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922 : 태양으로부터 있 액체 상태의 물 존재 적절 환경 갖추 있
태양으로부터 적당히 멀리 떨어져 있어 너무 덥지도 너무 춥지도 않았으며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하기에 아주 적절한 환경을 갖추고 있었다
→ 해한테서 알맞게 멀어서 너무 덥지도 너무 춥지도 않았으며 얼지 않은 물이 있을 만한 터전이었다
→ 해하고 알맞게 떨어져서 너무 덥지도 너무 춥지도 않았으며 물이 얼지 않을 만한 곳이었다
《우주시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켈리 제라디/이지민 옮김, 혜윰터, 2022) 17쪽
우리별은 해를 바라보며 빙그르르 돕니다. 둘은 알맞게 떨어져서 흐릅니다. 이 별에는 물이 넉넉하고 볕이 따뜻해요. 여러모로 어울리고 아늑한 터전입니다. 물이 다 언다면 아무 목숨도 살아가지 못 하지요. 펄펄 끓느라 물이 다 말라도 살아가지 못 합니다. 아침저녁으로 햇볕을 새롭게 누립니다. 밤낮으로 뭇별과 햇빛이 갈마듭니다. 바다가 찰랑이고 냇물이 반짝이고 샘물이 싱그럽습니다. ㅍㄹㄴ
태양(太陽) : 1. 태양계의 중심이 되는 별 2. 매우 소중하거나 희망을 주는 존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적당하다(適當-) : 1. 정도에 알맞다 2. 엇비슷하게 요령이 있다
액체(液體) : [전기·전자] 일정한 부피는 가졌으나 일정한 형태를 가지지 못한 물질. 구성하는 분자나 원자의 간격이 기체의 경우보다 좁고, 고체에 비하여 응집력이 약하다. 상당히 강한 작용을 서로에게 미치고 있으며, 서로 위치가 끊임없이 바뀌고 결정처럼 정하여진 배열을 하고 있지 않
상태(狀態) : 사물·현상이 놓여 있는 모양이나 형편
존재(存在) : 1. 현실에 실제로 있음 2. 다른 사람의 주목을 끌 만한 두드러진 품위나 처지 3. [철학] 의식으로부터 독립하여 외계(外界)에 객관적으로 실재함 ≒ 자인 4. [철학] 형이상학적 의미로, 현상 변화의 기반이 되는 근원적인 실재 5. [철학] 변증법적 유물론에서, 객관적인 물질의 세계. 실재보다 추상적이고 넓은 개념이다
적절하다(適切-) : 꼭 알맞다
환경(環境) : 1. 생물에게 직접·간접으로 영향을 주는 자연적 조건이나 사회적 상황 2. 생활하는 주위의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