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2022.9.14.

수다꽃, 내멋대로 25 우체국 공무원



  왜 그러한지 알 길이 없는데, 갈수록 우체국 일꾼이 자주 바뀐다. 게다가 새로 들어앉는 우체국 일꾼은 일을 대단히 못 한다. 글월(편지)이나 꾸러미(택배·소포)를 받거나 다루는 길을 처음부터 아예 모르는 채 자리에 앉으니, 손님은 하염없이 기다리기를 두 달쯤 하면, 우체국 일꾼이 이럭저럭 일손이 잡히고, 서너 달쯤 이 꼴을 보면 이제는 버벅거리는 우체국 일꾼이 없는데, 바로 이즈음 우체국 일꾼이 다시 싹 바뀌더라. 왜 이럴까? 어제(2022.9.13.)도 고흥읍 우체국에서 이런 꼴을 지켜보는데, 여기에 한 술 얹어 “낮 네 시 삼십 분이 지났으니 마감합니다!” 하고 여러 벌 외치더라. 나는 우체국에 세 시 사십오 분쯤에 들어와서 글월자루에 풀을 바르느라 바빴고, 마지막 풀바르기를 마치고 글월을 보내려 하니 네 시 삼십일 분이더라. 가만히 생각해 본다. 요새 우체국에서는 ‘받는곳 미리넣기(사전접수)’를 해줍사 하고 이야기한다. 미리넣기(사전접수)를 하느라 마감을 넘겼는데, 미리넣기를 안 하고 맡겼으면 마감에 안 걸렸겠지? 그런데 언제부터 우체국 마감을 네 시 삼십 분으로 앞당겼을까? 2022년 여름부터 우체국은 12시∼13시에 아예 닫아건다. 낮밥을 느긋하게 먹겠다면서 글월받기를 안 한다. 우체국 일꾼 스스로 일거리를 줄이면서 일삯은 그대로 받을 텐데, 무엇보다도 우체국이라는 자리는 열린일(공공업무)이다. 면사무소·동사무소·군청·시청도 어느덧 12시∼13시에는 아예 닫아거는데, 그들이 낮밥을 먹더라도 ‘무인 민원기계’를 쓸 수 있도록 해놓아야 하지 않는가? 우체국을 09시에 열어서 18시에 닫는다면, 글월을 받거나 돈을 넣고 빼는 일도 18시 마감이어야 맞다. 일을 하지 않겠다고 마감을 미리 쳐놓고서 18시까지 자리를 지킨다니 무엇을 하겠다는 뜻일까? 우체국이나 열린터(공공기관)가 ‘나날이 일을 안 하는 쪽’으로 바뀌는 모습을 보면, 이들은 “낮은자리에 설 마음”이 조금도 없다고 느낀다. 나라지기(대통령) 한 사람만 ‘여린이(사회 약자)·외로운 사람·가난한 사람한테 눈을 맞추는 길(행정)’을 찾겠다고 몸을 낮춘들, 이렇게 열린터 일꾼(공무원)부터 일찍 마감을 걸고서 일을 안 한다면, 이 나라는 가라앉아 버리리라. 누가 우체국까지 찾아가서 글월을 부치는가? 누가 은행까지 찾아가서 돈을 넣고 빼는가? 누가 면사무소나 군청까지 가서 일을 보는가? 바로 ‘여린이(사회 약자)·외로운 사람·가난한 사람’이다. 함부로 ‘노동복지’를 들추지 않기를 빈다. 우리는 ‘나흘 일하기(주4일제)’로 가기 앞서 ‘왜 어떻게 어디에서 누구를 마주하며 일하는가?’부터 똑바로 보고 되새길 노릇이다. 벼슬꾼(공무원)이나 길잡이(교사)가 ‘닷새 일하기(주5일제)’로 일한다고 하더라도, 흙지기(농사꾼)는 늘 ‘이레 일하기(주7일제)’를 한다. 더구나 ‘갈마들기(24시간 교대제)’로 일하는 곳(공장)이 수두룩하다. 하다못해 마을가게(편의점)조차 24시간을 돌린다. 벼슬꾼아, 우체국 일꾼아, 군청과 면사무소 일꾼아, 너희들은 한꺼번에 우르르 몰려서 ‘사람이 없다고 빈둥거리면서 누리마실(웹서핑)을 하며 한들거리’는데, 우체국도 군청·면사무소·동사무소도 스물네 시간을 돌려야 한다. 스물네 시간 쉬지 않고 돌리되, 너희들은 ‘나흘 일하기’로 갈마들기(교대제)를 해야지. 그래야 너희 일이 ‘공무원’에 걸맞지 않겠느냐? 시골 군청과 면사무소조차 넘쳐나는 일꾼이 할 일이 없어서 노는데, 제발 하루 내내 열어놓고서 갈마들기를 하기를 빈다. 우체국에도 일꾼이 너무 많더라. 좀 갈마들기를 하며 ‘나눠서 일하기’를 해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2.9.13.

숨은책 742


《학교는 왜 가난한가》

 한국교육연구소 엮음

 우리교육

 1991.6.20.



  예전 배움터는 왜 그리 가난했을까요? 배움터에 가면 뭔가 배우는 하루가 아닌, 툭하면 무슨 돈을 내라 어떤 성금을 바치라 무슨 폐품을 모아라 어떤 꽃그릇을 마련해서 내라 …… 끝이 없더군요. 어느 날 어머니는 “얘, 무슨 학교가 이렇게 돈하고 살림을 맨날 가져오라고 하니? 너무 힘들어서 학교 못 보내겠다.” 하며 한숨을 쉽니다. “어머니, 그러면 전 학교를 안 다녀도 좋아요. 저도 너무 힘들어요.” 하고 대꾸했어요. 이제 이 나라 배움터는 돈이 넘칩니다. 돈은 넘치되 아이들이 줄고 머잖아 아이들은 다 사라지고 어른(교사)만 남을 판입니다. 오늘날 시골 배움터는 아이는 몇 없으나 어른(교사)이 외려 아이보다 많기 일쑤입니다. 《학교는 왜 가난한가》는 1991년에 마땅히 나올 만했습니다. 2020해무렵(년대)을 넘어서는 한복판에는 “학교는 왜 돈이 많은가”로 이름을 바꾸어야지 싶습니다. 배움길이라기보다 배움수렁(입시지옥)인 얼거리를 본다면, 배움터에 목돈을 쏟아붓기보다는 어린이·푸름이가 스스로 삶·살림·사랑·숲을 배우고 다스리도록 배움돈(교육예산)을 쓸 노릇이라고 여깁니다. 배움터를 세우거나 배움칸(교실)을 으리으리 꾸미지 말고, 오롯이 어린이·푸름이한테 이바지할 길을 찾아야 어른이 어른답겠지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2.9.13.

숨은책 750


《자연 1―1》

 문교부 엮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63.8.15./1970.3.1.



  어린배움터(국민학교)에 들어간 1982년 3월 2일부터 무엇을 배웠나 돌아보면, 첫째로는 ‘길잡이(교사)가 뭘 말할 적에 옆을 보지 말고 그 어른 얼굴만 봐야 한다. 안 그러면 두들겨맞는다’입니다. 둘째로는 ‘그 어른이 뭔가 실컷 떠든 이야기를 못 알아들었어도 물어보지 마라’입니다. 셋째로는 ‘아무 말 않고 얌전히 있으면 얻어맞을 일이 없다’입니다. 넷째로는 ‘배움터(학교)는 불구덩이(지옥)로구나’예요. 지난날 저나 또래는 ‘한글’이 뭔지조차 모르는 채 어린배움터에 들어갔습니다. 제가 깃든 배움칸(학급)에는 쉰다섯 아이가 있었는데, 이 가운데 미리 한글을 익힌 또래는 둘이었습니다. 쉰세 아이 가운데 적잖은 아이는 한글을 못 뗀 채 두걸음(2학년)으로 올랐는데, 저는 글씨가 재미있다고 여겨 이레 만에 떼었어요. 그냥 새롭게 보는 모두 기쁘게 받아들이고 싶었을 뿐이고, 몽둥이나 손찌검을 휘두르는 어른들이 아리송했습니다. 1963년에 나온 《자연 1―1》하고 1982년 《자연》은 똑같지 않습니다만, 글이 거의 없이 그림으로만 이야기를 편 대목은 비슷합니다. 그때(1982년) 혼잣말처럼 “뭐야? 집하고 마을에서 늘 보는 모습이잖아?” 하고 읊다가 꿀밤을 먹었어요. 그런데 오늘날 이 나라에 ‘숲(자연)’은 어디 있나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2.9.11.

숨은책 736


《韓國의 歲時風俗》

 최상수 글

 한국 민속학 연구소

 1960.11.1.첫/1969.11.5.2벌



  어릴 적에 무엇을 하며 놀았나 하고 생각하니 놀잇거리가 끝없이 떠오릅니다. 1987년까지 어린배움터(국민학교)를 다녔는데, 열세 살에 이르도록 누린 놀이는 책으로 두툼하게 쓸 만하더군요. 사냥은 안 했으나 새바라기는 즐겼습니다. 어버이 옛시골인 당진에 나들이를 가면, 그곳 언니·누나 들이 손을 잡고서 메추리알을 줍는다든지 개암나무를 찾아 숲을 헤친다든지 나무를 타고 열매를 딴다든지 개구리랑 메뚜기를 굽는다든지, 이리로 저리로 이끌었고, 밤마다 별잔치를 누렸어요. 여느때에는 마을·골목·배움터에서 갖은 놀이를 합니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틈을 타고 짬을 내어 놀아요. 《韓國의 歲時風俗》은 어린이일 적부터 읽었습니다. ‘나를 낳은 어버이’는 예전에 뭘 하고 놀았을는지 궁금하거든요. 어릴 적엔 빌려서 읽은 책을 2005년에 헌책집에서 다시 만나는데, 그때 1000원짜리 종이돈 둘을 끼워놓고 몇 마디 글을 남겼더군요. 아스라한 일은 아스라할 뿐 사라지지 않습니다.


“지난날 일하던 출판사에서 자료로 쓰고자 사 두었던 책 하나. 너 참 오랜만이다. 반갑구나. 고맙구나. 이렇게 널 여기서 다시 만날 줄이야. 곱게 잘 빚어낸 책 한 권은, 어느 헌책방에서건 틀림없이 알아볼 것이고, 갖출 것이다. 그러면 나는 두 손에 시커멓게 책먼지 묻혀가며 너 하나 찾아내고자 무던히 애를 쓸 테지. 이제 너는 내게 왔구나. 네가 내 곁에 머무는 동안은 너와 함께 오붓하고 즐겁게 네 속살을 마음껏 느끼며 지내고 싶구나. 2005.3.17.나무. 서울 노고산동 〈숨어있는 책〉 ㅎㄲㅅㄱ.”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2022.9.11.

숨은책 683


《아빠는 왜 자주 감옥에 가야 하나요》

 말틴 루터 킹 글

 이성학·김민준 옮김

 함석헌·박대선 어리말

 삼한출판사

 1966.12.30.



  로자 파크스 님 이야기를 듣고서 ‘버스 안 타기’를 함께 이끈 마틴 루터 킹(Martin Luther King) 님은 몇 가지 책을 내놓습니다. 이 가운데 하나는 1966년에 《아빠는 왜 자주 감옥에 가야 하나요》로 나옵니다. 미국에서는 살빛을 놓고서 들볶거나 괴롭히는 바보짓이 춤춘다면, 우리나라에서는 총칼로 억누르거나 후려잡는 바보짓이 넘실댔습니다. 아름길하고 먼 나라는 참다이 목소리를 내는 사람을 붙잡아 사슬터에 보내요. 아이들이 앞으로 물려받을 삶터가 아름터로 피어나기를 바라는 어른이라면 모진 가시밭길을 걷더라도 기쁘게 땀흘립니다. 적잖은 사람들이 바보나라에서 고분고분 우두머리를 따르더라도 이를 아랑곳하지 않지요. 어느 날 문득 아이가 “아빠(또는 엄마)는 왜 자주 붙잡혀야 하나요?” 하고 묻는다면 “그들은 몸뚱이에 사슬을 친친 감으면 우리가 종(노예)이 된다고 여기거든. 그런데 마음은 사슬로 못 감는단다. 사랑을 품으면서 심은 씨앗은 늘 온누리를 푸르게 가꾼단다.” 하고 들려줄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아이가 착하게 살기를 바라면, 어버이로서 즐겁고 착하게 살면 됩니다. 아이가 웃고 노래하며 기쁘게 삶을 짓기를 바라면, 어버이부터 웃고 노래하며 기쁘게 하루를 지으면 되어요. 씨앗 한 톨이 숲입니다.


ㅅㄴㄹ

#MartinLutherKing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