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을 가면서 읽는 책



  큰아이가 걸으면서 책을 읽는다. 자꾸 이렇게 책을 읽는다. 이 아이 모습을 바라보면 내 어릴 적 모습이 겹치니 싱숭생숭하다. 나는 책돌이로 살지 않았으나, 국민학교를 지나 중학생이 된 때부터 갑자기 책돌이가 되었다. 국민학교를 다닐 때에는 노느라 바빠서 놀이돌이일 뿐이었는데, 중학교에 들어서니 그야말로 ‘남자 중학생’은 이렇게 바보에 멍텅구리로구나 하고 느껴서 ‘여기에서 더 바보에 멍텅구리가 되지 말아야겠다’고 생각하면서 책돌이로 거듭났다.


  아마 열네 살 적부터 책돌이였을 텐데, 국민학생일 적에도 가끔 학급문고를 빌려서 책을 읽다가 푹 빠져서, 학교에서 집 사이를 걸어서 삼십 분 즈음 오갈 적에 ‘길에서 책읽기’를 으레 했다. 그때에는 몰랐으나 오늘에 와서 돌아보니, 《초원의 집》 해적판(계몽사에서 나온 판)이라든지, 한낙원 공상과학소설이라든지, 모비딕이라든지, 홍당무나 린드그렌 소설이나 이원수 동화나 메리포핀스나 소공녀나 닐스 같은 책을 손에 쥘 적에는 어떠한 소리도 모습도 못 느꼈다. 건널목을 건너면서도 책을 손에 쥐다가 길 한복판에 우뚝 서느라 빵빵거리는 소리에 깜짝 놀란 적이 잦다.


  삽차가 파헤친 길을 지나가면서까지 만화책을 손에 쥔 큰아이를 뒤에서 지켜보다가 ‘얘야, 책은 집에 가서 보기로 하고, 집에까지 하늘도 보고 신나게 달리면서 가야지.’ 하면서 책을 가방에 넣도록 한다.


  길을 가면서 읽는 책이란 참 재미있지. 나도 그렇게 해 봐서 알지. 그런데, 우리는 시골에서 사니까, 나무를 보고 숲을 보고 구름을 보고 하늘을 보고, 가을에 무르익는 들녘을 보자. 책은 언제 어디에서라도 볼 수 있지만, 가을날 높은 하늘은 바로 오늘 보아야 한단다. 4348.9.1.불.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책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마이뉴스에 <숲에서 자본주의를 껴안다> 기사를 보내면서 쓴 조각글과 사진을 그러모아 본다.


..


시골·숲·책·이야기



  사람들은 가장 쉬운 일을 자꾸 잊습니다. 시골이 있어야 ‘밥을 얻는 들’을 가꾸고, 숲이 있어야 ‘숨을 쉬는 바람’을 누립니다.


  멸치 한 마리를 먹으려면, 먼저 깨끗한 바다가 있어야 하고, 정갈한 손놀림으로 바닷바람과 햇볕에 말리는 바지런한 바닷사람 손길이 있어야 합니다. 멸치는 ‘돈’으로 사서 먹지 않습니다. 바다와 바람과 햇볕과 ‘사람들 손길’로 선물처럼 얻어서 먹습니다.


  전기도 핵발전소도 군부대도, 게다가 대통령이나 판사나 대학교수나 학자가 없더라도, 누렇게 잘 익은 너른 들이 있으면, 누구나 즐겁게 밥 한 그릇을 나눕니다. 그러나, 누렇게 잘 익은 너른 들은 없으면서, 전기나 핵발전소나 군부대다 대통령만 있으면 어떻게 될까요?


  예술이나 벽그림이 없어도 됩니다. 덩굴풀과 들풀이 있으면 넉넉합니다. 문화나 예술이나 사회는 먼 옛날부터 ‘돈’이 아니라 ‘삶’과 ‘숲’을 사랑으로 껴안는 즐거운 웃음으로 지었습니다. 4348.8.15.흙.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책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꽃을 읽고 쓰다



  꽃을 노래하는 사람은 모두 꽃마음이 됩니다. 꽃마음이 되어 부르는 꽃노래를 듣는 사람은 누구나 꽃사랑이 됩니다. 꽃사랑이 되어 온누리를 바라보면 꽃말을 터뜨립니다.


  하늘을 노래하는 사람은 누구나 하늘마음이 됩니다. 하늘마음이 되어 부르는 하늘노래를 듣는 사람은 누구나 하늘사랑이 됩니다. 하늘사랑이 되어 온누리를 헤아리면 하늘말을 터뜨립니다.


  생각하는 대로 삶이 되고, 삶이 되는 대로 노래가 됩니다. 기쁜 노래를 부를 수 있고, 궂은 노래를 부를 수 있습니다. 고운 노래를 부를 수 있고, 미운 노래를 부를 수 있습니다. 어떤 노래를 부르든 모두 우리 삶이 드러납니다. 내가 드러내는 삶은 내 이웃한테 ‘내 삶 이야기’를 들려주고, 이 이야기는 자꾸자꾸 퍼집니다.


  내가 부르는 노래는 언제나 ‘내가 듣는’ 노래입니다. 내가 부르는 노래는 언제나 ‘내가 듣고 싶은’ 노래입니다. 어떤 노래를 부르든 대수롭지 않습니다. 어떤 노래를 부르든 이 노래는 바로 ‘내가 나한테 들려주는’ 노래이기 때문입니다.


  이 책을 읽든 저 책을 읽든 스스로 아름다운 넋일 때에 아름다운 이야기를 누리면서 아름다운 하루를 짓습니다. 스스로 아름답지 못한 넋이라면, 남들이 아무리 아름답다고 하는 책을 손에 쥐어도 내 삶을 나 스스로 아름답게 짓지 못합니다. 이리하여 나는 ‘꽃을 읽고 쓰는’ 하루를 누리려 합니다. 나는 내 삶을 사랑하려는 사람이니까요. 4348.8.10.달.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책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직 한마음이거나 그저 한마음으로



  영어로 ‘only’는 여러 가지를 나타냅니다. “오직”이나 “오로지”를 나타내기도 하고, “그저”나 “다만”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오직”일 때하고 “그저”일 때에는 사뭇 다르다고 여길 만합니다. 그런데, 가만히 헤아려 보면, “오직”하고 “그저”는 그리 다르지 않다고 여길 수 있습니다. “오직 하나뿐이야”하고 “그저 그렇게 흔할 뿐이야”는 사뭇 다를 만하지만, 내가 어떤 마음으로 바라보려 하는가에 따라서 두 가지는 한마음이 될 수 있습니다.


  온누리를 통틀어 딱 하나뿐이라고 하는 “오직”이기에 아름답거나 값질 수 있습니다만, 온누리 어디에나 흔하고 많다고 하는 “그저”라 하더라도 따사로이 아끼는 마음이 되면 하나만 있든 참으로 많든, 나한테는 모두 아름답거나 값집니다.


  꼭 하나만 있기에 더 값지거나 아름답지 않습니다. 내가 바라보는 마음에 따라 달라지는 숨결입니다. 이리하여, 오직 그 책을 얻어서 읽어야 내 마음이 넉넉하게 자라지 않습니다. 그저 흔한 책 가운데 하나를 읽어도 내 마음을 넉넉하게 가꿀 수 있습니다. 언제나 내 마음에 따라 달라집니다. 대단히 값지거나 아름답다고 하는 오직 하나뿐인 책을 손에 넣었어도, 얄궂거나 궂긴 마음이라고 한다면, 나는 대단히 값지거나 아름답다고 하는 책으로 삶을 가꾸지 못해요.


  놀랍거나 훌륭하거나 엄청나다고 하는 지식을 코앞에 마주하더라도, 스스로 마음을 열어야 비로소 놀라운 슬기나 훌륭한 슬기나 엄청난 슬기를 ‘우러르거나 받들거나 섬기는 몸짓’이 아닌 ‘내가 늘 누리는 삶’으로 받아들입니다.


  내가 늘 누리는 삶으로 받아들이는 슬기일 적에는 참으로 수수합니다. 나처럼 내 이웃하고 동무도 ‘늘 누리는 삶’으로 받아들일 테고, 저마다 어디에서나 ‘수수한 슬기’로 가꿀 테니, “그저 흔한” 이야기가 되겠지요.


  다른 것을 따지거나 재거나 살피지 않으면 됩니다. 스스로 아름다운 숨결로 거듭나려고 하는가를 생각하면 됩니다. 다른 것에 얽매이지 않으면 됩니다. 스스로 사랑스러운 넋으로 다시 태어나려고 하는가를 알아차려서 제대로 깨달으면 됩니다. 기쁘게 흐르는 한마음으로 가꾸고, 눈부시게 웃음짓는 한마음으로 돌보면 됩니다. 4348.8.8.흙.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책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골짜기에서 책을 읽을 적에



  골짜기에 깃들어 책을 읽으면 대단히 재미있다. 깊고 깨끗한 골짜기에서는 물 흐르는 소리만 해도 아주 우렁차고, 이 우렁찬 물살 소리를 가로지르는 멧새 노랫소리에다가, 바람이 나뭇잎하고 나뭇가지를 흔드는 소리가 어우러진다. ‘데시벨’로 치면 아주 높은 소리가 퍼지는 골짜기인데, 이런 데에서 책을 손에 쥐면 아뭇소리가 안 들린다. 아주 고요하고 차분하게 책에 사로잡힌다.


  골짜기에 깃들어 책을 읽더라도 눈길을 다른 데에 두면 괴롭다. 이를테면 여름날 휴가철을 맞이해서 시골로 놀러오는 사람들이 골짜기에 함부로 버린 온갖 쓰레기가 눈에 뜨이면 ‘책’이 아니라 ‘쓰레기’에 자꾸 눈길하고 마음이 가고 만다. 골짜기에는 ‘쓰레기를 보러’ 오지 않는데, 휴가철 언저리에는 그만 ‘쓰레기에 눈길이 가’니, 이를 어쩌나? 한 마디로 말해서 마음을 제대로 모으지 못하는 셈이다.


  도시에는 자동차가 아주 많다. 여느 때에 ‘자동차 노래’를 부르는 작은아이는 장난감 아닌 실물 자동차가 쏟아질듯이 넘치기에 눈을 뗄 줄 모른다. 도시에서는 작은아이 손을 붙잡고 걷지 않으면 자동차에 휩쓸리겠다고 느낀다. 그런데 도시에서 사는 사람은 자동차를 안 쳐다본다. 너무 많으니 안 쳐다볼 수 있을 테고, 자동차를 쳐다보면 ‘내 할 일’을 생각하지 못하고 하지 못하니, 쳐다보아야 할 까닭도 없다.


  골짜기에서 책을 읽는다고 할 적에, 골짝물하고 골짝바람하고 골짝나무하고 골짝이웃이 모두 내 마음을 차분하게 다스리도록 돕는다. 그러고 보면, 배우려는 사람들이 깊은 숲이나 절집으로 깃들려고 하는 까닭을 알 만하다. 숲이란 얼마나 아름답고 멋진 곳인가? 사람들이 고요하면서 차분한 마음이 되도록 이끄는 데가 바로 숲이다. 도시라는 곳에도 찻길하고 건물만 있지 않고 너른 숲이 함께 어우러진다면, 도시에서 일하거나 사는 사람 누구나 고요하면서 차분한 마음이 되어 사랑과 평화를 꿈꾸는 삶이 될 수 있지 않을까? 4348.8.6.물.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책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