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역사의
역사의 이해가 부족하다 → 지난날을 잘 모르다
역사의 인식에 문제가 있다 → 옛일을 잘못 바라본다
역사의 쓸모가 있는지 → 발걸음이 쓸모있는지
‘역사(歷史)’는 “1. 인류 사회의 변천과 흥망의 과정. 또는 그 기록 ≒ 사·춘추 2. 어떠한 사물이나 사실이 존재해 온 연혁 3. 자연 현상이 변하여 온 자취 4. 역사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학문 = 역사학 5. [책명] 기원전 425년 무렵에 그리스의 헤로도토스가 쓴 역사책 6. [책명] 기원전 400년 무렵에 그리스의 투키디데스가 쓴 역사책”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역사 + -의’ 얼거리라면 ‘-의’부터 털고서, ‘발걸음·발길’이나 ‘발바닥·발자국·발자취·발짝’이나 ‘길·걸어온길·걸음’이나 ‘뿌리·돌·돐’로 고쳐씁니다. ‘그동안·여태·오늘까지·이때껏·이제껏’이나 ‘예·예전·옛날·옛길·옛빛·옛자취’나 ‘오래되다·오래빛·오랜빛·지난날·지나간 날’로 고쳐쓸 만합니다. ‘밑·밑동·밑바탕·밑절미·밑틀·밑판·밑뿌리·밑싹·밑자락’이나 ‘바탕·바탕길’로 고쳐쓸 자리가 있고, ‘자국·자취·자취글·해적이·나날·날·삶’로 고쳐써도 어울려요. ‘살림글·살림자국·살림자취·살림얘기’나 ‘삶글·삶자국·삶자취·삶얘기’나 ‘삶길·사는길·살아온 길’로 고쳐써도 되고요. ㅍㄹㄴ
풀이 사관이다 사초(史草)이니까 역사의 주인은 풀이라는 뜻이다
→ 풀이 붓님이다 해적이는 우리가 쓰니 임자는 풀이라는 뜻이다
→ 풀이 글님이다 발자국은 우리가 적으니 지기는 풀이라는 뜻이다
《붉은빛이 여전합니까》(손택수, 창비, 2020) 104쪽
그것이 곧 역사의 심판이지요
→ 이는 발자취가 다스리지요
→ 곧 발걸음이 나무라지요
→ 곧 길자취가 꾸중하지요
《정의의 길, 역사의 길》(김삼웅, 철수와영희, 2021) 21쪽
역사의 피눈물과 인간의 위대함도 다 제각각 다른 혈관을 만나
→ 피눈물 자국과 뛰어난 사람도 다 다른 핏줄을 만나
《이파리 같은 새말 하나》(변홍철, 삶창, 2022) 3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