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말(인터넷말) 83] 우리교육On, 콘서트, 인문학 캠프

 그리 멀지 않은 지난날 이 나라 지식인은 한자를 드러내어 적었습니다. 한자를 드러내어 적는 일이 ‘글을 쓸 때에 멋과 맛을 한결 살리는 길’이라 여겼습니다. 입으로 말을 할 때에는 어떤 한자를 쓰는지 알 길이 없을 뿐 아니라, 한자를 쓰는지 안 쓰는지도 알 수 없습니다. ‘우비’면 우비이지, 이 우비가 ‘우비’인지 ‘雨備’인지를 딱히 모르면서, 굳이 알아야 하지 않습니다. 다만, 사람들이 서로서로 쉽고 살가이 말을 주고받으려 한다면 ‘비옷’처럼 토박이말을 쓸 테지요. 이제 삶터가 달라지고 온누리가 뒤바뀌면서, 이 나라 지식인이 쓰는 글과 말 또한 차츰 달라지거나 뒤바뀝니다. 이제 이 나라 지식인은 한자보다 알파벳을 드러내어 적습니다. 한글로 알맞고 쉽게 글을 쓰려 하지 않습니다. 우리 말을 올바르고 살가이 나누려 하지 않습니다. 돌이켜보면, ‘콘서트’는 영어라기보다 들온말이라 할 만큼 사람들 입에 익은 낱말이지만, 곰곰이 따지면 ‘노래잔치’나 ‘노래마당’이나 ‘노래놀이판’으로 고쳐쓸 수 있습니다. ‘캠프’라는 영어 또한 온갖 곳에 두루 쓰면서 ‘인문학 캠프’라고까지 일컫지만, ‘인문학 모임’이나 ‘인문학 얘기마당’이나 ‘인문학 말잔치’나 ‘인문학 잔치’나 ‘인문학 슬기잔치’나 ‘인문학 열린터’처럼 새롭게 이야기할 만합니다. 생각을 열 때에 삶을 열고, 삶을 열 때에 생각을 열면서, 말과 글을 함께 아름다이 열 수 있습니다. (4344.7.31.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누리말(인터넷말) 82] 새로고침, 날짜, 크기

 ‘인터넷 홈페이지’는 ‘누리집’으로 고쳐쓰도록 하고, ‘블로그’는 ‘누리사랑방’으로 고쳐쓰도록 하자고들 이야기하지만, 정작 이처럼 고쳐쓰는 사람은 몹시 드뭅니다. 그저 쉽게 영어를 쓰기만 합니다. 이제는 아주 뿌리를 내린 ‘블로그’이지만, 이러한 자리가 처음 생기던 무렵에는 이 영어를 그대로 써야 하는가, 마땅하다 싶은 한국말을 찾아야 하는가를 놓고 적잖이 말이 오갔습니다. 이제 와 돌이키자면 ‘누리사랑방’이라는 이름은 그다지 걸맞지 않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말마디를 아끼면서 이대로 쓸 수 있고, 새 말마디를 슬기롭게 빚어 사랑스레 쓸 수 있습니다. 인터넷으로 하는 무언가를 가리킬 때에 ‘누리-’를 잘 살린다면, ‘인터넷 까페’는 ‘누리모임’이나 ‘누리동아리’로 손질할 만합니다. ‘인터넷 메일’은 ‘누리편지’가 되고요. ‘인터넷 포털 사이트’도 사람들이 슬기를 모은다면 알맞게 붙일 이름을 찾을 테지만, 사람들은 한국말을 빛내려는 슬기를 그닥 보여주지 않습니다. 그래도, ‘포털 사이트 누리편지’ 자리를 살피면, ‘새로고침’이나 ‘날짜’나 ‘크기’ 같은 말마디가 눈에 뜨입니다. ‘찾기’라 하지 않고 ‘검색’이라 한 대목은 아쉽지만, ‘다음’이라는 말마디는 반갑습니다. 조금 더 마음을 쏟는다면 ‘이전’을 ‘앞으로’나 ‘앞쪽’으로 적바림할 수 있었겠지요. (4344.7.27.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누리말(인터넷말) 81] 삭제, 보낸사람

 아직 꽤 여러 곳에서 제법 쓰기는 하지만, 나날이 ‘수신’과 ‘송신’이라는 한자말 쓰임새가 줄어듭니다. 이제는 거의 모든 곳에 ‘보내다’와 ‘받다’라는 토박이말을 쓰는구나 싶어요. 누리편지를 ‘보내고 받’는 자리에도 으레 ‘보낸사람’처럼 적습니다. 편지봉투에 알파벳으로 ‘from’과 ‘to’를 적기도 하지만, 거의 모두 ‘보낸사람’과 ‘받는사람’으로 적습니다. 다만, 이 말마디 ‘보낸사람-보낸이’하고 ‘받는사람-받는이’가 국어사전에는 아직 안 실려요. 앞으로는 마땅히 실려야 할 테지요. 한 가지를 더 살피면, 편지가 쌓이면 편지함이 가득 차니까 때때로 지우거나 다른 곳에 갈무리해야 합니다. 누리편지를 지우려면 ‘지우기’를 눌러야 합니다. 아쉽게, 아직 어느 곳에서도 ‘지움’이나 ‘지우기’라는 말은 안 쓰고 ‘삭제’와 ‘완전삭제’라는 말만 쓰는데, 앞으로 열 해나 스무 해를 더 살아내면 이 말마디도 한결 쉬우면서 알맞게 거를 수 있을까 하고 생각해 봅니다. (4344.7.23.흙.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누리말(인터넷말) 80] 처음으로, Home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이 있습니다. 이곳 누리집에 들어갔다가 ‘처음으로’라는 이름을 봅니다. 거의 모든 공공기관이 ‘home’이나 ‘HOME’이나 ‘Home’이나 ‘홈’을 쓰는데, 이곳에서는 ‘처음으로’를 쓰니 무척 놀랍습니다. 그러나, 같은 누리집 다른 자리에는 ‘Home’이라는 이름이 함께 나와요. 참으로 잘 쓴 이름 하나를 더 잘 살피면 좋을 텐데, 퍽 아쉽습니다. 그러나, 한 군데라도 알맞고 바르게 쓸 줄 알았으니, 이러한 말씀씀이를 고이 돌아보면서 사랑할 수 있으면 고맙겠어요. (4344.7.21.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누리말(인터넷말) 79] 마당, 게시판, 센터, 코너

 어느덧 ‘열린마당’ 같은 이름이 퍽 널리 쓰입니다. 이와 함께 ‘열린게시판’ 같은 이름도 쓰이는데, 그냥 영어로 ‘오픈캐스트’를 쓰기도 합니다. 영어 쓰기 좋아하는 버릇은 동사무소를 ‘동주민센터’처럼 바꾸고, 파출소를 ‘치안센터’로 바꾸는 데에서 엿보는데, 닭집을 일컬어 ‘치킨센터’라 하는 데도 있습니다. 이리하여 부정부패처럼 지저분한 일을 밝히자 하는 자리를 가리키는 이름을 ‘클린신고센터’처럼 붙입니다. ‘열린신고마당’이라든지 ‘맑은신고마당’처럼 이름을 붙이지 못해요. 한편, ‘센터’ 못지않게 ‘코너’라는 영어를 곳곳에 씁니다. 방송에서도 무슨 코너 요 코너라 할 뿐입니다. ‘생활공감정책코너’란 무엇을 가리킬까요. 이곳은 ‘게시판’이라 해도 될 텐데요. 게시판을 가르는 큰 이름이 ‘열린마당’이니까 ‘생활공감정책마당’이라 해도 됩니다. (4344.6.28.불.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