] 예법을 앎
지방(紙榜) : [민속] 종잇조각에 지방문을 써서 만든 신주(神主)
지방(脂肪) : [생물] 지방산과 글리세롤이 결합한 유기 화합물 ≒ 굳기름·지고(脂膏)
이 지방은 냉해를 자주 입어서 가족과 마을사람 들이 하나로 단결하지 않고는
→ 이 마을은 얼음벼락이 잦아 집안과 마을사람 들이 하나로 뭉치지 않고는
→ 이 고을은 찬벼락이 잦아서 집안과 마을사람 들이 하나가 되지 않고는
《백귀야행 2》(이마 이치코/강경원 옮김, 시공사, 1999) 63쪽
뉴멕시코 주 데밍의 사막지방에서 넉 달을 지내면서
→ 뉴멕시코 주 데밍 모래벌에서 넉 달을 지내면서
→ 뉴멕시코 주 데밍 모래고을에서 넉 달을 지내면서
→ 뉴멕시코 주 데밍 모래벌판에서 넉 달을 지내면서
《달리는 기차 위에 중립은 없다》(하워드 진/유강은 옮김, 이후, 2002) 122쪽
요즘은 다른 지방의 어머니들도 많이 따라서 흉내내게 되었다
→ 요즘은 다른 고장 어머니도 많이 따라서 쓴다
→ 요즘은 다른 마을 어머니도 많이 흉내내어 쓴다
《어린이책 이야기》(이오덕, 소년한길, 2002) 246쪽
경상도 지방에 두루 퍼져 있는 남정네들의 풍물놀이에서 부르는 것이다
→ 경상도에 두루 퍼진 사내들 네가락놀이에서 부른다
→ 경상도 쪽에 두루 퍼진 사내들 놀이두레에서 부른다
《배달말꽃 갈래와 속살》(김수업, 지식산업사, 2002) 289쪽
북쪽 지방에서는 밤이든 낮이든 아무 때나
→ 높쪽에서는 밤이든 낮이든 아무 때나
→ 높녘 마을에서는 밤이든 낮이든 아무 때나
→ 높쪽 고장에서는 밤이든 낮이든 아무 때나
→ 높녘 나라에서는 밤이든 낮이든 아무 때나
《캐시 호숫가 숲속의 생활》(존 J.롤랜즈/홍한별 옮김, 갈라파고스, 2006) 45쪽
신분의 고하를 막론하고 함께 즐길 수 있었던 진주 지방 백성의 축제였던 것 같다
→ 누구나 함께 즐길 수 있던 진주 고을 큰잔치였다
→ 누구라도 함께 즐길 수 있던 진주 고을 한마당이었다
《그녀들에 대한 오래된 농담 혹은 거짓말》(김현아, 호미, 2009) 120쪽
그러한 와중에서도 일본의 식량 창고, 훗카이도 지방에는
→ 그런데도 일본에서 밥칸, 훗카이도 쪽에는
→ 그런 마당에도 일본에서 밥칸, 훗카이도에는
→ 그렇지만 일본 밥칸, 훗카이도에는
《백성귀족 1》(아라카와 히로무/김동욱 옮김, 세미콜론, 2011) 3쪽
얼마 전 지방에 다녀왔다
→ 얼마 앞서 멀리 다녀왔다
→ 시골에 다녀왔다
→ 어느 곳에 다녀왔다
→ 작은고을에 다녀왔다
《비행운》(김애란, 문학과지성사, 2012) 208쪽
나 같은 지방 출신 고학생 사이에는 넘지 못할 벽이 있었다
→ 나 같은 시골내기 가난이 사이에는 넘지 못할 담이 있다
→ 나 같은 작은고을 쪼들린 살림에는 넘지 못할 금이 있다
《내 이름은 욤비》(욤비 토나·박진숙, 이후, 2013) 40쪽
지방 대도시에서는 도서관 붐이라고 할 만큼 괄목할 만한 성장이 이어졌지만 지방 소도시, 특히 주민이 많지 않은 시골 마을에는 여전히 책문화라고 할 만한 것도, 책 문화공간도 부족했다
→ 다른 큰고장은 책숲바람이라고 할 만큼 눈부시게 커졌지만 바깥쪽, 더욱이 사람이 많지 않은 시골 마을에는 아직 책살림도 책터도 모자랐다
→ 고장 큰곳은 책숲바람이라고 할 만큼 부쩍 자랐지만 작은곳, 더구나 사람이 많지 않은 시골 마을에는 아직 책살림도 책마당도 적었다
《작은 책방, 우리 책 쫌 팝니다!》(백창화·김병록, 남해의봄날, 2015) 25쪽
왜 이런 좁은 지방에 남겠다는 거야?
→ 왜 이런 좁은 곳에 남겠다고?
→ 왜 이런 좁은 시골에 남으려고?
《너에게 친구가 생길 때까지 1》(호타니 신/한나리 옮김, 대원씨아이, 2015) 175쪽
미국 남부 지방 억양으로 말을 이어 나갔다
→ 미국 남쪽 말씨로 말을 이어 나갔다
→ 미국 남녘 소리로 말을 이어 나갔다
《존경합니다, 선생님》(페트리샤 폴라코/유수아 옮김, 아이세움, 2015) 1쪽
근동 지방의 동물 뼈 증거는
→ 하늬끝에서 나온 짐승 뼈는
→ 하늬녘끝 짐승 뼈 자국은
《말, 바퀴, 언어》(데이비드 W. 앤서니/공원국 옮김, 에코리브르, 2015) 96쪽
해안 지방에 사는 모든 개들에게 고난의 조짐이 보이고 있었다
→ 바닷가에 사는 모든 개한테 가시밭길이 닥치려 한다
→ 바닷마을에 사는 모든 개는 곧 가싯길을 맞을 듯하다
→ 바닷마을 모든 개는 이윽고 바람서리를 맞을 듯하다
《야성의 부름》(잭 런던/햇살과나무꾼 옮김, 시공주니어, 2015) 9쪽
그 지방의 사람들은
→ 그곳 사람들은
→ 그 마을에서는
→ 마을사람은
《흰》(한강, 난다, 2016) 47쪽
전국동시선거를 실시하기 때문에 사실상 중앙의 정치의제가 지방선거를 좌우한다
→ 온나라가 한날에 선거를 하기 때문에 서울 이야기가 마을선거를 흔든다
→ 온나라가 똑같이 선거를 하기 때문에 서울 이야기가 고을판을 뒤흔든다
《시민에게 권력을》(하승우, 한티재, 2017) 75쪽
나이도 많고 지방에 있는 초로의 한 아줌마의 처지였다
→ 나이도 많고 시골에 있는 늙수그레한 아줌마였다
→ 나이도 많고 서울하고 먼 곳에 사는 늙은 아줌마였다
《감자꽃》(김지연, 열화당, 2017) 127쪽
수도권으로 가지 않고 지방에 남아 있겠다고
→ 서울곁으로 가지 않고 작은고장에 남겠다고
→ 서울밭으로 가지 않고 마을에 있겠다고
《당신이 계속 불편하면 좋겠습니다》(홍승은, 동녘, 2017) 10쪽
언어를 지방화하기
→ 시골말을 쓰기
→ 마을말을 쓰기
→ 고을말을 쓰기
→ 고장말로 얘기하기
→ 사투리로 하기
《숲은 생각한다》(에두아르도 콘/차은정 옮김, 사월의책, 2018) 73쪽
지방 사투리 쓰는 것을 비웃는 행위와
→ 사투리 쓰기를 비웃는 짓과
→ 고장말을 쓴다고 비웃는 짓과
→ 시골말을 비웃는 짓과
《방언의 발견》(정승철, 창비, 2018) 27쪽
다른 지방에서 살자는 제안에 흔쾌히 응해 주었죠
→ 다른 곳에서 살자는 뜻을 기꺼이 받아 주었죠
→ 다른 마을에서 살자는 뜻을 즐거이 따라 주었죠
→ 다른 시골에서 살자는 뜻을 넉넉히 맞아 주었죠
→ 다른 터에서 살자는 뜻을 좋이 헤아려 주었죠
《여자, 귀촌을 했습니다》(이사 토모미/류순미 옮김, 열매하나, 2018) 51쪽
지방 관리들은 성공적이라고 평가했다
→ 시골 나리는 잘됐다고 여겼다
→ 시골 벼슬꾼은 좋다고 보았다
→ 시골 벼슬아치는 훌륭하다고 했다
《전염병 전쟁》(이임하, 철수와영희, 2020) 246쪽
지방 중소도시에서 살아온 볼 통통한 이십 대 여성에게
→ 작은고을에서 살아온 볼 통통한 스무 줄 순이한테
→ 작은고장에서 살아온 볼 통통한 스물 몇 살 순이한테
《셋이서 집 짓고 삽니다만》(우엉·부추·돌김, 900KM, 2020) 14쪽
더욱 심각한 문제는 지방 중소도시를 ‘촌’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 더욱 큰 일은 작은곳을 ‘시골’로 여긴다
→ 더욱 깊은 일은 작은터를 ‘시골’로 본다
《아름다움은 지키는 것이다》(김탁환, 해냄, 2020) 70쪽
알자스 지방의 와이너리에서 가져온 와인을 마시고 있었다
→ 알자스 어느 포도술칸에서 가져온 포도술을 마신다
《인생이 내추럴해지는 방법》(신이현, 더숲, 2022) 25쪽
지방에서 온 우리는 서로의 사투리로 장난을 치며 친해졌다. 사투리는 지방 고유의 색을 나타내면서 서로 다른 지역에 대한 이해를 담기도 한다
→ 시골에서 온 우리는 서로 사투리로 장난을 치며 사귀었다. 사투리는 시골빛을 나타내면서 서로 다른 마을을 헤아리는 징검다리이다
《나의 외국어, 당신의 모국어》(이보현, 소나무, 2022) 64쪽
보름의 휴가를 내어 독일 남부 지방에서 지내고 있다
→ 보름 쉬며 독일 마녘에서 지낸다
《나의 외국어, 당신의 모국어》(이보현, 소나무, 2022) 170쪽
지방으로, 시골로 내려오면
→ 작은골로, 시골로 가면
→ 작은터로, 시골로 가면
《우리나라 시골에는 누가 살까》(이꽃맘, 삶창, 2022) 24쪽
그쪽도 지방에서 올라왔군요
→ 그쪽도 시골에서 왔군요
《센티멘털 무반응》(신조 케이고/이은주 옮김, 대원씨아이, 2024) 155쪽
지방 도시의 문화행사에 강연을 하러 갔다
→ 어느 곳 한마당에 이야기를 하러 갔다
→ 어느 고을 한잔치에 말꽃을 펴러 갔다
《어떤 어른》(김소영, 사계절, 2024) 15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