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영어] 제로베이스zero-base



제로베이스 : x

zero-base : <예산 등을> 백지 상태로 되돌려 결정하다, <문제 등을> 출발점으로 되돌아가 결정하다

ゼロ·ベ-ス(zero base) : 1. 제로 베이스 2. 제로[백지 상태]로부터 출발하는 일 3. 각 부처의 예산을 모두 제로로부터 다시 사정하는 일



영어 ‘제로베이스’는 우리 낱말책에 안 실립니다만, ‘제로’하고 매한가지로 고쳐쓸 만합니다. ‘없다’나 ‘비다·빈·빔’으로 고쳐씁니다. ‘텅·민-’이나 ‘고요·수수께끼’로 고쳐써요. ‘까망·까맣다·까막눈’이나 ‘새까맣다·새카맣다·시꺼멓다·시커멓다’로 고쳐쓸 만하고, ‘모르다·몰라보다·못 듣다·안 들리다’로 고쳐쓰면 되어요. ‘하얗다·새하얗다·흰종이’라 할 수 있고, ‘밑·밑바닥·밑자리·밑칸·바닥’이나 ‘아예 없다·아직·안개·안갯속·안 계시다·알 길 없다’로 고쳐써도 어울립니다. ‘알못·앞을 모르다·있지 않다’나 ‘처음·첨·풀지 못하다’로 고쳐쓰고, “처음 겪다·처음 듣다·처음 보다·처음 있다”로 고쳐쓸 만합니다. ㅍㄹㄴ



조경에 관해 제로베이스인 상태니, 일본의 잘 관리된 정원이나 나무를 보고 배우는 것이

→ 나무손질은 밑바닥이니, 일본에서 잘 손질한 뜰이나 나무를 보고 배우면

→ 뜰살림은 모르니, 일본에서 잘 돌본 꽃뜰이나 나무를 보고 배우면

《남자가 많은 곳에서 일합니다》(박진희, 앤의서재, 2024) 1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화재진압



 화재진압을 위해 투입된 인원은 → 불을 끄려고 들인 사람은

 금일 밤에 화재진압에 성공했다 → 오늘 밤에 불을 잡았다

 화재진압을 실시하는 훈련이었다 → 불끄기를 해보았다


화재진압 : x

화재(火災) : 불이 나는 재앙. 또는 불로 인한 재난 ≒ 화난(火難)·화변(火變)·화사(火事)·회록(回祿)·회록지재

진압(鎭壓) : 강압적인 힘으로 억눌러 진정시킴



  불을 끌 적에는 ‘끄다·끄기·끔’이나 ‘잡다·잡히다’라 하면 됩니다. 따로 ‘불끄기·불끄다·불을 끄다’나 ‘불끔이·불잡다·불잡기’라 할 수 있습니다. ㅍㄹㄴ



수민 씨의 임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당연히 화재진압이다

→ 수민 씨 일 가운데 불끄기가 마땅히 가장 크다

→ 수민 씨는 불잡는 일이 마땅히 가장 크다

《남자가 많은 곳에서 일합니다》(박진희, 앤의서재, 2024) 8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조경 造景


 조경 사업 → 나무일 / 뜰살림 / 멋내기

 조경 공사 → 뜰짓기 / 꾸밈길 / 멋짓기

 조경에 유달리 신경을 썼다 → 꽃살림에 남달리 마음을 썼다


  ‘조경(造景)’은 “경치를 아름답게 꾸밈”을 가리킨다지요. ‘꽃살림·꽃살이·꽃삶·꽃일’이나 ‘나무손질·멋·멋길·멋꽃·멋내다·멋살림’으로 풀어낼 만합니다. ‘뜰일·뜰살림·뜰짓기’나 ‘밭일·밭살림·밭짓기·밭지음’으로 풀어내고, ‘손보다·손대다·손질·꾸미다’로 풀어낼 만하지요.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조경’을 아홉 가지 더 싣는데 모두 털어냅니다. ㅍㄹㄴ



조경(兆京) : 조(兆)와 경(京)이라는 뜻으로, 아주 많은 수를 이르는 말

조경(鳥逕) : 새나 겨우 통할 정도로 좁은 산속 길

조경(照鏡) : 1. 물건을 비추어 보는 거울 2. 거울에 물건을 비추어 봄

조경(趙絅) : [인명] 조선 인조·효종 때의 문신(1586∼1669)

조경(趙儆) : [인명] 조선 시대의 무신(1541∼1609)

조경(潮境) : [해양] 성질이 다른 해류가 만나서 불연속선을 이루는 수렴선. 그 경계에는 소용돌이가 생겨 해류의 교환과 혼합이 심해서 영양 염류가 풍부하고, 부유 생물이 모임에 따라 고기 떼가 몰려 큰 어장이 된다

조경(調經) : 월경(月經)을 고르게 함

조경(藻鏡) : 사람을 겉만 보고도 그 인격을 알아보는 식견 = 조감

조경(躁競) : 마음을 조급히 굴면서 권세를 다툼



조경에 관해 제로베이스인 상태니, 일본의 잘 관리된 정원이나 나무를 보고 배우는 것이

→ 나무손질은 밑바닥이니, 일본에서 잘 손질한 뜰이나 나무를 보고 배우면

→ 뜰살림은 모르니, 일본에서 잘 돌본 꽃뜰이나 나무를 보고 배우면

《남자가 많은 곳에서 일합니다》(박진희, 앤의서재, 2024) 1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발주 發注


 당분간 발주를 늦춰 → 한동안 일을 늦춰

 발주만 해 놓고 → 일만 맡겨 놓고

 발주한 돈을 돌라대어 → 시킨 돈을 돌라대어


‘발주(發注)’는 “물건을 보내 달라고 주문함. 주로 공사나 용역 따위의 큰 규모의 거래에서 이루어진다”를 뜻한다고 하는군요. ‘맡다·맡기다·내맡기다’나 ‘심부름·시키다’로 다듬습니다. ‘주다·넣다·놓다·걸다’나 ‘일·일감·일거리·일살림·일줄’로 다듬어도 되어요.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발주(發走)’를 “1. 달리기 시작함 2. [체육] 경마에서, 그 회의 경기가 시작됨 3. [체육] 경륜에서, 그날의 첫 경기가 시작됨”으로 풀이하면서 싣지만 털어냅니다. ㅍㄹㄴ



네가 발주해 주면 몇 개든 만들지

→ 네가 시켜 주면 몇이든 하지

→ 네 일감이면 몇이든 해보지 

《하루카의 도자기 2》(플라이 디스크 글·니시자키 타이세이 그림/윤지은 옮김, 대원씨아이, 2012) 17쪽


공사를 발주하고 공사비를 지급하지 못한 당사자로서

→ 일을 맡기고 일삯을 치르지 못한 쪽으로서

《검찰개혁과 촛불시민》(조국백서추진위원회, 오마이북, 2020) 308쪽


종종 현장에서 제가 발주한 나무가 들어오는 걸 확인할 때가 있어요

→ 가끔 일터에서 제가 맡긴 나무가 들어올 적에 살펴봐요

→ 이따금 일터에서 제가 넣은 나무가 들어와서 들여다봐요

《남자가 많은 곳에서 일합니다》(박진희, 앤의서재, 2024) 2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신조 信條


 검약과 근면을 신조로 삼다 → 아낌과 땀을 다짐으로 삼다


  ‘신조(信條)’는 “1. 굳게 믿어 지키고 있는 생각 2. [종교 일반] 신앙의 조목 또는 교의(敎義)”를 가리킨다지요. ‘가르침’이나 ‘곁다짐·곁말’이나 ‘길·목소리·뜻’으로 손질합니다. ‘삶길·살림길’이나 ‘배움말·배움글·배움하루’나 ‘익힘말·익힘글·익힘하루’로 손질할 만합니다. ‘다짐·믿음·그릇’이나 ‘불빛·빛·빛줄기·횃불’이나 ‘넋·얼·키·키잡이’로 손질해도 어울립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신조’를 일곱 가지 더 싣는데 몽땅 털어냅니다. ㅍㄹㄴ



신조(宸藻) : 임금이 손수 글씨를 씀. 또는 그 글씨 = 어필

신조(神助) : 신의 도움 ≒ 신우

신조(神造) : 신이 만든 것

신조(神鳥) : 신령한 새

신조(晨朝) : 1. 오전을 셋으로 나눌 때에, 묘시(卯時)와 사시(巳時) 사이 2. [불교] 아침에 행하는 근행(勤行)

신조(新造) : 새로 만듦

신조(新調) : 1. 새로 어울리게 만듦 2. 새로운 곡조



바꾸어 말하면 민족의 테두리를 넘어선 모든 철학적 신조나 종교적 신앙을 존중하고

→ 바꾸어 말하면 겨레 테두리를 넘어선 모든 눈빛이나 믿음빛을 따르고

→ 바꾸어 말하면 겨레 테두리를 넘어선 모든 목소리나 믿음길을 우러르고

《현대 지성과의 대화 1》(렉스프레스지 엮음/홍순호 옮김, 중앙일보사, 1979) 32쪽


하나의 신조를 가지고 있다

→ 하나를 다짐하였다

→ 한뜻을 세웠다

→ 곁말 하나가 있다

《행동하는 양심으로》(김대중, 금문당, 1985) 31쪽


카리스마적인 지도자들이 등장, 고대 교단 종교의 신조와 관행들에 도전하면서 새로운 종교와 철학을 창시했다

→ 기운차게 이끄는 이가 나오고, 옛 믿음길과 실림길에 맞서면서 새 믿음길과 삶넋을 세웠다

→ 훌륭히 앞장서는 이가 나오고, 옛 믿음길과 삶길에 맞서면서 새 믿음길과 살림빛을 일으켰다

《작은 인간》(마빈 해리스/김찬호 옮김, 민음사, 1995) 405쪽


나에게는 신조가 있다

→ 나한테는 믿음이 있다

→ 나한테는 뜻이 있다

→ 나는 다짐한다

《오늘은 운동하러 가야 하는데》(이진송, 다산책방, 2019) 15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