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집놀이터/숲노래 사랑꽃 2022.12.4.

숲집놀이터 278. 문해력



갈수록 ‘문해력’이 떨어져서 걱정이라는 얘기를 듣는다. 그런데 우리말꽃을 쓰는 사람으로서 ‘문해력’이란 일본스런 한자말을 못 알아듣겠다. 갑작스레 떠오른 이 일본스런 한자말 ‘문해력(文解力)’은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을 뜻한다고 국립국어원 낱말책에 나온다. ‘초등 문해력’을 다룬 책이 밀물처럼 쏟아지는데, 죄다 부질없는 부스러기라고 느낀다. 어린이·푸름이가 “글을 잘 못 읽는다”고 걱정할 일은 터럭조차 없다. 글을 잘 못 읽는다면, 말부터 잘 못 알아듣는다는 뜻이다. 말을 잘 알아듣는 사람이 글을 못 읽을 수 없다. 그러면 생각하자. 어린이·푸름이는 어떤 말글을 못 알아보거나 못 읽는가? 바로 ‘어른들이 아무렇게나 쓰거나 어렵게 쓰거나 마구 뱉어내거나 쳇바퀴에 길든 말글’을 못 알아보거나 못 읽는다. 우리는 우리말을 제대로 배우지 못 한 나날이 무척 길다. 한글날 언저리에 기껏 ‘SNS 언어파괴’나 ‘공공기관 영어남발’ 같은 말이 떠돌지만 으레 그날 하루만 반짝한다. 모든 말썽덩이 말글은 ‘어른이 썼’다. 어린이를 탓하면서 ‘어린이가 골아프게 어려운 일본말씨나 옮김말씨나 영어를 외우’도록 내몰지 말자. 어른부터 우리말을 처음부터 새로 배울 노릇이다. 글에 ‘-의·-적·-화’만 안 써서 끝이 아니다. 우리 넋을 우리 마음에 어질게 담는 우리 말글로 생각을 가꾸는 길을 펴야 비로소 어른이다. ‘글힘(문해력)’은 ‘말힘(언어력)’을 사랑으로 돌보는 보금자리에서 비로소 깨어난다. 새말을 스스로 지을 줄 알면 말힘이 피어난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2.12.3.

숨은책 726


《한검바른길 첫거름》

 정렬모 엮음

 대종교총본사

 1949.5.1.



  총칼로 윽박지른 일본을 이 땅에서 떨치려고 일어선 숱한 분들이 ‘대종교’에 한마음으로 뭉친 줄 모르며 살았습니다. 배움터 열두 해 동안 가르친 어른이 없습니다. 주시경 님 발자취를 헤아리다가 뒤늦게 알았어요. ‘대종교’는 한자로 ‘大倧敎’라 적습니다. 《한검바른길 첫거름》은 ‘한검’으로서 ‘바른길’로 나아가는 ‘첫걸음(첫거름)’을 쉽게 풀어내는 꾸러미입니다. ‘마루뜻풀이(종지강연)’처럼 우리말로 쉽게 적고서 한자를 보탭니다. 여느 자리에서는 ‘한얼이야기·한배이야기·믿음이야기’처럼 따로 한자를 안 보태고서 믿음길을 들려줍니다. 대종교에서 함께 부른 ‘한얼노래’에는 “얼노래·세얼·세마루·한울집·믿음의즐거움·한길이열림·사람구실·한결같은마음·힘을부림·죄를벗음”이 있군요. “사는준비·미리막음·봄이왔네·가을이왔네·아침노래·저녁노래·끼니때노래”도 새삼스럽습니다. 다만, 해적이에 “개천 四四0六해 五달 一날”이라 적은 대목은 티끌입니다. 우리 겨레가 ‘한겨레·배달겨레’요, 서울 한복판은 ‘한가람’이 흐르고, 우리글은 ‘한글’입니다. 이 모든 이름에는 ‘하늘(한)’이 깃들어요. 불교·천주교·기독교 같은 믿음길은 우리 말글·땅·이웃·숲을 얼마나 살피는 매무새일까요? 바른길도, 마음길도, 넋길도, 숨길도, 빛길도, 말길도 가다듬을 노릇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2.12.3.

숨은책 653


《モダン 新語辭典》

 早坂二郞·松本悟郞 엮음

 浩文社

 1931.10.20.첫/1932.3.1.다섯벌.



  우리는 우리 손으로 바깥길을 익히거나 살필 겨를이 없었습니다. 아니, 우리는 중국을 섬기는 몸짓이 너무 드센 나머지, 한문만 글이라 여기면서 한글을 얕보고 깎아내리는 길을 걸었습니다. 곰곰이 보면, 아이를 사랑으로 낳아 돌본 수수한 시골 어버이는 글(한문)을 하나도 모르지만 말(우리말)로 살림을 짓고 이야기꽃을 피웠어요. 벼슬아치·임금·붓바치는 말(우리말)이 아닌 글(한문)로 나라일·감투를 거머쥐면서 들꽃사람(백성·한문을 모르는 채 흙을 일구는 사람)을 짓밟고 괴롭히며 우려먹었습니다. 벼슬을 쥔 사내들이 세운 꼰대질(가부장권력)이 무너지던 1900년 언저리에 일본말이 밀물처럼 흘러들어요. 일본이 총칼로 뒤덮은 1910년 무렵부터는 ‘일본이 일본 한자말로 받아들인 바깥길(서양문화·문물·문명)’이 너울거렸습니다. 《モダン 新語辭典》은 일본사람이 바깥길을 받아들이려고 애쓴 자취가 물씬 흐릅니다. ‘새롭고(モダン) 새로운(新語) 말’을 꾸린 작은 책을 펴면, 영어를 어떤 한자말로 옮겨야 사람(일본사람)들이 알아듣기 좋으려나 하고 생각한 자취를 읽을 만합니다. 우리는 아직 영어도 한문도 일본 한자말도 ‘우리 말글’로 옮기는 기틀을 안 닦거나 못 세웠습니다. 새술을 새자루에 담듯, 새길은 우리 새말로 담는 넋을 언제쯤 헤아릴 수 있을까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2.12.3.

숨은책 790


《페스탈로찌, 人類의 敎師》

 오사다 아라타(長田 新) 글

 이원수 옮김

 신구문화사

 1974.5.1.



  2005년에 태어난 아이는 이해 언저리에 나온 책을 모릅니다. 1975년에 태어난 몸이라 이해 언저리에 나온 책을 몰라요. 그래도 1993년까지 푸른배움터를 다니며 책마실을 다닌 인천 마을책집에는 ‘안 팔린 채 묵은 1970년대 첫무렵 손바닥책’이 제법 있었습니다. 푸름이일 적에는 ‘서문문고’하고 ‘박영문고’를 하나둘 사읽었고, 1994년부터 서울 골골샅샅 헌책집을 누비면서 ‘신구문고’를 마주하며 눈길을 틔웠습니다. 이 가운데 ‘新舊文庫 23’인 《페스탈로찌, 人類의 敎師》는 이름으로만 알던 페스탈로치라는 어른이 왜 어른이요, 아이 곁에서 어떤 배움살림을 폈는지 상냥하면서 쉽게, 또 낱낱이 풀어내더군요. 더구나 옮긴이가 어린글꽃(어린이문학)을 펴는 이원수 님이더군요. 예전이나 오늘이나 우리나라는 아직 배움수렁(입시지옥)이 끔찍합니다. 이름은 배움터(학교)이되, 삶도 살림도 사랑도 등진, 배움길이 아닌 죽음길이라고 느껴요. 살림꽃(밥짓기·옷짓기·집짓기)하고 너무 먼 우리나라 배움터를 오래 다닐수록 오히려 사랑을 잊으면서 잃지 않을까요?


페스탈로찌는 드디어 50인의 빈민 아동을 목표로 하여 빈민 학교를 세우고 스스로 거기에 나서서 아동을 모아 왔다. 그는 이 아이들과 같이 여름에는 땅을 갈고 겨울에는 면화를 실이나 베로 가공하여 경영을 유지하려 했다. 특히 그렇게 함으로써 아이들의 마음에는 다만 빈곤을 극복하여 자신을 자립으로 끌어올리는 노동의 쾌감이 생길 뿐 아니라 자활하면서 그들이 내적인 여러 가지 힘을 키울 수 있다는 것이 페스탈로찌의 신념이었다. 그로 하여금 말하게 한다면 노동을 하는 사이에 지적 도덕적 및 종교적 여러 힘은 말하기·읽기·쓰기·외기 등에 의하여 연습되고 강화되지 않으면 안 된다. 물론 이 큰 세대에서는 사랑이 그 수호신이 아니어서는 안 된다. 더우기 아이들의 마음속에 모든 인간적인 고상함과 위대함을 자각케 하고, 그리고 그것을 공고히 하는 가정의 힘은 그 수호신으로서의 사랑 가운데 들어 있어서 거기서부터 흘러나온다. 이러한 수호신이 페스탈로찌의 빈민 학교를 강력히 지배했다. 그러나 페스탈로찌가 그들의 식탁에서 같이 먹어도, 아니 그들에게는 맛난 감자를 먹이고 자기는 험한 음식을 먹어도 이 훌륭한 사람은 그들에게서 비난을 받았다. 관청도 그를 원조해 주지 않았다. 물론 그에게는 이런 사업에 대한 세세한 지식이 없었다. 그래서 채무는 점점 불어 가서 1780년에는 학교를 해산하는 비운에 빠지게 되고 말았다. (47쪽)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2.12.3.

숨은책 776


《Van Gogh, Auvers sur oise》

 Fernand Hazan 엮음

 Fernand Hazan

 1956.



  손으로 책을 쥐면, 숲에서 자라던 나무가 품은 숨결이 번집니다. 셈틀이나 손전화를 켜서 읽으면 ‘줄거리’를 훑을 뿐이지만, 나무한테서 얻은 종이로 묶은 책에는 ‘해바람비를 머금고 살던 숲빛’이 흐릅니다. 1994년에 서울 한국외대 네덜란드말 학과에 갓 들어갈 즈음, 책숲마실을 즐기는 윗내기(선배)한테서 서울 홍대 앞에 〈글벗헌책가게〉라는 곳이 있으니 찾아가 보라는 귀띔을 들었어요. 아직 한창 추운 2월 한복판에 혼자 찾아가서 개미굴 같은 골마루를 누빕니다. 《연려실기술》을 살폈고 《Van Gogh, Auvers sur oise》를 골랐습니다. 헌책집지기는 “젊은이는 뭘 배우는데 영 다른 두 책을 고르나?” 하고 묻습니다. “네덜란드말을 배워서 통·번역 하는 일을 하려고요. 네덜란드 살림을 담은 그림도 보고, 우리 발자취를 담은 이야기도 읽으려고요.” 이날 장만한 ‘환 호흐(반 고흐)’ 조그마한 그림책을 한 해 내내 주머니에 꽂고서 틈틈이 들여다보았습니다. 만나는 이웃이나 동무한테 으레 보여주면서 “프랑스에서는 이렇게 작고 이쁘게 멋진 책을 다 내네. ‘오베르 쉬르 와즈’를 느낄 수 있어.” 하고 속삭였습니다. 2001년 무렵, 우리 집에 놀러온 어느 분이 작은책을 훔쳐갔습니다. 다시 만나기 어려운 책을 울면서 그리다가 스무 해 만에 헌책집에서 다시 만났어요. 살살 쓰다듬었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