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말(인터넷말) 48] 신간 이벤트

 ‘신간(新刊)’은 우리 말이 아닙니다. 새로 나온 책을 가리키는 우리 말은 ‘새책’입니다. 그러나, 우리 말 ‘새책’은 국어사전에 안 실립니다. ‘새책’을 일컫는 한자말 ‘신간’만 국어사전에 실립니다. 오늘날 웬만한 사람들은 다 아는 영어 ‘이벤트(event)’는 영어라고 하기 어려울 만큼 흔히 쓰는 낱말입니다. 그렇지만, 사람들이 다 알 만하며 흔히 쓴다 해서 모든 영어를 우리 말처럼 삼을 수 없습니다. 그런데 ‘이벤트’ 또한 국어사전에 버젓이 실립니다. 우리 말로는 ‘잔치’이고, 한자말로는 ‘行事’이며, 영어로는 ‘event’입니다. 한글로 ‘행사’나 ‘이벤트’로 적는다 해서 우리 말이 되지 않습니다. ‘business’를 한글로 ‘비즈니스’라 적는다 해서 우리 말이 될 수 없어요. 거꾸로, 우리 말 ‘잔치’나 ‘사람’을 알파벳 ‘janchi’나 ‘saram’이라 적는다 해서 이 낱말이 영어로 될 턱이 없습니다. 곧, ‘신간 이벤트’는 중국말과 영어를 뒤섞은 엉터리말입니다. 우리가 옳고 바르게 살아간다면 도무지 쓸 수 없는 말입니다. 그러나, 우리들은 조금도 옳거나 바르게 살아가지 못합니다. 옳은 삶보다는 돈 되는 삶을 생각하고, 바른 삶보다는 겉치레 삶에 기울어집니다. 어쩌는 수 없이 엉터리말 ‘신간 이벤트’를 말할밖에 없습니다. ‘새책 잔치’를 말하는 책방이나 출판사나 독자는 아무도 없습니다. (4344.3.6.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누리말(인터넷말) 47] 스마트한 Samsung Wave

 오늘날 우리 나라에 있는 큼지막한 회사 이름은 ‘삼성’이 아닌 ‘Samsung’입니다. 이곳은 회사이름을 한글이 아닌 알파벳으로 바꾸었고, 이와 같은 회사로 ‘LG’나 ‘SK’가 널리 알려졌습니다. 이들 회사가 이름을 알파벳으로 바꿀 때에 처음에는 이런저런 말이 많았으나 이내 잦아들었고, 한국사람 누구나 이들 회사를 알파벳 이름으로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다른 알파벳 이름 회사는 알파벳으로 이름을 적으면서 막상 ‘Samsung’만큼은 알파벳 이름으로 안 적습니다. 한글로 ‘삼성’으로 적습니다. 이곳 ‘삼성’ 아닌 ‘Samsung’에서 ‘스마트한 방법’으로 쓴다는 ‘스마트폰’인가를 만들며 이 물건에 ‘Wave’라는 이름을 붙입니다. 광고를 할 때에도 이 이름을 따서 여러모로 멋있게 만듭니다. 한국사람 누구나 ‘삼성’이든 ‘Samsung’이든 따지지 않을 뿐더러 아주 마땅하게 받아들이듯이, 이 회사에서 만드는 물건에 ‘Wave’라 이름을 붙이든 ‘물결’이라 이름을 붙이든 아랑곳하지 않습니다. (4344.3.4.쇠.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누리말(인터넷말) 46] 독자포토, 나의기도

 인터넷에 누리집을 마련하든, 얼굴을 마주하는 모임을 꾸리든, 사람들이 쓰는 말은 그리 예쁘거나 곱지 않습니다. 예쁜 옷이나 고운 집을 좋아한다 하면서 막상 말이나 글은 예쁘거나 곱게 돌보지 못합니다. ‘독자메뉴’ 아닌 ‘독자게시판’이라 이름을 붙였으면 ‘독자포토’ 아닌 ‘독자사진’이라 이름을 붙여야 알맞지 않겠습니까. 이 게시판이 깃든 자리는 큰 이름으로 ‘소통’에 묶입니다. 한자말 ‘소통(疏通)’은 “막히지 않고 잘 이어짐”을 뜻합니다. 그러니까, ‘열린마당’이라는 뜻입니다. 생각해 보면, ‘열린마당’이라든지 ‘나눔마당’ 같은 이름을 붙이면 한결 나았겠지요. 그래서 ‘독자게시판’보다 ‘열린게시판’이 한결 나은 이름이요, ‘독자사진’보다 ‘열린사진’이 더 나은 이름입니다. 그런데, ‘열린마당’으로 묶는다면 굳이 ‘열린-’을 앞에 안 붙여도 되니까, ‘열린사진’보다는 ‘사진마당’이나 ‘사진이야기’라 이름을 붙이면 되고, ‘나의기도’ 같은 게시판은 ‘내 기도’나 ‘내 바람’쯤으로 이름을 붙일 만합니다. 마땅한 노릇인데, ‘Q&A’는 우리 말이 아닙니다. ‘묻고 알려주기’나 ‘묻고 대답하기’라 적어야 올바릅니다. (4344.3.3.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누리말(인터넷말) 45] Give Day 기브데이

 겉보기로는 한글로 적는다 해서 한국사람이 한국땅에서 쓸 만한 한국말이 되지 않습니다. “기브데이에 해피빈과 미친을 맺으면, 콩스코어에서 상품을 구매하면, 기브데이 페이지가기” 같은 말마디가 우리가 쓸 만한 말이라 할 수 있겠습니까. 일제식민지에서 풀려나 해방을 맞이하던 1945년 무렵, 지식깨나 있다는 사람들은 돈벌이를 찾아 ‘일본말 배우기’에서 ‘영어 배우기’로 훌러덩 넘어갔습니다. 일제식민지 때에는 일본말을 배워야 돈벌이 구멍이 나왔고, 해방 뒤에는 일본제국주의 뒤를 이은 미군정한테 붙어야 돈벌이 구멍이 나오기에 영어를 배우려고 했습니다. 이무렵, 일본말에다가 영어를 배운다고 하면서 정작 우리 말글은 안 배울 뿐 아니라 내동댕이치던 지식인들을 바라보며 혀를 끌끌 차던 이들은 앞으로 이 나라 말글이 어찌 될까 하고 몹시 걱정했습니다. 이무렵 걱정하던 엉터리 말삶은 오늘날까지 고스란히 이어지고, 이제 아무렇게나 말을 하든 영어로 이런 말 저런 말 껍데기로 치레하든 사람들 스스로 무엇이 똥이고 무엇이 된장인지를 가리지 못할 만큼 뒤죽박죽이 됩니다. 참으로 ‘기브데이’란 무엇일까요. 한 마디로 ‘주는 날’이 아닐는지요. ‘해피빈’이란 무엇일는지요. ‘즐거운콩’이 아닌지요. ‘미친’은 또 무엇인지요. 머리가 돈 미친인가요 영어로 줄여서 쓰는 누리말인가요. ‘콩가게’나 ‘콩집’이라고는 못하고 ‘콩스토어’라 말할 까닭이 있는가요. 우리는 한국사람 맞나요. (4344.3.3.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누리말(인터넷말) 44] 북카트, 위시리스트

 동네책방이 사라지며 인터넷책방이 생깁니다. 동네책방 숫자만큼 인터넷책방 숫자가 생기지는 않으나, 인터넷책방이 제법 많습니다. 제법 많은 인터넷책방, 그러니까 누리책방은 저마다 다 다른 말로 차림판을 꾸미고 책을 팝니다. 어느 곳은 ‘장바구니’라 하지만 어느 곳은 ‘북카트’라 합니다. 어디에서는 ‘책바구니’라는 말을 씁니다. 어느 곳은 ‘보관함’이라 하는데 어느 곳은 ‘위시리스트’라 하고, 또 어느 곳은 아예 영어로 ‘wishlist’라 적기까지 합니다. 아무래도 ‘보관함’이나 ‘위시리스트’는 “사고 싶은 책”이나 “나중에 살 책”이란 소리쯤 되겠지요. (4344.3.1.불.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