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아침글을 저녁길로 (2022.6.21.)

― 인천 〈집현전〉



  어제는 부천역 언저리 길손집에서 묵었습니다. 제법 조용하다고 느꼈는데, 막상 아침을 맞이해 부천역으로 걸어가자니, 이곳은 허벌나게 지저분하고 시끄러운 먹자골목이더군요. 잠만 자러 깃들 적에는 몰랐습니다. 시골사람으로서 큰고장(도시)을 찾아올 적에 보면, 우리 시골집에서는 마당에만 서도 날마다 별밤을 누리지만, 시골 읍내조차 별밤이 없고 서울이며 숱한 큰고장에서는 별은커녕 달마저 보기 어렵습니다. 별을 잊는 마음에 어떤 사랑이 싹틀 수 있을까요.


  전철을 타고 인천역(하인천)에 내립니다. 오래된 인천골목을 조금 걷다가 〈관동부티크〉 이웃님을 만납니다. 이 골목에서 한옷(한복)을 빌려주거나 팔면서 꽃마실을 누리도록 이바지하는 일을 하십니다. 한옷집 이웃님하고 이야기꽃을 피우고서 마을책집 〈문학소매점〉을 찾아갔고, 책 석 자락을 장만하고는 신포시장 이웃 어르신 두 분을 뵙습니다. 까만머리 아저씨일 적에 알던 이웃 어르신은 어느덧 흰머리 할배가 되었습니다.


  답동성당 둘레로 무시무시하게 삽질을 해대는 슬픈 모습을 보며 싸리재를 넘습니다. 배다리에 닿아서도 곳곳에 스미는 날카로운 삽질을 느낍니다. 배다리에서 가까운 도원역 곁 숭의3동은 ‘숭의3구역 재개발’이란 이름으로 커다란 골목마을이 통째로 사라졌어요. 마지막 모습을 찰칵 담고 싶기는 하지만, 쇠삽날이 할퀸 생채기를 보자면 눈물이 왈칵 쏟아질 듯해서 그쪽은 아예 안 쳐다봅니다.


  해가 질 무렵 배다리 〈집현전〉에 깃들어 이야기밭을 일굽니다. 2022년 5월∼9월 사이에, 배다리 마을책집을 한 곳씩 돌면서 “우리말 참뜻찾기 이야기밭―우리말꽃 수다마당(우리말 어원풀이 이야기)”을 꾸립니다. 저는 2007∼2010년에 이곳 배다리에서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를 꾸리다가 2011년부터 전남 고흥으로 옮겨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로 이름을 고쳐서 잇습니다. 책마루숲(서재도서관)입니다. 예전에도 느꼈는데, 막상 책집지기로 일하는 분이 ‘이야기밭(강의)’을 누릴 틈이 없어요. 장사와 살림에 바쁘시거든요.


  이달 6월에는 ‘글·그림·길·가다(문학 이야기)’를 놓고서, 이 쉬운 우리말이 어떤 뿌리이면서 서로 읽히는가를 풀면서 들려줍니다. 아주 흔하게 쓰는 쉬운 우리말부터 말밑을 찬찬히 짚을 적에, 우리는 누구나 스스로 말빛을 가꾸어 말넋을 일으키니, 스스로 짓는 즐겁고 사랑스러운 오늘살림을 이뤄요.


  딱딱하거나 어려운 일본 한자말·중국 한자말·영어로는 ‘이론·지식’에 갇힙니다. 쉬운 우리말은 삶을 가꾸고 살림을 노래하는 어깨동무 이웃말로 날개를 펴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예스24블로그는 "글쓰기 장애"를 얼추

일고여덟 해째 안 고친다.

지난 2022년 6월 20일 저녁부터 글쓰기가 안 되다가

6월 23일 새벽에 비로소 글쓰기가 된다.


붙임사진 같은 일을 하루에 100번 즈음 본다.

예스24에 이 말썽을 풀어야 하지 않느냐고

여러 판 물어보았으나

여태 아무 대꾸조차 없다.


일부러 그러더라도

하루이틀이나

한두 달이나

한두 해도 아닌

일고여덟 해를 이처럼 한다면


참 재미나다.

익살짓은 그만 해도 되지 않겠는가?

예스24여?

이런 익살짓을 하는 예스24에서

굳이 책을 사고 싶겠는가?


마땅한 얘기인데

예스24 블로그에서

날마다 '글쓰기 말썽'에 부딪혀

헛짓을 하기를 100번 즈음 다시 해야 하는 나날을

일고여덟 해를 보내면서

어느덧 예스24에서는 아무 책도 안 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마실


우리는 수다꽃 (2022.6.20.)

― 부천 〈용서점〉



  우리말 ‘수다’는 바탕뜻이 “많이 오가거나 흐르는 말”입니다. “오가거나 흐르는 말”일 적에는 ‘이야기’예요. 이야기는 많이 오가거나 흐를 수 있되, ‘잇는 말’이 바탕뜻입니다. 그러면 ‘수다’는 왜 ‘많음’이 바탕뜻일까요?


  이러한 얼거리를 알자면, 비슷하면서 다른 우리말을 헤아리면 됩니다.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같은 책을 읽으며 가만히 생각을 기울여 볼 노릇이에요. ‘비슷한말’이란 “비슷하지만, 알고 보면 다른 낱말”이란 뜻입니다. ‘같은말’이면 그저 같다고 할 뿐, 비슷하다고 하지 않아요. ‘다른말’은 그야말로 다르구나 싶은 낱말이에요. 그런데 ‘닮다’는 “같지는 않으나 같구나 싶은 대목이 있는, 그러니까 담아낸 듯한 모습이 있되 다른” 결을 나타내요.


  우리말 ‘수다’ 곁에는 ‘숱하다·수수하다·수더분하다·숲·수월하다’가 있습니다. 다른 다섯 낱말도 ‘많음’이 바탕뜻입니다. 셀 길이 없도록 많은 ‘숱하다’요, 어디에서나 볼 만큼 많은 ‘수수하다’요, 까다로운 빛이 없이 넉넉히(많이) 받아들이는 마음인 ‘수더분하다’요, 풀꽃나무가 잔뜩 있는 ‘숲’이요, 힘을 들이지 않고 가볍게 할 수 있는, 그래도 넉넉히(많이) 할 수 있는 ‘수월하다’입니다. 이렇게 하나씩 짚고 보면 ‘수북하다’도 얽히는 줄 엿보고 ‘쉽다’도 나란한 줄 엿볼 만합니다.


  부천 마을책집 〈용서점〉에서 다달이 수다꽃을 펴기로 합니다. 고흥서 부천 사이를 다달이 오가는 길은 멀는지 모르나, 부천 원미동 마을꽃(지역문화)을 어깨동무하는 마음이라면 그리 안 멀어요. 부천마실을 하는 길에 서울·인천·수원처럼 곁마을에서 여러 일거리를 꾸려서 함께 움직이면 홀가분하지요. 더구나 부천을 둘러싼 이웃님을 나란히 만나면서 수다꽃을 펼 적에는 서로 생각을 북돋우면서 오늘 이곳에서 짓는 하루를 즐거이 바라보는 눈길을 여밀 만합니다.


  우리는 늘 눈을 감고서 서로 바라보면 오직 마음만 느끼고 봅니다. 속눈을 뜰 적에는 겉모습 아닌 속마음을 헤아려요. 아이어른 모두, 사랑으로 아이를 낳아 수수하지만 늘 빛나는 살림을 모두 손수 지은, 밥옷집을 숲에서 얻은 풀꽃나무로 여미고 가꾼 오랜 삶길을 듣고 배우는 ‘새로운 이야기’를 받아들일 수 있으면, 활짝 웃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책에 이름이 안 나온 수수한 엄마아빠가 일군 우리말’이라는 대목을 배울 수 있어도 아름다울 테고요.


  마음읽기를 함께하는 수다꽃을 꾸립니다. 2022년 6월 20일은 첫발입니다. 이 첫발을 내딛으면서 마음살림·책살림·마을살림·숲살림을 하나하나 그립니다.


2022년 7월 18일 19시에 “용서점 수다꽃” 두걸음을 딛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마실


함께 숨쉬던 (2022.2.26.)

― 서울 〈서울책보고〉



  서울마실이 싫은 큰아이를 졸라서 길을 나섭니다. 2월이 저물면 〈서울책보고〉에 편 빛꽃잔치(사진전시)를 닫습니다. 이 빛꽃잔치에는 그동안 큰아이랑 함께 다니면서 누린 책빛이 꽤 있어요. 큰아이가 푸름이 아닌 아기이던 무렵 엄마아빠랑 얼마나 이곳저곳 누비고 살았는가를 문득 돌아볼 만하리라 여기면서 먼길을 시외버스로 달립니다.


  큰아이는 “다 예전에 본 사진들 아니에요?” 합니다. “그러게. 잘 아는구나. 그래도 이렇게 그러모아서 펼쳤어요. 너그러이 살펴 주셔요.” 서울은 시골과 달리 꽤 춥다가도 덥습니다. 서울은 시골처럼 나무로 두른 삶터가 아니라 춥고, 전철을 타거나 어디 들어가기만 해도 한겨울이라지만 더워요. 서울이 나쁜 고장은 아니지만, 서울살이가 길면 서울사람은 죄다 철을 잊고 잃겠구나 싶습니다.


  앞을 내다보지 않는 사람은 오늘을 읽지 못합니다. 오늘을 헤아리지 않는 사람은 어제를 읽지 못합니다. 어제를 돌아보지 않는 사람은 오늘을 알지 못할 뿐더러 꿈이 없다고 느낍니다. ‘비평·평론’이나 ‘사업·운동’을 하는 사람은 많습니다만, ‘삶·살림·사랑’을 ‘숲·아이’하고 지으려고 하는 사람은 잘 안 보입니다. 내로라하거나 내세우는 이는 ‘겉·옷’을 붙잡는다면, 조용히 아이를 품으면서 들꽃을 바라보는 이는 ‘노래·춤’을 나눌 길을 오늘 이곳에서 새롭게 지어요.


  돌림앓이가 퍼진 뒤로 〈서울책보고〉를 찾아오는 발걸음이 크게 줄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돌림앓이가 아무리 퍼져도 전철·버스는 어마어마하게 붐비고, 지하상가·백화점·큰가게에는 사람물결이 고스란해요. 고흥에서 서울로 시외버스를 달리면 백화점을 낀 버스나루에서 내리는데, 어마어마한 사람바다입니다.


  돌림앓이가 퍼지며 누리책집이 떼돈을 벌었다고 들었습니다. 나라(정부)에서는 알라딘·예스24 같은 누리책집이 떼돈을 벌었기에 ‘갚음삯(손실보상금)’을 ‘책집에는 안 주기’로 했다지요. 웃기는 나라입니다. 벼슬꾼(공무원)이 참으로 책집마실을 안 하고 책을 안 사읽는다는 티를 팍팍 내는 멍청한 나라꼴입니다.


  그래요, 우두머리이고 고을지기(지자체장)이고 배움지기(교육감)이고, 이분들이 ‘책읽는 모습’을 못 봅니다. 마을빛을 가꾸는 책이며, 숲빛을 들려주는 책이며, 손수짓기를 노래하는 책이며, 아이를 돌보며 즐거운 하루를 담는 책을 곁에 안 두는 벼슬꾼(정치꾼)이 늘수록 나라꼴은 뒷걸음입니다. 그러나 벼슬꾼에 앞서 우리부터 삶책을 등진 오늘이지 않나요? 바쁘고 힘들다는 핑계가 너무 많아, 우리 손에서 삶책·살림책·사랑책이 떠나고, 잘난책(베스트셀러)만 덩그러니 있지 않나요?


《Intelligence in Animals》(Michael Bright 엮음, Toucan Books, 1984)

《Pig Surprise》(Ute Krause, Dial Books for Young Reader, 1989)

《Snuffles and Snouts》(Laura Robb 글·Steven Kellogg 그림, Dial Books for Young Reader, 1995)

《漁夫 김판수》(박기동 글, 민족문화사, 1985.7.20.)

《끼끼》(A.마오리 끼끼 글/권근술 옮김, 청람, 1979.5.10.)

《삼청교육 5호 작전》(이강춘, 두풍, 1988.5.1.첫/1988.11.15.2벌)

《유리창에 이마를 대고》(이가림 글, 창작과비평사, 1981.5.30.)

《Animal life in the British Isles》(F.M.Duncan·L.T.Duncan, Oxford univ, 1920.첫/1936.6벌)

《the National History of Selborne》(Gilbert White, George Routledge & sons, ?)

《키키 키린》(키키 키린/현선 옮김, 항해, 2019.6.24.)

《大望 經世語錄》(석인해 엮음, 삼한문화사, 1979.12.31.)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마실


기운과 힘 (2022.4.18.)

― 서울 〈새고서림〉



  새벽에 배웅을 받으며 서울길에 나섭니다. 이제 4월이라고들 하지만, 날씨는 달종이로 헤아릴 수 없습니다. 날씨는 하늘·풀꽃나무·흙·해바람비를 헤아리면서 읽습니다. 진작부터 민소매에 깡동바지(또는 깡동치마)를 입습니다. “춥지도 않나 봐.” 하고 옆에서 내뱉는 분들이 있어 “덥지도 않나 봐.” 하고 맞받이를 할까 하다가 안 쳐다보고 지나갑니다. 둘레에서 읊는 말은 옆사람을 헤아리는 마음이 아닌, 그분 스스로 근심걱정에 쌓인 삶을 고스란히 퍼뜨리려는 씨앗입니다.


  시골에서 살며 하늘읽기를 하노라면, 전남 고흥은 3월 한복판부터 낮이 살짝 덥고 4월이면 이미 후끈합니다. 새벽하고 밤은 서늘하지요. 밤낮이 확 벌어집니다. 봄맞이꽃은 서늘한 밤하고 뜨거운 낮을 씩씩하게 살아내는 숨결이에요.


  시외버스에서 내려 전철을 갈아탑니다. 마을길을 걸어 〈새고서림〉 앞에 닿습니다. 생각보다 일찍 왔기에, 삼십 분 남짓 해바라기를 하며 하루쓰기를 합니다. 겨울에도 여름에도 봄가을에도 늘 해받이에 섭니다. “왜 그늘받이에 안 서시우?” 하고 묻는 분한테 “왜 해를 안 먹나요?” 하고 되묻습니다. 풀꽃나무는 해바람비를 머금기에 푸르고 싱그러워요. 사람도 해바람비를 듬뿍 머금을 적에 싱그러이 사랑을 그리고 해맑게 꿈을 품으며 즐겁게 살림을 짓는다고 느낍니다.


  누가 심어야 자라는 들꽃이 아닙니다. 누가 심지 않아도 크는 나무입니다. 들꽃하고 나무는 새를 벗삼고 벌레를 동무삼고 바람을 이웃삼아 이 땅에 드리워요. 책읽기도 매한가지입니다. 곁에서 누가 소리를 내어 읽어 주더라도, 우리 스스로 마음을 기울여 생각을 지을 적에 비로소 책빛을 받아들인다고 느낍니다.


  마음을 기울여서 생각을 길어올리기에 찬찬히 끌어올리면서 기르는 빛살이 ‘기운’이라고 느껴요. 몸으로 움직여서 삶을 누리고 싶어서 확 일으키는 빛살이라면 ‘힘’이고요. 우리말 ‘기운·힘’은 ‘마음·몸’을 다루는 빛이라는 대목에서 다르게 읽을 만합니다.


  책은 힘이 아닌 기운으로 읽습니다. 글은 힘이 아닌 기운으로 씁니다. 책은 힘이 아닌 기운으로 나누고, 글은 힘이 아닌 기운으로 도란도란 이야기로 자랍니다.


  마을책집 〈새고서림〉은 올해에 새터를 찾아야 할는지 모른다고 합니다. 처음 깃든 터에서 오래오래 책빛을 밝히는 길도 있고, 때로는 자리를 옮기면서 햇살 담은 책 한 자락을 나누는 길도 있습니다. 어디에 있든 우리 마음이 흐르는 눈빛에 따라서 책길을 열어요. 고요하면서 기쁜 눈빛으로 새벽고양이 책살림이 나아갈 수 있기를 바라요. 봄볕을 듬뿍 누리며 기운을 담았습니다. 이제 새길을 나섭니다.


《마스크》(키쿠치 칸 글/최수민 옮김, 새벽고양이, 2022.3.9.)

《유서의 일부로부터》(이토 노에 글/최수민 옮김, 새벽고양이, 2020.11.2.)

《나는 나를 여행한다》(나카노 시호코·이소나카 아키코·오치 코우키 글/나카노 시호코 옮김, 새벽고양이, 2021.10.20.)

《어른의 혼잣말》(최수민 글, 새벽고양이, 2017.11.17.)

《양천구와 성북구의 평행이론》(양천구 x·성북구 y 글, 희라 그림, 2021.9.15.)

《관악톡방 vol.1》(최수민 엮음, 새벽고양이, 2021.12.22.)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