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를 씁니다 ― 8. 헌책



  헌책집을 1992년부터 다녔습니다. 이해랑 이듬해에는 거의 인천 헌책집만 다녔고, 1994년부터는 서울 헌책집을 두루 누볐습니다. 저는 1992년에 인천 배다리에 있는 헌책집 한 곳에서 책에 눈을 뜨는 놀랍고 기쁜 빛을 보았다면, 1994년에 서울 곳곳에 가득한 헌책집을 두루 누비면서 새롭고 즐거운 꿈을 보았습니다. 2018년 11월 4일에 서울 신촌에 있는 〈글벗서점〉에서 이야기꽃을 펴기로 합니다.  〈글벗서점〉은 1994년부터 드나들었습니다. 헌책집 아이들이 올망졸망 크는 모습을 그무렵에 살짝 엿보았고, 어느새 어른으로 큰 헌책집 아이들이 어머니 아버지 일손을 거드는 씩씩한 손길에서 대견한 빛을 느꼈습니다. 이리하여 제 마음에서 한 가닥 가늘면서 단단한 끈 같은 노래가 흐릅니다. ‘헌책이란 무엇인가’ 하는 노래가, 책이란 무엇이며, 책을 마주하는 손길하고 눈망울이란 무엇인가 하는 노래가 살몃살몃 흐릅니다. 제 삶에서 고등학교 2학년 무렵 문득 만난 헌책집이 있었기에 저는 토막마음이 아닌 온마음으로 삶을 바라보는 길을 익힐 수 있었습니다. 애써 들어간 대학교를 그만두자는 마음을 씩씩하게 품은 까닭도 그래요. 한국에서 대학교가 젊은이를 못 가르쳐도 헌책집이 가르쳐 주는구나 하고 깨달았어요. 책으로만 배우지 않습니다. 새책으로만 배우지도 않아요. 모든 책으로 배우고, 낡은 책을 손질하고 다듬어서 새롭게 꽃피우는 헌책집 일꾼 마음을 배웁니다. 헌책집을 드나들면서 책집이란 나무가 도시에서도 살아가는 터전이 되는 줄 배웠어요. ㅅㄴㄹ

  


헌책


헌책집에 가기 앞서까지

헌책이 있는 줄

까맣게 몰랐지만

헌옷 헌집은 알았지


헌옷을 손질해 물려입고

헌집을 고쳐 새로 사니까

헌책을 닦고 매만져

새책으로 나누겠지


나한테는 똑같은 책

펴서 읽으면 같은 줄거리

나로서는 새로운 책

새책도 헌책도 모두 첫책이야


아직 모르는 얘기를 배워

이웃 손길을 함께 느껴

오래되면서 새로 태어난

깊은 책나라로 날아올라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를 씁니다 ― 6. 뜰



  바깥마실을 하는데 곁님이 만날 이웃님이 있어, 그분이 계신 곳으로 찾아가려는 길입니다. 서울 한켠에서 스스로 새롭고 재미난 일을 하시는구나 하고 떠올리다가 문득 ‘뜰’이라는 낱말이 찾아옵니다. 요새는 뜰이라는 낱말이 사그라들지 싶지만, 이 뜰이라는 낱말을 가슴에 품고서 보금자리를 가꾸는 분도 제법 있습니다. 낱말 하나가 사라진다면 우리가 스스로 그 낱말에 깃든 삶을 등지기 때문입니다. 낱말 하나가 싱그러이 기운을 내며 우리한테 빛이 된다면 우리가 스스로 이 낱말에 서린 삶을 사랑하면서 가꾸기 때문입니다. 우리 스스로 숲을 사랑하고 아끼면서 돌볼 줄 아는 삶이라면 숲이라는 낱말은 뜻이나 결이나 쓰임새가 차츰 늘면서 더욱 새롭기 마련입니다. 우리가 사랑이라는 낱말을 제대로 바라보면서 보살피는 손길이나 숨결이라면 사랑이라는 낱말은 뜻이나 결이나 쓰임새가 꾸준히 늘면서 한결 새로울 수 있어요. 뜰이란, 뜨락이란, 앞뜰 뒤뜰 옆뜰이란 어떤 곳일까 하고 생각해 봅니다. 내가 살아가고 아이들이 살아가며 이웃이 누릴 뜰은 어떤 터전일까 하고 어림합니다. 이 커다란 서울이란 고을에 찻길이나 겹겹이 높은 집보다는 나무가 우거진 숲이 깃들면 좋겠습니다. 사람들 가득한 이 서울이란 곳에 으리으리한 가게나 놀이시설보다는 풀밭에 풀벌레가 노래하며 아이랑 어른 모두 뒹굴거나 드러누워 해바라기를 할 수 있는 터전이 하나하나 늘면 좋겠습니다. 누구나 뜰을 누리고, 모두 뜰을 일구고, 어디에서나 뜰이 아름다우면 좋겠습니다. ㅅㄴㄹ




우리 집 뜰에는

겨울 들머리까지도

작은 풀개구리가 같이 살고

억새도 씨앗 날려 함께 살아


이웃에 있는 옆뜰에는

가을마다 온갖 새가 찾는

우람한 감나무에

잘 익은 감알이 주렁주렁


할머니네 뒤뜰에는

닭우리에 호박밭에 꽃밭에

아기자기 가지런하면서

으름덩굴 울타리도 있어


너희 집 앞뜰에는

누가 같이 사니?

어떤 나무가 있니?

무슨 꽃이랑 풀이 흐드러지니?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를 씁니다 ― 5. 고요



  2018년 10월 18일에 인천 율목도서관에서 이야기꽃을 폈습니다. 이날 율목도서관에서 이야기꽃을 펴다가 갑자기 떠올랐는데, 제가 인천에서 국민학생으로 살던 1980년대 첫무렵에 도서관이 궁금해서 저희 집에서 가장 가까운 도서관인 이곳에서 책을 보고 싶다는 마음으로 동무하고 찾아갔는데, 도서관지기가 저희를 바로 내쫓았어요. “여긴 애들이 오는 곳이 아냐. 중학생이 되면 그때 와.” 하고서 얼른 나가라 하더군요. 그때 도서관지기가 어떤 말결이나 목소리로 저희(국민학생)를 내쫓았는지 모르겠으나 매우 무서웠고, 국민학교를 마치기까지 도서관 가까이에는 얼씬도 안 했습니다. 그 뒤 중학생이 되어 도서관이란 데를 가면서 보니, 인천에 있는 모든 공공도서관은 입시생이 입시공부를 하는 곳이더군요. 그무렵 ‘독서실’이 책을 읽는 자리가 아니라 시험공부를 하는 곳이었듯 그무렵 인천에서 도서관은 책을 건사해서 나누는 터가 아니었습니다. 아마 인천에 있던 도서관에 어린이책은 아예 없거나 몇 권 없었을 수 있어요. 게다가 도서관에 ‘책을 빌리러 오’거나 ‘책을 읽으러 오’는 사람이 있으리라고도 여기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그 뒤로 서른 해 남짓 흐른 2018년 한가을에, 율목도서관을 돌보는 도서관지기가 저한테 대뜸 한 마디를 합니다. “저희 ‘율목도서관’에 동시를 하나 써 주셔요.” 가슴이 찌릿했습니다. 도서관에 바치는 동시라니, 이 얼마나 사랑스러우면서 아름다울까요! 온누리 어린이한테, 인천을 보금자리로 삼는 이웃님한테 상냥하면서 기쁜 노래를 띄워 봅니다. ㅅㄴㄹ



고요


신명나게 수다잔치 하다가

한 사람이 문득 말을 멈추니

모두 갑자기 입을 닫아

낯설면서 새삼스러운 고요


한 사람 두 사람 열 사람

푹 빠져든 이야기로 날아가며

어느덧 아무 몸짓도 소리도 없이

서로 다른 즐거움 흐르는 고요


고요한 수다판이 되니

개미가 책상 타고 기어가는 소리

나비가 팔랑거리며 내는 소리

아주아주 크게 들린다


고요한 책터가 되니

책이 되어 준 나무가 살던

저 먼 숲에서 찾아든 바람

눈으로 보고 살갗으로 느껴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를 씁니다 ― 4. 한글

 

  저는 한국말사전을 짓는 일을 하니 늘 글을 쓰는 셈인데, 정작 ‘글·한글’을 놓고서 넓거나 깊게 헤아리며 이야기를 한 일이 드물다고 몰록 느꼈습니다. 누구보다 저 스스로 글이랑 한글이 무엇인가를 선물처럼 받고 싶은 마음에, 바로 제가 저한테 선물로 주고 싶은 글월을 적었습니다. 이 글월을 적는 동안 우리 집 두 아이가 떠올랐고 곁님이 떠올랐어요. 이다음으로 온누리 모든 아이랑 어른이 떠오르며, 사람을 둘러싼 뭇숨결이 떠오르더군요. 사람은 글하고 말을 다룬다면, 뭇목숨은 발자국하고 소리를 다루어요. 사람은 글하고 말 사이에서 노래를 짓고, 뭇목숨은 발자국하고 소리 사이에서 노래를 짓습니다. 우리는 바람을 마시고 비를 먹으며 해를 쬐면서 새롭게 산다면, 바람이랑 비랑 해는 사람이 짓는 삶에서 피어나는 사랑을 받아들이면서 새롭게 빛날 수 있겠구나 싶어요. 그냥 쓰는 말이란 없고, 그냥 태어난 글이란 없지 싶습니다. 모두 즐거운 삶에서 지은 사랑을 바탕으로 태어난 말이 있고, 이 즐거운 말을 기쁘게 담아낼 글을 엮었구나 싶어요. 나라나 겨레마다 말하고 글이 다른 까닭이라면, 나라나 겨레마다 삶터가 다르고, 이 다른 삶터에서 짓는 살림이 다르니, 다 다르면서 같은 결인 사랑이 샘솟아서 흐르는 바람이나 비나 해도 다르면서 같은 결을 글씨나 말씨에서 드러내겠지요. 한글이 아름답기에 영어도 한자도 가나도 히브리 글씨도 아름답습니다. 우리가 쓰는 말이 곱기에 너희가 쓰는 말도 나란히 곱습니다. ㅅㄴㄹ

 

한글

 

우리가 쓰고 읽는 글은
우리가 나누는 말은
두 눈으로 알아보도록 빚은
또렷하고 가지런한 그림

 

이 땅에서 읽고 적는 한글은
이 땅에서 살림짓고 살면서
사랑스레 슬기로이 생각하 숨결
새롭게 담으려고 엮은 그릇

 

네가 띄워 내가 읽는 글월
내가 옮겨 함께 읊는 노랫말
하늘 바람 해 비 눈 꽃
모두 실어서 같이 즐기는 얘기바구니

 

물소리 새소리 말소리 노랫소리
글로 받아적으니 새넋 흘러
눈짓 손짓 몸짓 낮짓
한글로 옮겨내니 ㄱㄴㄷ 춤춰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를 씁니다 ― 3. 사랑



  아이들이 새끼 고양이를 주웠습니다. 말 그대로 주웠습니다! 우리 집 두 아이가 마을을 휘휘 돌며 놀다가 어느 한켠에서 버려진 새끼 고양이를 보았대요. 처음에는 누가 기르나 싶어 두리번거렸지만, 앙상한 새끼 고양이가 배고파서 울어대는 모습을 보고는 안 되겠다 싶어서 얼른 안고서 집으로 돌아왔대요. 이 새끼 고양이를 씻기고 먹이고 재우면서 기운이 돋게 하고, 아무리 찾아도 어미가 나타나지 않아서 천으로 똥꼬를 살살 닦으며 새끼 고양이가 스스로 똥을 누도록 이끌어 줍니다. 우리는 때때로 집을 비우고 며칠씩 마실을 다니기도 하는 터라, 나중에 집을 비울 적을 헤아려 이 새끼 고양이를 한동안 데리고 다녀야겠구나 싶어서 순천 시내까지 가서 고양이 들집을 하나 장만했습니다. 아이들이 묻더군요. “품에 안고서 기차나 버스를 타면 안 돼?” “기차나 버스를 타는 사람들은 들집에 고양이나 개를 넣고 타지 않으면 싫어해. 들집이 없으면 사람도 탈 수 없어. 고양이나 개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싫어하는 사람도 있고, 고양이나 개나 버스나 기차에서 마구 뛰어다니면 그곳 일꾼을 괴롭힐 수 있으니 꼭 들집에 깃들도록 해서 함께 다녀야 해.” 사랑은 어디에서 비롯할까요? 눈여겨볼 줄 아는 마음에서, 눈여겨본 뒤에는 기꺼이 손을 내미는 몸짓에서, 생각하여 움직였으면 즐겁게 노래하는 하루에서, 시나브로 피어나는 사랑이지 싶습니다. 아이들이 가르치고 이끌어 주기에, 순천에서 고흥으로 돌아오는 시외버스에서 글줄을 적을 수 있어요. ㅅㄴㄹ



사랑


우리는 말하지 않아요

우리는 살림을 하고

사랑을 하고 놀이를 하며

저절로 말이 태어나요


우리는 글쓰지 않아요

우리는 하루를 가꾸고

이야기를 가꾸고 사랑을 가꾸며

가만히 글이 자라요


우리는 밥먹지 않아요

우리는 흙을 짓고

사랑을 짓고 노래를 지으며

넉넉히 밥을 나눠요


우리는 잠들지 않아요

우리는 꿈을 품고

생각을 품고 사랑을 품으며

새롭게 눈떠서 날아요


(숲노래/최종규 . 삶노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