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집놀이터 / 숲노래 사랑꽃 2022.12.31.

숲집놀이터 280. 매이다



집을 ‘짓’는다. 집에서 ‘지낸’다. ‘지그시’ 흐르는 하루를 집에서 누린다. 노래하고 하늘을 날아오르며 열매랑 꽃씨랑 꽃망울을 누리는 새가 알을 포근히 품으려고 여미는 곳을 둥지나 보금자리라 하는데, 사람이 사는 집이 둥지답거나 보금자리답다면 사랑이요, 둥지나 보금자리하고 멀다면 ‘짐’이다. 어느덧 너무 많은 아이들이 배움터(유치원·학교·학원)에 너무 오래 매인다. 너무 많은 어버이는 일터(회사)에 매인다. 아이도 어버이도 “어릴 적에 어버이한테서 사랑받아 자란 나날”을 누리거나 나눌 겨를이 없다시피 하면서, 다들 머리에 부스러기(지식)는 많이 쌓되, 사랑은 잊다가 잃지 싶다. 집배움하고 틀배움(제도권교육)이 너무 벌어졌을 뿐 아니라, 이제 집배움은 가뭇없이 사라졌다고 할 만하기에, 이 틈을 바꾸지 않으면, 스물을 넘어가는 젊은이가 삶과 살림과 사랑이라는 길을 놓치기 쉽다고 느낀다. 나라(정부)가 틀배움(제도권교육)에 마음을 써야 하기는 하되, 우리 스스로 집배움하고 마을배움하고 숲배움을 팽개치면서 일터에 지나치게 매인다면, 나라 앞날보다도 우리 보금자리 앞날이 시커멓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집놀이터 / 숲노래 사랑꽃 2022.12.24.

숲집놀이터 279. 너랑 나



아이를 언제 낳는가? 아이는 언제 태어나는가? 어버이 자리에서는 “언제 낳는가?”라면, 아이 자리에서는 “언제 태어나는가?”인데, 어버이로서는 바깥일도 집안일도 알맞게 가누면서 스스로 온하루를 오늘에 이바지하는 길을 새롭게 열어야 하는구나 싶을 무렵 아이를 낳는구나 싶다. 아이로서는 어버이가 스스로 기운내어 활짝 웃고 노래하고 춤추고 놀도록 북돋아야 하는구나 싶을 무렵 태어나는구나 싶다. 어버이하고 아이는 ‘하루(시간)’를 같이 보내려는 사이인 사람이다. 아이하고 어버이는 ‘오늘(시간)’을 함께 누리려는 사랑인 사람이다. 아이들이 붓을 쥐며 날마다 천천히 꿈을 짓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어버이로서 나도 새삼스레 기운을 내어 하루를 짓는 그림을 마음에 띄운다. 넌 종이에 담으렴. 난 마음에 담을게. 너도 마음에 꿈을 사랑으로 옮길 테지? 나도 종이에 꿈을 사랑으로 차곡차곡 여밀게.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2023.1.6.

수다꽃, 내멋대로 32 안 읽는 신문



  1988년에 태어난 〈한겨레신문〉이라지만, 푸름이로 살던 열넷∼열아홉(1988∼1993) 살에는 아예 몰랐고, 인천을 떠나 서울에서 열린배움터(대학교)를 다니던 1994년에 비로소 알았다. “이런 신문이 다 있네요?” 하고 윗내기한테 물었더니 “몰랐니? 그런데 〈한겨레〉도 이제 바뀌었어. 신문 같지 않아.” 하더라. “왜요? 그래도 읽고 배울 여러 가지가 있지 않아요?” “스포츠와 연예와 주식이 읽고 배울 이야기이니? 쓰레기이지!” 틀림없이 윗내기 말마따나 얄딱구리한 글이 제법 있되, 그래도 안 얄딱구리한 글도 많다고 여겼다. 이듬해인 1995년에 〈한겨레신문〉 이문·휘경 지국에 새뜸나름이(신문배달부)로 들어갔다. 막내인 내가 새벽일을 마치고 새벽밥을 끓여서 차리면, 지국장을 비롯한 언니들이 좁다란 칸(지하 살림방)에 둘러앉아 담배를 뻑뻑 태우면서 새뜸을 읽는데 “어떻게 〈한겨레〉조차 이 따위로밖에 못 쓰냐? 얘네(기자)들이 이렇게 쓰면, 신문값 걷으러 다니는 우리(배달부)가 사람들(독자)한테 욕을 먹잖아? 우리가 글을 쓰지 않고, 우리는 신문을 돌릴 뿐인데!” 새뜸나름이는 서로 새뜸을 돌려읽는다. 〈한겨레〉 지국은 〈한겨레〉만 돌려서는 굶기에, 으레 〈스포츠서울〉하고 〈서울신문〉을 같이 돌렸다. 조·중·동 새뜸나름이는 스포츠신문을 얻으려고 저희 새뜸하고 바꾸자고 늘 찾아온다. 저절로 ‘10대 일간지’를 새벽마다 모두 읽는 나날이었는데, 싸움터(군대)를 다녀온 뒤에도 날마다 열 가지 새뜸을 새벽마다 읽으며 헤아리노라면 ‘기자들은 참말로 책도 다른 새뜸도 안 읽고 스스로 배우려고 안 하는구나’ 싶더라. 2001년에 《보리 국어사전》을 짓는 엮음빛(편집장)으로 들어가서 일하자니 펴냄터 어른(대표)이 “우리가 의리 때문에 〈한겨레〉를 보기는 했는데, 이제 아무래도 끊어야 하지 않겠니?” 하고 얘기했다. 그래도 2003년까지 꿋꿋하게 받아서 읽다가 드디어 끊었다. 더는 보아줄 수 없다고 여겼다. 2023년 1월 6일에 ‘대장동 이재명 뒷돈’과 얽혀 〈한겨레〉 편집국 어느 기자가 6억 원을 낼름 받은 적이 있다는 일이 터져나온다. 〈한겨레〉 편집국 기자는 2019년에 덥석 받았다지. 언뜻 보면 그 한 가지가 이제서야 터진 셈이지만, 이 하나만 있다고 여긴다면 크게 놓치게 마련이다. 어디 이 일 하나뿐이겠는가. 터져나오지 않은 말썽하고 잘못이 그동안 얼마나 많았겠는가. 어느 분은 “그래도 조·중·동보다 낫지 않습니까?” 하고 감싸는 말을 한다만, 모든 말글은 ‘누가 누구보다 낫거나 나쁘다’고 가를 수 없다. 말썽은 티끌도 얼룩도 똑같이 말썽이다. 잘못은 100원을 먹든 100억을 먹든 똑같이 잘못이다. 옛말에 ‘바늘 도둑이 소 도둑이 된다’가 있다. 거짓말이 아닌 참말이다. ‘대장동 이재명 뒷돈’과 얽힌 6억 원에 이르기까지 얼마나 숱한 ‘바늘도둑’이 있었는가 하고 되새길 노릇이다. 벼슬자리(공무원)도, 길잡이(교사)도, 글바치(기자·작가·문인)도, 스스로 아름답게 일한 땀방울 값만큼 벌어서 알맞게 쓸 적에 비로소 그들 자리를 지킬 만하다. 도둑은 도둑질 값을 사슬터(감옥)에 들어가서 달게 받을 노릇이다. 훔침글(표절·도용)을 일삼은 글바치는 글밭에 아예 발을 못 들이도록 쫓아내야 한다. 바늘 도둑은 왜 소 도둑이 되는가? 그들 잘못값을 우리가 너무 이쁘게 봐준 탓이다. ‘훔침글꾼(표절작가)’은 모든 책을 책숲(도서관)·책집에서 다 뺄 노릇이고, 도둑놈은 모든 살림을 붙들(압류) 노릇이다. 나라가 나라답고 글이 글답고 사람이 사람다우려면, ‘사람은 안 미워하더라도, 잘못한 값은 톡톡히 치를’ 일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2003년부터 〈한겨레신문〉을 끊었다. 2023년은 이 새뜸을 끊은 지 어느새 20돌이다. 조·중·동도 기득권 신문이지만, 한겨레·경향·오마이도 똑같이 기득권 신문이 된 지 오래이다. 모든 신문은 ‘새뜸’이란 우리말 이름이 창피할 만큼 하나도 안 새롭고 고리타분하다. 2023년 1월 6일에 〈한겨레신문〉 편집국 기자가 예전(2019년)에 ‘대장동 검은돈’하고 얽혀 6억 원을 몰래 집어삼켰던 일이 불거졌다. 바늘 도둑은 소 도둑으로 가게 마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숲노래 만화책 2023.1.5.

숨은책 760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1》

 미야자키 하야오

 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00.11.25.



  곧잘 지난일을 떠올립니다. 푸른배움터를 여섯 해 다닐 적에는 새벽 일찍 일어나서 캄캄길을 걸었고, 인천하고 서울을 전철로 오갈 적에는 집에서 떠나는 첫 버스를 타고 움직였습니다. 날마다 사람물결이 가득한 인천·서울길이나 수원·서울길이나 의정부·서울길은 그야말로 불수레(지옥철)예요. 그때 그 불구덩이를 견딘 힘은 오직 책 한 자락입니다. 밀리고 밟히고 눌리면서도 한 손에 책을 쥐는데, 아직 바람이(에어컨)가 없던 낡은 칸마다 미닫이를 열면 문득 나비가 팔랑거리며 들어와서 사람바다 위로 가볍게 날다가 다시 밖으로 나가더군요. 멍하니 보았어요. 이토록 많은 사람들이 서울에 일터·배움터를 두고 오가는 얼거리는 ‘얼른 서울에 들어가’거나 ‘얼른 부릉이(자가용)를 몰아야’ 한다고 일깨우는 셈일까요? 또는 서울굴레를 벗어나 조용히 시골로 옮기며 흙을 밟아야 한다는 뜻일까요?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1》를 처음 읽던 2000년에는 서울 한복판에서 책을 팔며 일했고(출판사 영업부), 일을 마치면 서울 곳곳 헌책집에 들러 철마다 다른 바람과 책빛을 쐬었습니다. 숲이 있기에 종이를 얻어 책을 짓는데, 숲이 있어서 서울은 먹고살며 굴러갈 수 있는데, 우리는 숲길을 잊은 채 아직도 총칼(전쟁무기)을 쥐는 수렁입니다.


ㅅㄴㄹ

#NausicaaOfTheValleyOfWind #風の谷のナウシカ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숨은책 2023.1.1.

헌책읽기 6 남의 문화유산 답사기 1



  척 보아도 어느 책을 따라하되 따라하지 않는 척하는 결을 보여주는 《남의 문화유산 답사기 1》를 1997년에는 알지 못 했습니다. 저는 1997년에 강원 양구 멧골짝에서 날마다 금강산을 맨눈으로 바라보면서 한 손에 총을 쥐었거든요. 1997년 12월 31일에 드디어 강원도 멧골짝 눈밭을 떠나고서 새뜸나름이(신문배달부)로 돌아오는데, 둘레에서 전유성 씨 책이 재미있다고 읽어 보라 말하는 이가 제법 있었습니다. 그러나 슥 보고는 어쩐지 재미없더군요. 스물다섯 해가 지난 2022년에 모처럼 다시 들추자니 첫머리가 남다르네 싶었다가도, 바로 17쪽 이야기부터 내내 재미없더군요. ‘유럽 배낭여행 이야기’를 쓸 생각을 했다면서 막상 ‘방송국에서 대주는 돈으로 널널하게 다닌’ 발걸음으로는 뼛골이든 마음으로든 스밀 만한 이야기하고 멀게 마련입니다. 스스로 다리품에 손품을 팔면서 만난 이웃나라가 아니라, 심부름꾼(통역·짐꾼·운전사)을 거느리는데다가 밥값도 찻값도 술값도 길삯도 스스로 치르지 않으면서 무슨 ‘배낭여행’이 될까요? 이러다 보니 발바닥으로 느끼거나 누린 ‘이웃나라 살림(문화유산)이 아니’라 ‘남들(아는 사람들)한테서 주워들은’ 이야기를 잔뜩 끼워넣고, 주저리주저리 잔소리가 가득합니다. 일부러 힘들게 돌아다녀야 배우거나 느끼지 않습니다. 손쉬운 길로 가서 이름을 얻거나 판다면, 누구보다 전유성 씨 스스로 배울거리가 없을 테지요. 다른 곳(익살판)에서는 이름을 날리거나 팔았을는지 모르나, 글판에서는 영 시답잖구나 싶어요. 구태여 ‘익살스러워 보일 글’을 쓰려고 용을 쓸 까닭이 없어요. ‘남’을 이야기할 까닭도, 남들이 들려준 말을 잘 옮겨서 붙여야 할 까닭도 없습니다. 우리나라를 다리품을 팔아서 돌아다니든 이웃나라를 발품을 팔아서 누비든, ‘내 눈(우리 눈)’으로 보면 될 뿐입니다. 책이름조차 그렇습니다. 유흥준 씨 책이름을 흉내내려 했으면, 차라리 “너네 문화유산 답사기”로 붙였으면 그나마 나았으리라 봅니다.


ㅅㄴㄹ


《남의 문화유산 답사기 1》(전유성, 가서원, 1997.4.15.첫/1997.5.25.10벌)



배낭여행에 웬 촬영팀이냐 하면, 우리 부부가 유럽으로 여행을 간다니까 이왕 가는 거 비디오로 좀 찍어서 방송으로 내보내자는 데가 세 군데 있었다. (17쪽)


잘돼 있다고 소문난 파리 지하철이 알고 보면 굉장히 불편하다는 걸 오래 있어 본 사람이나 유학생들은 안다. 화장실 없지 문도 자동이 아니지 칸마다 왔다갔다고 안 되지. 정말 엄청 불편하다고 한 친구가 말했다. 그러자 다른 한 친구가 대답한다. “야, 임마! 대신 잘 빠진 애들이 많이 타잖아!” 그건 그래!!! (36쪽)


산책을 좋아하는 부모들은 아이들을 유모차에 태우고 역사적인 건물들 사이를 지나고 공원을 지나고 다리를 건넌다. (100쪽)


그런데 다니다 보면 음식을 배달해 먹을 수 있는 한국이 역시 좋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물론 피자는 외국에서도 배달해 주지만. 집에서 시켜먹고 싶은 게, 누워서 편안하게 먹고 싶은 게 어디 피자뿐이랴!!! 그래서 우리는 배달민족이다!! (137쪽)


프랑스 성인 프로그램은 어떻게 보면 일본 것보다 더 야하다. 굉장하다. 충격을 받는다. 수요일, 금요일, 토요일 밤 열두 시 넘어서 케이블TV 채널을 이리저리 돌려 보아라. 공중파는 수요일날 틀어 보아라. 여기 처음 온 사람들은 처음에 열심히 보지만 나중엔 안 본단다. 남이 하는 것 보면 뭘 하냐! 본인이 직접 해야지!!! (229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