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말(인터넷말) 38] 프리미엄 웹방화벽 BIG 이벤트

 회사나 공공기관이 영어 쓰기를 좋아하는 까닭이라면, 요즈음 여느 사람들이 너나 할 것 없이 영어 쓰기를 좋아하기 때문입니다. 아무것 아닌 자리에서도 영어를 함부로 즐겨쓰니까, 회사이든 공공기관이든 사람들 눈길을 끌고자 영어를 섣불리 씁니다. “BIG 이벤트”라지만, “BIG event”처럼 모조리 영어로 쓰지 않고 뒤쪽은 한글로나마 적어서 고맙다고 해야 하지 않느냐 싶기까지 합니다. 가만히 보면, 이런 말을 쓰는 사람들은 우리 말로는 어떻게 말해야 좋거나 알맞거나 옳은지를 모르는구나 싶습니다. 우리 말은 모르기 때문에 이렇게 영어로 쓰는구나 싶어요. 삶도 생각도 오로지 영어이기 때문에, 쉽게 튀어나오거나 사람들 앞에 널리 선보이는 자리에서도 영어를 쓸밖에 없다고 느낍니다. 지난날에는 “프리미엄 웹방화벽”이 아니라 “고급 웹방화벽”이나 “최고급 웹방화벽”이라고 쓴 우리들입니다. ‘고급’이나 ‘최고급’ 또한 우리 말이 아닌 한자말입니다. 곧, 회사나 공공기관 사람들은 한자말만 쓰다가 영어로 휙 건너뛴 셈입니다. 그러니까, 차근차근 생각할 노릇입니다. 고급이든 프리미엄이든, 우리 말로는 무엇을 가리키거나 뜻할까요. 스스로 우리 말이 무엇인지를 살펴야 합니다. 아이들 앞에서 어떤 말을 쓰면서 이야기를 나누려 하는지, 나이든 사람들 앞에서 어떤 말투로 생각을 주고받으려 하는지 돌아보아야 합니다. “센 수학”이 있고 “핸드볼 큰잔치”가 있습니다. 세니까 “센 수학”이라 합니다. 방화벽 가운데 조금 더 튼튼하며 훌륭하니까 “센 방화벽”이겠지요. “더 나은 방화벽”이거나 “(더) 빼어난 방화벽”이라 할 테고요. 크게 벌이는 무슨 행사라 하기에 ‘큰잔치’입니다. “출시 기념 큰잔치”가 되고, “봄맞이 큰잔치”가 됩니다. (4344.2.23.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누리말(인터넷말) 37] 나의 서재 바로가기

 ‘바로가기’나 ‘바로가다’ 같은 낱말은 국어사전에 안 실립니다. 그러나 이 낱말을 띄어서 쓰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요즈음 흔히 듣는 낱말인 ‘바로가기’나 ‘바로가다’는 새로 태어난 낱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처음 인터넷이 들어왔을 때에는 다들 영어로 ‘go’라고만 적었습니다. 요즈음에도 ‘go’라는 영어를 쓰는 누리집이 꽤 많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처럼 ‘바로가기’를 쓰는 누리집이 제법 많이 늘었으며, ‘favorite’을 ‘즐겨찾기’라는 낱말로 다듬으면서 밀어냈듯이, ‘go’ 또한 ‘바로가기’라는 낱말로 걸러내면서 보듬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글자수로 치자면 ‘바로가기’는 네 글자나 되니 ‘go’보다 훨씬 길지만, 글자수보다, 이러한 낱말을 쓸 때에 사람들이 얼마나 잘 알아보거나 알아차리는가를 본다면, ‘바로가기’가 우리한테 알맞을 낱말이요, 우리 말입니다. 다만, “나의 서재 바로가기”는 아쉽습니다. “내 서재 바로가기”로 적어야 올바르거든요. ‘나의’는 우리 말이 아닙니다. ‘私の’라는 일본 말투를 한글로 어설피 옮긴 말투입니다. “아무개님 환영(歡迎)합니다”도 “아무개님 반갑습니다”로 적으면 훨씬 좋았습니다. (4344.2.23.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누리말(인터넷말) 36] 에코토피아 나눔밥상

 ‘나눔밥상’처럼 좋은 일을 한다며 좋은 이름을 좋은 넋으로 살가이 붙입니다. 그렇지만, 이러한 일을 하는 사람들은 ‘에코토피아’입니다. 아마, 예전 지식인들이라면 ‘초록세상’이나 ‘녹색지대’ 같은 한자말로 이름을 지었겠지요. 오늘날 지식인들은 한자말보다는 영어로 이름을 짓기를 좋아합니다. 그러니까, 옛날이나 오늘날이나 이 나라 지식인이라 하는 사람들은 우리 말로 이름을 안 짓습니다. 아니, 못 짓는다고 해야 할까요. 우리 말로 이름 하나 곱게 지으려고 생각하지 못한다고 할까요. 한국사람이랑 한국말로 쉬우며 예쁘게 알뜰살뜰 이야기꽃 피우는 일은 꿈조차 꾸지 않는다고 할까요. 그예 위에서 아래로 내려보내기만 할 뿐입니다. (4344.2.20.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누리말(인터넷말) 35] 홈으로 가기, 이메일서비스

 오늘날처럼 영어를 참 쉽게 아무 데나 쓰는 이 나라에서 “홈으로 go”라 안 하고 “홈으로 가기”라 적은 대목은 놀랍습니다. 그러나 ‘홈’이란 ‘home’, 곧 ‘홈페이지’를 가리킵니다. 우리 말로는 ‘누리집’이요, 한 글자로 줄이고 싶다면 ‘집’입니다. “민중의소리 집으로 가기”라 적어야 올바릅니다. 영어로는 그저 ‘집’을 뜻할 뿐인 낱말 ‘home’인데, 이 영어를 ‘집’을 뜻하는 자리에서도 쓰고 ‘누리집’을 뜻하는 자리에서도 씁니다. 그렇지만 우리 말 ‘집’은 집을 뜻하는 자리에도 잘 안 쓸 뿐더러, 누리집을 일컫는 자리에서는 아예 안 씁니다. 이래서야 이 땅에 옳고 바른 넋과 뜻과 일이 자리를 잡을 수 있나 모르겠습니다. 더군다나, 인터넷으로 주고받는 편지는 ‘누리편지’요, 같은 뜻으로 ‘인터넷편지’라고도 하는데, 이런 말도 못 쓰고 ‘이메일서비스’라 한다면 퍽 아쉽습니다. 더 살피면, “여기를 눌러 주세요”라 하고, “여기를 클릭 하세요”라 하지 않습니다. 이 대목도 고맙습니다. 이나마 적어 주니 반갑다 할 만합니다. 가만히 보면, 이 자리에서 쓴 ‘이메일서비스’란 “편지로 띄워 주는 소식읽기”입니다. 곧, ‘소식편지’를 보내 주겠다는 소리입니다. (4344.2.20.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누리말(인터넷말) 34] NEW!

 이제는 ‘NEW’는 영어라 할 수 없는지 모릅니다. 영어 아닌 우리 말이라 해도 될 만큼 사람들이 널리 씁니다. 어린이도 늙은이도 으레 쓰는 말마디이니까, 외국말이라 여기지 말아야 할는지 모릅니다. ‘어린이네이버’가 아닌 ‘쥬니어네이버’ 동요듣기에 적힌 ‘NEW’는 아주 자연스럽습니다. 설마, ‘어린이네이버’로 이름을 고치기를 꿈꿀 수 있겠으며, ‘새 노래’ 같은 말마디를 쓰리라 바랄 수 있겠습니까. (4344.2.15.불.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