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0.11.23.


《동네책방 생존 탐구》

 한미화 글, 혜화1117, 2020.8.5.



마을책집을 노래한 글자락을 마을책집에 보낸다. 처음에는 그림종이에 글붓으로 옮겨적다가, 요새는 그림판에 굵은붓으로 옮겨쓴다. 서른 해를 다닌 마을책집 이야기도 쓰고, 처음 찾아간 마을책집 이야기도 쓴다. 다 다른 마을책집은 다 다른 눈빛으로 온갖 책을 살피면서 하나하나 건사한다. 큰책집은 갓 나와 많이 팔리는 책을 한복판에 둔다면, 마을책집은 책집지기 눈썰미로 고르고 다독여서 ‘이 책부터’나 ‘이 책을 함께’란 마음을 골고루 나누어 준다. 어느 책집이든 저마다 살아가는 길을 간다. 더 옳은 길은 없다. 크든 작든 즐겁고 아름다웁기를 빈다. 《동네책방 생존 탐구》는 ‘아침독서신문’에 꾸준히 실은 글을 모았다. 책이름처럼 ‘마을에 깃든 자그마한 책집이 살아남을 길’을 다루려 했다. 책이야기(출판평론)를 펴는 분이 마을책집을 찾아가고 글을 쓰며 책까지 여미니 반가웁지만, 못내 아쉽다. 왜 ‘생존 탐구’를 해야 할까? 책집에서 ‘생존’이 가장 대수로울까? 얘기(평론)를 하는 이는 ‘어깨동무’보다는 ‘파헤치기(탐구)’를 해야 할까? 어렵게 말하지 않아도 된다. 모든 책집이 책을 똑같이 받도록(공급율 일원화) 하고, ‘도매·소매·유통’을 같이 못하도록 하면 된다. 목소리 내는 자리에 있다면 그런 글을 쓰시길.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0.11.22.


《열다섯 마리 개》

 앙드레 알렉시스 글/김경연 옮김, 삐삐북스, 2020.9.1.



기운을 되찾자면 안 먹거나 안 마시면 된다. 맨발로 풀밭에 서서 해바라기를 하면 된다. 나무를 쓰다듬고 들풀을 노래하면 된다. 인천이란 고장에서 살 무렵에는 골목마실을 하며 만나는 골목꽃하고 골목나무가 기운을 북돋아 주었고, 시골에서 사는 오늘은 우리 보금자리를 둘러싼 풀꽃나무가 기운을 살려 준다. 너희가 더없이 아름답구나. 나도 너희처럼 푸르게 싱그럽게 즐겁게 노래하는 하루가 될게. 《열다섯 마리 개》를 앉아서 읽다가 누워서 읽다가 마을빨래터를 치우다가 읽는다. 열다섯 마리 개가 ‘사람하고 같은 마음’이 될 적에 어떤 일을 치르거나 마주하면서 살아가는가를 다룬다. 거꾸로 헤아려 본다. 사람은 개나 고양이하고 같은 마음이 되면 어떤 삶이 될까? 사람은 풀꽃나무나 새나 바다벗 같은 마음이 되면 어떤 살림이 될까? 아무래도 오늘날 사람들은 끔찍하도록 한켠으로 치달을 뿐 아니라, 큰고장에서 서로 못 잡아먹어 안달이 나는 모습으로 얽힌다. 열다섯 마리 개는 모두 큰고장에 머물면서 ‘사람 같은 마음’이기에 꽤나 버겁네 싶다. 이 개들이 큰고장을 떠나 시골이나 숲에 깃들어 시골개나 숲개가 되었다면 줄거리는 꽤 달랐으리라 본다. ‘서울사람 마음’이 나쁘다기보다 ‘숲사람 마음’을 개도 만날 수 있었다면 …….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0.11.21.


《스미레 팡파레 1》

 마츠시마 나오코 글·그림/김명은 옮김, 텀블러북스, 2014.4.30.



바깥마실을 다녀와서 이모저모 하고 빨래도 하지만, 까무룩 곯아떨어진다. 밀린 글을 쓰고 이래저래 집일을 조금 건사하다가 무릎이 시큰해서 드러눕는다. 쭉 뻗은 하루이다. 저 크고 묵직한 등짐을 짊어지고서 얼마나 걸었던가. 새벽부터 밤까지 쪽잠조차 못 이루고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을 만나서 얘기하며 기운을 쏟았는가. 꿈결에 갖은 생각이 갈마든다. 시골사람인 나는 어쩌다가 큰고장 이웃을 만나 바깥일을 하면서 기운이 빠져 잠들지만, 큰고장 이웃은 날마다 그 엄청난 바깥일을 하니까 참 놀랍다. 《스미레 팡파레 1》를 읽었다. 진작에 읽으려 하다가 책값이 너무 세기에 미루다가 여섯 해가 되었다. 왜 이 알찬 그림꽃책에 값을 곱배기로 매길까? 일부러 안 팔리게 하려고 그럴까? 그림꽃책은 그저 ‘만화종이’를 쓰면 된다. 뭔가 그럴듯하게 꾸민다면서 값을 올려매겨서 내놓는 판이 생기는데, 이럴수록 사람들은 깊고 너른 삶을 그림꽃으로 만나는 길하고 멀어지지 싶다. 다만, 요즈음 글책을 보노라면 그림꽃책 값은 하나도 안 비싸지만, 그림꽃책이기에 ‘글책 아닌 여느 그림꽃책’하고 값이 너무 맞물려 버겁다. 별밤이다. 며칠 동안 못 본 별빛이다. 이 별빛이 고단한 몸을 풀어준다. 별빛이 흐르는 곳에서 사람은 사람이 된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0.11.20.


《감나무가 부르면》

 안효림 글·그림, 반달, 2017.10.31.



인천에서 아침 일찍 동무를 만난다. 책짐을 우체국에서 부치는데, 언니가 사는 집이 가깝다. 그러나 언니집에 들르면 다음길이 어긋난다. 손따릉을 꺼낸다. 아직 자는 때인 줄 알지만 목소리를 듣기로 한다. 이윽고 씽씽나루로 갔고, 청주로 간 다음, 이곳에 있는 이웃님하고 부안까지 달린다. 인천은 우리나라에서 골목이 가장 아름다운 고장이라고 느낀다. 그래서 2010년에 인천을 떠나며 《골목빛》이란 책을 남겼다. 골목이 빛나는 줄, 골목꽃이며 골목나무이며 골목빨래가 눈부신 줄, 이 고장 벼슬꾼이나 글꾼은 아직도 모르는구나 싶은데, 골목집에서 안 살고 골목이웃을 안 사귀니 그들은 모두 모르리라. 《감나무가 부르면》은 물에 잠긴 마을을 들려주는 그림책이다. 큰아이가 이 그림책을 보더니 “사람들이 나무하고 마을을 물에 가둬서 없앴어?” 하고 묻는다. “그래, ‘사람들’이 살던 곳을 없애고 ‘다른 사람들’이 살려고 하지.” 하고 얘기했다. 높다란 잿빛집은 골목집이 알맞게 너른 마을을 밀어내야 올린다. 빠른길은 숲이웃 터전을 왕창 밀어내야 닦는다. 곰곰이 보면 오늘날 삶터·배움터는 ‘사람 사이’에서도 이웃을 밀쳐내고, ‘사람 아닌 이웃’은 돈(재산·활용가치·부동산·가축)으로만 바라보도록 내몰지 싶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0.11.19.


《셋이서 집 짓고 삽니다만》

 우엉·부추·돌김 글, 900KM, 2020.7.1.



엊저녁에 인천에 닿아 계산동 마을책집 〈책방산책〉을 만났다. 이곳이 처음 열 적부터 눈여겨보았으나 어제 첫걸음이다. 이제 길을 익혔으니 두걸음을 머잖아 새로 하겠지. 오늘은 아침부터 주안동부터 걸어 간석동이며 석바위를 거쳐 구월동하고 만수동에 이르렀다. 책으로 묵직한 등짐을 진 채 골목을 걷자니, 또 슈룹을 들고 빛꽃을 찍자니 만만하지는 않으나 재미있다. 아이를 안고서 인천 골목을 걷던 2008∼2010년이 떠오른다. 만수동 마을책집 〈시방〉에서 다리를 쉬었고, 저녁나절에는 배다리 〈모갈1호〉하고 〈나비날다〉에서 눈을 쉰다. 저마다 다른 마을에서 저마다 다른 손빛으로 가꾸는 책터란, 저마다 다른 숨결로 이웃이랑 노래하는 나날이라. 《셋이서 집 짓고 삽니다만》을 편다. 세 사람이 함께 쓴 책에는 세 사람이 다르지만 똑같이 사랑하려는 책길로 어떻게 하루를 누리는가 하는 이야기가 흐른다. 하나여도 좋고, 둘이어도 좋으며, 셋이어도 좋다. 넷이며 다섯이어도 좋지. 우리는 어디에서나 집을 짓는다. 지낼 집을, 쉴 집을, 놀 집을, 밥을 차려서 아이들하고 도란도란 누릴 집을, 이웃이 찾아올 집을, 새랑 풀벌레하고 어우러지는 집을, 그리고 두고두고 곁에 둘 책 몇 자락을 품는 집을 두 손으로 짓고 마음으로 짓는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