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모든 새날 (2022.5.24.)

― 인천 〈나비날다〉



  우리가 쓰는 말은 모두 누가 지었습니다. “누가 지었다”처럼 말할 수는 있되, 이 ‘누’가 누구인지는 뚜렷하게 알기 어렵습니다. 우리나라도 이웃나라도 매한가지입니다. 사람들이 쓰는 말은 그저 “사람들이 지었”어요. “말을 지은 사람들”은 스스로 이름을 드러내거나 남기지 않았어요. “말을 지은 사람들”은 “모든 말에 서로 사랑하고 아이들한테 사랑씨앗을 물려준다는 마음”만 남겼습니다.


  오늘날은 영어로 “브랜드 네이밍”이라 하면서 ‘이름짓기’를 꽤나 쏠쏠히 장사로 벌입니다. 잘 지은 이름 하나가 돈을 어마어마하게 끌어모은다고 합니다. 곰곰이 보면 사람한테 붙이는 이름뿐 아니라, 모임이며 나라이며 일터이며 살림에 붙이는 이름이 수두룩해요.


  지난날에는 “말(이름)을 지은 사람이 누구인가 굳이 안 남겼다”면, 오늘날에는 말(이름)을 지은 사람이 누구인가 따로 밝히고 틀(상표·저작권법)에 집어넣”어요. 돈 때문에 벌어지는 일일 텐데, 옛날이 좋고 오늘날이 나쁘지는 않습니다. 그저 오늘날에는 말을 다루고 이름을 붙이는 즐거운 마음이 확 사라졌을 뿐입니다.


  인천 배다리 여러 마을책집을 돌면서 ‘우리말 참뜻찾기 이야기밭, 우리말꽃 수다마당 : 우리말 어원풀이 이야기’를 펴기로 합니다. 5월 24일 불날 19시에 인천 배다리 〈나비날다〉에서 첫수다를 열고, 9월까지 다달이 다섯걸음을 내딛습니다.


  가벼이 여는 우리말 참뜻찾기 첫자리에서는 ‘구두’라는 낱말을 살그머니 얹었습니다. 일본에서는 우리말에서 비롯했다고 여기고, 우리나라에서는 일본말에서 비롯했다고 여기는 ‘구두’인데, 우리는 우리 삶자취를 돌아보면서 말밑을 살피면 됩니다. ‘굳다·굽’을 보면 알 만하지요. ‘꿋꿋·꼿꼿·꾸준히·꼰대’로 잇는 낱말을 살필 만하고, ‘꼭·꽂다·꼬마·꼴찌·꼭두·꼬리·꽃’으로 흐르는 말결을 짚을 만하고, ‘꼭두머리·꼭두각시’를 생각할 만합니다.


  좋은말이나 나쁜말은 없습니다. 모든 말은 삶을 드러내는 ‘삶말’입니다. 이리하여 ‘모시’라는 풀에서 실을 얻어 짓는 ‘모시옷’을 헤아리면서 ‘못·모내기·목·몸’에 ‘모으다·길목·몰다’가 얽힌 수수께끼를 즐거이 풀 만해요.


  수수한 우리말 ‘가시내·머스마’에는 어떤 깊이하고 너비가 깃들까요? 쉬운 우리말부터 말뜻하고 말밑하고 말결을 제대로 바라보아야 말하기뿐 아니라 글쓰기 실마리를 열지 않을까요? 모든 하루는 새날입니다. 한 해에 하루만 새날(생일)일 수 없어요. 한 해가 언제나 새롭게 빛나는 나날이에요. 다 다른 자리에서 다 다르게 지은 살림으로 다 다르게 빛나는 말이 태어났어요. 오늘을 보면 모레가 환합니다.


ㅅㄴㄹ


《위대한 일들이 지나가고 있습니다》(김해자, 한티재, 2022.3.21.)

《내 얼굴이 도착하지 않았다》(이설야, 창비, 2022.5.27.)

《보통의 우리》(박서련·조우리·한정현·황모과, 인타임, 2022.5.4.)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숲노래·최종규·사름벼리, 스토리닷, 2017.12.7.)

《쉬운 말이 평화》(숲노래·최종규, 철수와영희, 2021.4.23.)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강연 (2022.7.26.)

― 인천 〈그림책방 마쉬〉



시골집에서 길을 나서는 새벽녘에 마을 할매를 만나면 “어이, 어디 가나?” 하고 물으십니다. 부산이나 인천이나 대전에 가더라도 “네, 서울에 갑니다.” 하고 말합니다. “좋은 일 많은갑네?” 하고 물으시면 “네, 여기저기 강의를 하러 다닙니다.” 하고 말합니다. “그렇게 일 다니면 좋제. 잘 댕겨 오쇼.”


제가 하는 일을 잘 모르는 사람한테는 그냥 ‘강의·강연’이라 말하고, 이야기를 펴는 자리에서는 ‘이야기꽃·이야기밭’이라 말합니다. 제가 하는 일인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일을 헤아리는 이웃님을 만날 적에는 ‘책수다·글수다·살림수다·숲수다’를 함께한다고 말합니다.


어른 사이에서는 아무렇지 않게 ‘강의·강연’ 같은 한자말이 떠돌지만, 어린이한테는 도무지 안 어울립니다. ‘북토크’도 어린이 앞에서 못 쓸 말입니다. ‘도서전’이나 ‘책축제’도 어린이 곁에서 섣불리 못 쓸 말이에요. 일본스런 한자말이나 영어가 나쁘기에 어린이한테 안 써야 하지 않습니다. 우리말이 아닌 말은 어른으로서도 어린이한테도 생각을 북돋우는 길을 밝히지 못 할 뿐입니다.


어른들은 ‘대화·상담·토론·토의’ 같은 일본스런 한자말을 자꾸 쓰는데, 어린이가 이런 말을 알아듣거나 하나하나 가릴 수 있을까요? 우리는 이런 한자말 밑뜻을 찬찬히 못 짚을 뿐 아니라, 우리말 ‘말’이 어떤 뜻이요 말밑(어원)인지 하나도 못 읽는데다가 ‘이야기’가 어떤 뜻이고 말결이며 말씨인지 도무지 생각조차 안 하고 살아간다고 느낍니다. ‘수다’란 우리말이 왜 ‘수다’인지 모르고요.


생각을 마음에 담는 소리이기에 ‘말’입니다. 서로 이으면서 주고받는 길에 흐르는 말이기에 ‘이야기’입니다. 서로 생각을 실컷 나누려고 너나없이 말을 잔뜩 하기에 ‘수다’입니다.


우리말 ‘말·마음·마을’은 말밑이 같습니다. 우리말 ‘이야기·잇다·일다·일’은 말밑이 같아요. 우리말 ‘수다·숲·수수하다·숱하다·수북하다’도 말밑이 같지요. 얽고 맺는 우리말을 하나씩 짚으면서 어린이 눈빛으로 생각을 나눈다면, 우리는 앞으로 ‘강의·강연’이 아닌 ‘말빛잔치’를 펴고 ‘이야기바다’를 누리는 즐겁고 상냥한 어른으로 새롭게 설 만하다고 봅니다.


요새 “매미소리가 너무 시끄러워!” 하고 말하는 어른들을 자주 보았습니다. 모르는 남이라면 지나치고, 알 만한 이웃이라면 “부릉부릉 시끄럽고 매캐한 서울(도시)에 숲빛을 밝히려고 우렁차게 노래합니다.” 하고 여쭈어요. 인천 배다리에서 저녁에 이야기꽃을 펴려고 온 길에 〈그림책방 마쉬〉에 들르려고 한참 기웃기웃 서성였으나 세 시간 넘게 “강연 中”이라고 붙어서 하늘바라기를 했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마실


한 줄을 (2022.5.2.)

― 대구 〈bookseller 호재〉



풀밭 한복판에 선 우람한 나무는 누구나 기운을 푸르게 받는 쉼터라고 느낍니다. 마을 한켠에 선 책집은 누구나 생각을 맑게 짓는 이음터라고 느껴요. 책숲(도서관)은 책 하나를 여러 사람이 돌려읽거나 빌려읽으면서 빛나는 자리입니다. 헌책집은 책 하나를 오직 한 사람이 물려받듯 만나서 장만하기에 빛나는 터예요. 책숲은 마을이나 나라에서 한뜻이 되어 ‘손길책’을 이루는 곳이라면, 헌책집은 책집지기하고 책손 두 사람이 한사랑이 되어 ‘손빛책’을 나누는 데라고 느낍니다.


새책집은 어떤 숨결일까요? 큰 새책집은 온갖 책을 고루 갖추어 책바다를 베푸는 품입니다. 작은 새책집은 살림자리에 살뜰히 추려서 두고두고 곁에 둘 책 하나를 조촐히 갖추어 책밭을 짓는 품입니다.


책집마다 뜻이 다르고, 마을마다 자취가 다르고, 사람마다 마음이 다릅니다. 다 다른 뜻이며 자취며 마음은 언제나 숲에서 태어납니다. 책숲(도서관)도 책집(책방·서점)도 숲이라는 바탕을 품고서 보금자리를 일구어 살아갈 사람이 푸른넋으로 오늘을 바라보고 사랑하려는 생각을 씨앗처럼 심는 쉼터라고 느껴요.


대구 저잣골목 어귀에 새롭게 여는 〈bookseller 호재〉를 찾아갑니다. 이제 막 자리를 여는 헌책집 담에는 붉은빛으로 감싼 ‘김수영 노래책(시집)’이 있습니다. 김수영 님이 남긴 글에 ‘풀’이 있고, ‘쏠(폭포)’이 있습니다. 풀이란, 숲을 이루는 푸른 바탕이고, 쏠이란, 바다로 나아가는 맑은 물길입니다. 김수영 노래책을 담에 놓아 내보이는 이곳은 바람을 품는 풀빛 같은 책을 만날 만할 테고, 바다를 그리는 쏠빛 같은 글을 마주할 만할 테지요.


오늘 새벽에 ‘이시무레 미치코’ 님 글살림 이야기를 노래꽃(동시)으로 써 보았습니다. 이웃나라 글순이였던 이녁이 남긴 《슬픈 미나마타》하고 《신들의 마을》은 우리말로도 나왔는데 참 안 읽혔어요. 마을·사람·바다·숲·어린이·풀꽃나무·숲짐승·하늘·시골을 사랑하는 숨결을 글로 옮겼고, 벼슬꾼(공무원)·글바치·먹물·돈꾼이 얼마나 어리석은 굴레에 스스로 갇히는지를 글로 담았어요.


책은 한낱 종이꾸러미가 아닙니다. 책은 고작 글묶음이 아닙니다. 책은 숲에서 푸르게 자라고 살아가던 나무를 옮긴 꾸러미입니다. 책은 우리가 스스로 살림을 짓는 사랑으로 아이들한테 물려주는 삶을 여민 묶음입니다. 여러 사람 손을 타면서 새롭게 반짝이는 손빛책(헌책)입니다. 마음으로 이웃할 책손을 헤아리는 책집지기는 오늘도 ‘새로운 헌책’을 다독이고 보듬습니다. 책짐을 한가득 짊어지고서 대구버스나루에서 광주버스나루를 거쳐 고흥으로 한밤 별빛을 안고서 돌아갑니다.



《이게 다예요》(마르그리트 뒤라스/고종석 옮김, 문학동네, 1996.3.14.첫.1996.3.25.2벌)

《몽실 언니》(권정생, 창작과비평사, 1984.4.25.첫/1990.8.25.고침/1990.9.25.고침2벌)

《마음길》(최종두, 교음사, 1988.1.10.)

《밥장님! 어떻게 통영까지 가셨어요?》(밥장, 남해의봄날, 2019.8.25.)

《내가 만난 하나님》(김승옥, 작가, 2004.5.3.)

《너무 많은 가운데 하나》(오탁번, 청하, 1985.8.30.첫/1987.7.10.2벌)

《만우절》(찰스 램/조경희 옮김, 자유문학사, 1987.2.10.)

《한 자락 바람이 되고파》(임선희, 자유문학사, 1986.8.30.)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마실


순이돌이 (2022.5.2.)

― 대구 〈럼피우스의 책장〉



  아침볕이 뜨거운 대구 골목을 걸어서 〈럼피우스의 책장〉으로 가는 길입니다. 해가 알맞게 들고 호젓한 자리를 느긋이 누리려는데, 이 골목으로 부릉이(자동차)를 모는 아저씨가 미닫이를 열고서 “이 새끼들아 비켜!” 하고 외칩니다.


  아이도 어른도 길을 한 줄로 걸어야 하지 않습니다. 아이도 어른도 도란도란 이야기하면서 즐겁게 봄볕을 누리는 골목길이니, 두엇이 나란히 서서 함박웃음으로 이야기꽃입니다. 조용조용 느긋한 골목에 난데없이 부릉부릉하더니 거친말로 윽박지르는 저 사내는, 대구 푸름이한테 어떤 씨앗을 심었을까요?


  크게 부릉거리며 가로지르는 저 사내는 왜 큰길 아닌 골목길로 굳이 비집고 들어와서 사납게 막말을 쏟아부어야 했을까요. 대구뿐 아니라 고흥도 매한가지요, 서울도 광주도 똑같습니다. 부릉이에 앉아 손잡이를 쥔 숱한 사람(순이돌이 모두)들은 어린이나 푸름이가 느긋이 걷는 골목길에서 도무지 안 기다립니다. 게다가 이 쇳덩이를 거님길에 함부로 세우지요.


  이름은 ‘어른’이되 어른스럽지 않은 늙은이(기성세대)가 보이는 볼꼴사나운 짓을 어린이하고 푸름이가 물려받는다고 느낍니다. 어떤 어린이하고 푸름이는 이처럼 볼썽사나운 늙은짓하고 등지면서 부릉종이(운전면허증)를 아예 안 따고 걷습니다.


  마을책집 〈럼피우스의 책장〉은 바바라 쿠니 님이 남긴 《미스 럼피우스》에 나오는 ‘럼피우스 어린이·젊은이·아줌마·할머니’ 삶에서 딴 이름입니다. 둘레에서 저한테 “숲노래 씨가 아름책(최고 명작) 하나를 얘기(추천)한다면?” 하고 물으면 “하나만 꼽으라는 말씀은 책을 읽지 말라는 얘기이고요, 《생쥐와 고래》에 《미스 럼피우스》에 《펠레의 새 옷》에 《꼬마 도깨비 오니타》에 《작은 새가 좋아요》 같은 그림책 다섯을 곁에 두고서 즈믄벌(1000 번)쯤 되읽었으면, 다른 책을 찾아서 읽을 만합니다.” 하고 들려주곤 합니다.


  책은 더 많이 읽어야 할 까닭이 없고, 글책만 높이 사야 하지 않습니다. 그림책 말고 어른이 읽을 책을 꼽아 달라고 자꾸 조르면 “만화책을 보셔요. 《불새》랑 《불랙잭》이랑 《우주소년 아톰》을, 《나츠코의 술》이랑 《우리 마을 이야기》를, 《이누야샤》랑 《은빛 숟가락》을, 《도토리의 집》과 《머나먼 갑자원》과 《천상의 현》을, 《맛의 달인》과 《에어리어 88》과 《권법소년》(후지와라 요시히데)을 온벌(100 번)쯤 되읽었으면, 그때 다른 책을 읽으셔요.” 하고 속삭여요.


  숲빛이기에 순이(여성)입니다. 동무하며 돌보기에 돌이(남성)입니다. 어깨동무하는 살림을 짓는다면 종이책이 없어도 누구나 아름답고 사랑입니다.


ㅅㄴㄹ


《에코의 초상》(김행숙, 문학과지성사, 2014.8.18.첫/2021.10.6.9벌)

《딸은 엄마의 감정을 먹고 자란다》(박우란, 유노라이프, 2020.7.20.첫/2021.12.6.19벌)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길은 쉽다 (2022.5.1.)

― 포항 〈지금책방〉



  이른아침에 대구에서 포항으로 건너갑니다. 새벽에 쓴 노래꽃을 칙폭이로 달리며 옮겨적습니다. “애들도 아니고, ‘칙폭이’가 뭡니까?” 하고 묻는 분한테는 “아이 눈높이에 맞추어 지은 ‘칙폭이’란 이름이야말로 우리가 사랑할 말이라고 생각해요.” 하고 대꾸합니다.


  포항 칙폭나루에 내려서 버스로 갈아탑니다. 〈지금책방〉으로 찾아가려는 길인데, 길그림을 살피니 ‘현대제철’ 앞에서 다른 버스로 갈아타라고 뜹니다. 그러려니 하고 내리니 쇳가루가 훅 번집니다. 하늘은 파랗게 트였으나 온통 쇳바람입니다. 어린 나날을 보낸 인천이 떠오릅니다. 포항에 포항제철이 있으면, 인천에는 인천제철이 있는데, 인천에는 제철소 말고도 화학공장에 유리공장에 자동차공장에 식품공장에 연탄공장에 발전소에 …… 끝없습니다.


  국회의사당이 서울 구로공단이나 인천 남동공단 한복판에 있다면, 나라꼴이 좀 바뀌지 않을까요? 푸른지붕집을 숲으로 돌려주고서, 우두머리(대통령)는 전남·경남·강원·충북 깊은 멧골이나 시골을 석 달마다 돌면서 일하도록 하면, 나라살림이 꽤 달라지지 않을까요? 우두머리부터 서울을 떠나 시골에서 일할 적에 하나하나 거듭날 만합니다. 벼슬꾼(국회의원·정치꾼)은 제철소 옆에서 살아야 합니다.


  늦봄볕을 후끈후끈 누리며 〈지금책방〉에 닿습니다. 이제 우리나라는 6·7·8이 아닌 5·6·7이 여름이지 싶습니다. 땀을 씻고 손도 정갈하게 씻고서 책시렁 앞에 섭니다. 땀나는 철이나 천 한 자락을 늘 쥐면서 책을 살핍니다.


  책은 어떻게 읽어야 할까요? 길은 쉬워요. 늘 새롭고 즐겁게 읽으면 넉넉합니다. 그림책은? 그림책도 언제나 새롭고 즐거이 마음을 추스르며 읽으면 넉넉해요. 만화책도 사진책도 글책도 매한가지입니다. 마음을 새롭게 다스리기에 모든 책을 새롭게 맞이합니다. 마음에 앙금이 맺히면 어떤 책이 눈앞에 있어도 안 보입니다. 마음에 스스로 사랑씨앗을 심기에 언제 어디에서나 삶빛을 책 한 자락으로 누리고, 마음에 미움씨앗을 심으면 누가 어떤 이야기를 들려주어도 한귀로 흘러나갑니다.


  날마다 새로 마주하는 하루입니다. 똑같은 하루는 없습니다. 모든 아침은 새롭게 여는 삶길입니다. 스스로 쳇바퀴라 여기니 쳇바퀴일 뿐, 스스로 사랑길로 노래하면 어느 곳에서 무슨 일을 하든 사랑일로 피어납니다.


  눈을 감아야 바람빛을 잘 봐요. 글님·펴냄터 이름을 지우고 읽어야 속빛을 잘 알아챕니다. 눈을 떠야 별빛을 잘 봐요. 사랑눈으로 책시렁을 돌아보면, 허울이나 껍데기가 아닌 씨톨이 반짝이는 책을 느낄 만해요. 사랑으로 배우고 나누는 책입니다.


ㅅㄴㄹ


《아빠 꿈은 뭐야?》(박희정, 꿈꾸는늘보, 2021.12.24.)

《하다 하다 책방이라니》(안현주, 롱롱어고우, 2021.6.28.)

《삶을 읽는 사고》(사토 다쿠/이정환 옮김, 안그라픽스, 2018.6.22.)

《이모 말고 고모》(이슉 글·이승현 그림, 이슉, 2021.8.1.)

《내가 좋아하는 것들, 산책》(이정하, 스토리닷, 2022)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