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그의


 그의 20대 → 그 사람 20대 / 그이 20대

 그의 어린 시절 → 그 사람 어릴 적 / 그이 어린 날

 그의 이야기 → 그 사람 이야기 / 그이 이야기

 그의 작품 → 그 사람 작품 / 그이 작품

 그의 미래 → 그 사람 앞날 / 그이 앞날

 그의 친구 → 그 사람 친구 / 그이 친구


  한국말에서 ‘그’는 나나 너가 아닌 사람을 가리키는 자리에 써요. 따로 사내나 가시내를 가리지 않습니다. 이 ‘그’에 ‘-의’를 붙이는 말씨가 퍽 쓰이는데, “그 사람”이나 ‘그이’로 손볼 만합니다. 글흐름을 살펴서 이름을 밝힐 수 있고, 아예 ‘그·그의’를 모두 덜어낼 수 있어요. 2017.3.13.달.ㅅㄴㄹ



이 시의 경우 그의 기억 속에 더욱 진하게 남아 있는 것은

→ 이 시에서 글쓴이 마음속에 더욱 짙게 남은 것은

→ 이 시에서 시인 가슴에 더욱 짙게 남은 대목은

→ 이 시에서 시를 쓴 분 마음에 더욱 짙게 남은 느낌은

《이승훈-너의 행복한 얼굴 위에》(청하,1986) 99쪽


불과 9세란 어린 나이 때 그의 집에 불이 나자 우선

→ 고작 아홉 살 어린 나이 때 집에 불이 나자 먼저

→ 겨우 아홉 살 어린 나이 때 이녁 집에 불이 나자 먼저

《편집부-인천충효록》(대한노인회 인천직할시연합회,1986) 131쪽


그의 자연 및 국가법에 관한 저술은

→ 그가 자연과 나라법을 다루며 쓴 책은

→ 자연과 나라법을 다루며 그가 쓴 책은

《존 밀턴/임상원 옮김-아레오파지티카》(나남,1998) 64쪽


이런 그의 글이 있다

→ 이런 글이 있다

→ 그가 쓴 이런 글이 있다

→ 그는 이런 글을 썼다

《마틴 발저/안인길 옮김-어느 책읽는 사람의 이력서》(미래의창,2002) 38쪽


그의 예상대로 아이들의 세상은 참으로 기쁨과 따스함이 가득한 곳이었다

→ 그가 생각한 대로 아이들 세상은 참으로 기쁨과 따스함이 가득한 곳이었다

→ 그가 바라던 대로 아이들 나라는 참으로 기쁨과 따스함이 가득한 곳이었다

→ 그가 꿈꾸던 대로 아이들 나라는 참으로 기쁨과 따스함이 가득한 곳이었다

→ 곽운천이 꿈꾼 대로 아이들 누리는 참으로 기쁨과 따스함이 가득한 곳이었다

《중자오정/김은신 옮김-로빙화》(양철북,2003) 120쪽


그의 사후에 출간된 일기

→ 그가 죽은 뒤 나온 일기

→ 그가 죽은 다음 나온 일기

→ 그가 이승을 떠나고 나서 빛을 본 일기

《이명원-마음이 소금밭인데 오랜만에 도서관에 갔다》(새움,2004) 29쪽


제법 가파른 언덕 아래에 그의 일터가 모습을 드러내는데

→ 제법 가파른 언덕 밑에 그 사람 일터가 모습을 드러내는데

→ 제법 가파른 언덕 밑에 그 사람이 일하는 곳이 모습을 드러내는데

→ 제법 가파른 언덕 밑에 그가 일하는 곳이 모습을 드러내는데

→ 제법 가파른 언덕 밑에 그가 일하는 터전이 모습을 드러내는데

《박영희-사라져 가는 수공업자, 우리 시대의 장인들》(삶이보이는창,2007) 78쪽


그들은 그에게 인사를 하고는 그의 상태가 어떤지 보러 왔노라고 말했다

→ 그들은 그한테 인사를 하고는 그가 좀 어떤지 보러 왔노라고 말했다

→ 그들은 그한테 인사를 하고는 몸이 좀 어떤지 보러 왔노라고 말했다

→ 그들은 그한테 인사를 하고는 다친 데는 어떤지 보러 왔노라고 말했다

→ 둘이는 그한테 인사를 하고는 몸이 좀 어떤지 보러 왔노라고 말했다

→ 두 사람은 인사를 하고는 다친 데는 괜찮은지 보러 왔노라고 말했다

→ 두 사람은 인사를 하고는 몸이 나아졌는지 보러 왔노라고 말했다

《자케스 음다/윤철희 옮김-곡쟁이 톨로키》(검둥소,2008) 191쪽


하지만, 여자라고 생각하는 그의 마음을 배신할 순 없기에

→ 그렇지만 여자라고 생각하는 그 마음을 저버릴 순 없기에

→ 그렇지만 여자라고 생각하는 그 사람 마음을 저버릴 순 없기에

→ 그러나 나를 여자라고 생각하는 마음을 저버릴 순 없기에

→ 그러나 나를 여자라고 생각하는 따뜻한 마음을 저버릴 순 없기에

→ 그러나 나를 여자라고 생각하는 착한 마음을 저버릴 순 없기에

《오자와 마리/서수진 옮김-PONG PONG 3》(대원씨아이,2009) 120쪽


그의 아내는 일곱 자녀를 낳았는데

→ 아내는 일곱 아이를 낳았는데

→ 페르틀은 일곱 아이를 낳았는데

→ 두 사람은 일곱 아이를 낳았는데

《제레미 시프먼/임선근 옮김-모차르트, 그 삶과 음악》(포토넷,2010) 19쪽


그의 사색은 중단되었다

→ 그는 생각을 멈췄다

→ 그는 생각을 그만두었다

→ 그는 더 생각하지 않았다

→ 그는 생각하기를 그쳤다

《제임스 P.호건/이동진 옮김-별의 계승자》(아작,2016) 48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적' 없애야 말 된다

 수동적


 수동적 자세 → 이끌리는 몸짓 / 끄달리는 몸짓

 수동적 입장에 서다 → 끌려다니는 자리에 서다

 남이 이끄는 대로 따라가는 수동적인 인물 → 남이 이끄는 대로 따라가는 사람


  ‘수동적(受動的)’은 “스스로 움직이지 않고 다른 것의 작용을 받아 움직이는”을 가리킨다고 해요. 이는 “시키는 대로만 하는”으로 손본다거나 ‘끄달리는’이나 ‘이끌리는’이나 ‘끌려다니는’으로 손볼 만해요. 어느 자리에서는 ‘억지로’로 손볼 수 있고, ‘조용히’나 ‘가만히’로 손볼 수 있기도 합니다. 2017.3.13.달.ㅅㄴㄹ



지나치게 자상한 보살핌은 학생을 수동적으로 만들어

→ 지나치게 너그러운 보살핌은 학생을 시키는 일만 하도록 길들여

→ 지나치게 너그러운 보살핌은 학생을 줏대가 없게 길들여

→ 지나치게 너그러운 보살핌은 학생을 바보로 길들여

《찌까즈 께이시/김성원 옮김-참 교육의 돛을 달고》(가서원,1990) 80쪽


이때까지 수동적으로 배우던 때에는 전혀 몰랐는데

→ 이때까지 끄달리며 배우던 때에는 하나도 몰랐는데

→ 이때까지 억지로 배우던 때에는 아주 몰랐는데

→ 이때까지 시키는 대로 배우던 때에는 조금도 몰랐는데

→ 이때까지 가르치는 대로만 배우던 때에는 아예 몰랐는데

《다카노 마사오-마음의 조국, 한국》(범우사,2002) 94쪽


사진을 수동적으로 수용해 왔던 독자들은 이제 디카를 가지고 스스로 사진을 찍는다

→ 사진을 그저 받아들이기만 하던 사람들은 이제 디카를 들고 스스로 사진을 찍는다

→ 남이 찍은 사진만 구경하던 사람들은 이제 디카를 들고 스스로 사진을 찍는다

→ 사진을 마냥 구경하던 사람들은 이제 디카를 들고 스스로 사진을 찍는다

《정경열-사진기자 정경열, 사진을 말하다》(조선일보사,2004) 머리말


차에 실려서 수동적으로 움직이는 나의 모습이 아닌

→ 차에 실려서 그저 멍하니 움직이는 내 모습이 아닌

→ 차에 실려서 그냥 이끌리듯 움직이는 내 모습이 아닌

→ 차에 실려서 내 마음과 다르게 움직이는 내 모습이 아닌

→ 차에 실려서 억지로 움직이는 내 모습이 아닌

→ 차에 실려서 움직여야만 하는 내 모습이 아닌

《박세욱-자전거 전국일주》(선미디어,2005) 99쪽


아무 생각 없이 수동적인 자세가 되어 영어로 된 용어를 받아쓰기만 하지 말고

→ 아무 생각 없이 끌려만 다니는 몸짓이 되어 영어로 된 말을 받아쓰기만 하지 말고

→ 아무 생각 없이 끌려다니면서 영어로 된 말을 받아쓰기만 하지 말고

→ 아무 생각 없이 이끌리기만 하면서 영어로 된 말을 받아쓰기만 하지 말고

→ 아무 생각 없이 남을 따라가기만 하면서 영어로 된 말을 받아쓰기만 하지 말고

→ 아무 생각 없이 남 하는 대로 따르기만 하면서 영어로 된 말을 받아쓰기만 하지 말고

→ 아무 생각 없이 영어로 된 말을 받아쓰기만 하지 말고

《정재환-대한민국은 받아쓰기 중》(김영사,2005) 60쪽


부딪힌 문제에 대해 수동적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

→ 부딪힌 문제에 매일 수밖에 없는 흐름이라면

→ 부딪힌 일에 끄달릴 수밖에 없는 흐름이라면

→ 부딪힌 일에 이끌릴 수밖에 없다면

→ 부딪힌 일에 휘둘릴 수밖에 없다면

《구 원/김태성 옮김-반 처세론》(마티,2005) 23쪽


수동적으로 주는 것을 받아먹기만 하다 보니

→ 그저 주는 것을 받아먹기만 하다 보니

→ 마냥 주는 것을 받아먹기만 하다 보니

→ 주는 것을 앉아서 받아먹기만 하다 보니

→ 주는 것을 그냥 받아먹기만 하다 보니

《박노해-아체는 너무 오래 울고 있다》(느린걸음,2005) 68쪽


수동적이 되지 말고 능동적이 되십시오

→ 끌려다니지 말고 앞장서 나가십시오

→ 질질 끌리지 말고 다부지게 앞장서십시오

→ 뒤만 졸졸 따르지 말고 당차게 나가십시오

→ 남을 보지 말고 나를 보십시오

→ 다른 사람 길이 아닌 내 길을 가십시오

《조지 레이코프/유나영 옮김-코끼리는 생각하지 마》(삼인,2006) 78쪽


수동적으로 시대에 끌려갈 따름이었다

→ 덩달아 시대에 끌려갈 따름이었다

→ 억지로 시대에 끌려갈 따름이었다

→ 시대에 끌려갈 따름이었다

《편집부 엮음-미의 여정 샘 내 강 바다》(아모레퍼시픽,2008) 195쪽


시도하지도 않고 그저 멀리서 바라만 보는 수동적인 태도가 마음에 들지 않기 때문입니다

→ 해 보지도 않고 그저 멀리서 바라만 보는 몸짓이 마음에 들지 않기 때문입니다

《김광석-미처 다 하지 못한》(예담,2013) 99쪽


정치를 남의 손에 맡겨도 괜찮다고 여기는 수동적인 사람들도 늘어난다

→ 정치를 남한테 맡겨도 괜찮다고 여기는 구경꾼 같은 사람들도 늘어난다

→ 정치를 남한테 맡겨도 괜찮다고 여기는 사람들도 늘어난다

《나카마사 마사키/김경원 옮김-왜 지금 한나 아렌트를 읽어야 하는가?》(갈라파고스,2015) 60쪽


비공식적인 초청연구원이라는 입장 때문에 회의 중에 발언을 삼가며 수동적으로 방청하기만 했고

→ 비공식 초청연구원이라는 자리 때문에 회의에서 말을 삼가며 얌전히 듣기만 했고

→ 비공식 초청연구원이기 때문에 모임에서 말을 삼가며 가만히 듣기만 했고

→ 비공식 초청연구원이기 때문에 모임에서 말을 삼가며 조용히 듣기만 했고

→ 비공식 초청연구원이기 때문에 모임에서 말을 삼가며 멀거니 듣기만 했고

《제임스 P.호건/이동진 옮김-별의 계승자》(아작,2016) 90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겹말 손질 1132 : 무언가가



무언가가

→ 무언가

→ 무어가

→ 무엇이


무어 : = 무엇

무엇 : 1. 모르는 사실이나 사물을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 2. 정하지 않은 대상이나 이름을 밝힐 필요가 없는 대상을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

-ㄴ가 : 1. 하게할 자리에 쓰여, 현재의 사실에 대한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2. 자기 스스로에게 묻는 물음이나 추측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무어’에 ‘-ㄴ가’라는 씨끝을 붙여서 ‘무언가’ 꼴로 씁니다. 잘 모르는 어떤 것을 가리키려고 ‘무언가’를 쓰는데, 이는 ‘무엇인가(무엇 + 이 + ㄴ가)’를 줄인 말씨입니다. ‘무언가·무엇인가’는 이대로 쓰는 말씨입니다. 이 말씨에 ‘-가’를 덧달지 않아요. 그러나 이를 찬찬히 살피지 않고 ‘무언가가’라는 겹말을 쓰는 분이 제법 많습니다. ‘무엇인가가’처럼 써도 겹말이에요. ‘누군가가’처럼 잘못 쓰는 말씨하고 닮은 꼴인 겹말입니다. 2017.3.13.달.ㅅㄴㄹ



소중한 무언가가 하나씩은 있다

→ 소중한 무언가 하나씩은 있다

→ 소중한 무엇이 하나씩은 있다

《박철-불을 지펴야겠다》(문학동네,2009) 88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겹말 손질 1133 : 회색빛 잿더미



회색빛 잿더미들은

→ 잿빛 더미들은

→ 잿더미들은


회색(灰色) : 재 빛깔과 같이 흰빛을 띤 검정

회색빛(灰色-) : 재의 빛깔과 같이 흰빛을 띤 검은빛

잿빛 : = 회색빛



  한자말 ‘회색’은 “재 빛깔”을 가리켜요. “회색빛 잿더미”라고 하면 얼핏 보기에는 아무렇지 않은 말씨인 듯하지만 ‘회색’은 ‘잿빛’을 뜻하니 “잿빛 잿더미”라고 말한 셈입니다. 겹말이에요. “잿빛 더미”로 손질하든지 ‘잿더미’로 손질해 줍니다. 그런데 한국말사전은 ‘잿빛’을 풀이하지 않고 ‘회색빛’을 보라고 다루어요. ‘회색빛’은 겹말인데 말이지요. 한국말사전은 ‘회색빛’은 털어내야 올바르고 ‘회색 : → 잿빛’으로 다루어야 알맞습니다. 2017.3.13.달.ㅅㄴㄹ



철제 스탠드 재떨이가 아직도 기억 속에 선연하다. 그 안에 수북이 쌓인 회색빛 잿더미들은

→ 쇠붙이 재떨이대가 아직도 머리 속에 또렷하다. 거기에 수북이 쌓인 잿더미들은

→ 쇠붙이 재떨이대가 아직도 생생히 떠오른다. 거기에 수북이 쌓인 잿빛 더미들은

《김영건-당신에게 말을 건다, 속초 동아서점 이야기》(알마,2017) 133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량한 말 바로잡기

 근면 勤勉


 근면과 협동 → 부지런과 돕기 / 바지런과 서로돕기

 근면을 삶의 지표로 삼다 → 부지런을 지표로 삼다 / 바지런히 살고자 하다

 성실하고 근면하게 → 살뜰하고 부지런하게 / 참되고 바지런하게

 근면한 생활을 하다 → 부지런히 살다 / 바지런히 살림을 꾸리다

 근면히 일해서 → 부지런히 일해서 / 힘껏 일해서


  ‘근면(勤勉)’은 “부지런히 일하며 힘씀”을 뜻한다고 해요. 말뜻에서 엿볼 수 있듯이 ‘부지런히’로 손보면 되고, ‘바지런히’나 ‘힘껏’으로 손볼 만합니다. 2017.3.13.달.ㅅㄴㄹ



근면한 학생 코니는 교리문답에 성실하게 대답하듯

→ 부지런한 학생 코니는 교리문답에 참되게 대답하듯

→ 바지런한 학생 코니는 교리문답에 살뜰하게 대답하듯

《케이트 밀레트/정의숙,조정호-성의 정치학, 하》(현대사상사,1976) 458쪽


성실과 근면, 양식 등을 저버리고 일방통행으로 달릴 땐 해결은커녕 오히려 더 풀기 어려운 일이 벌어지는 것을

→ 참됨과 부지런, 올바름 들을 저버리고 외곬로 달릴 땐 풀리기는커녕 오히려 더 풀기 어려운 일이 벌어지는 줄

→ 참됨과 바지런, 올바름 들을 저버리고 외통으로 달릴 땐 풀리기는커녕 오히려 더 풀기 어려운 일이 벌어지는 줄

《박현서-못 다한 그 시간에》(태창문화사,1981) 62쪽


전혀 달라! 근면해. 정말 부지런한 아이야

→ 아주 달라! 부지런해. 참말 부지런한 아이야

→ 아주 달라! 꾸준해. 참으로 부지런한 아이야

《타카하시 루미코/서현아 옮김-경계의 린네 14》(학산문화사,2014) 145쪽


달리 방법이 없었으므로, 나는 근면하게 일했다

→ 달리 수가 없었으므로, 나는 바지런히 일했다

→ 달리 어쩔 수 없었으므로, 나는 힘껏 일했다

《김영건-당신에게 말을 건다, 속초 동아서점 이야기》(알마,2017) 55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