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를 씁니다 ― 38. 모레



  아이들을 이끌고 이웃집에 다녀왔습니다. 이웃집으로 가는 길에 노래꽃을 한 자락 적었습니다. 오늘 하루 무엇을 하는지 돌아보고, 어제하고 모레에는 또 무엇을 하면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니, 저절로 ‘모레’라는 낱말을 바탕으로 때를 매겨 보고 싶었어요. 저는 이런 말을 늘 쓰기에 늘 아무렇지 않은데, 뜻밖에 둘레에서 ‘모레’나 ‘글피’라는 낱말을 처음 듣는다는 분을 꽤 보았어요. ‘그끄제’ 같은 말이 한국말이냐고 묻는 분도 보았고요. 어른부터 이런 낱말을 모르고 안 쓴다면, 아마 뭇아이도 이런 낱말을 듣거나 볼 일도 없겠구나 싶어요. 듣거나 볼 일이 없으면 생각할 일도 없을 테고, 생각할 일도 없으면 쓸 일도 없을 테지요. 우리 마음에 씨앗이 될 말이 깃들거나 흐르지 않는다면 생각이 자라기 어렵습니다. 생각이 자라기 어렵다면 뜻을 펴는 길이 곧잘 막힐 테고, 자꾸 막힌다면서 투정이나 골을 부리기 쉬워요. 말을 알고 생각한다고 할 적에는, 뭇말을 바탕으로 새롭게 꿈꾸고 사랑하는 길을 스스로 찾는다는 뜻입니다. 하루하루 살아가며 모레를 바라보고 걸을 줄 안다면, 살림하는 기쁨을 스스럼없이 노래하면서 활짝 피어난다는 뜻입니다. 한 걸음씩 걸어와서 오늘이 됩니다. 두근두근하는 가슴을 다독이면서 부풀어오르기에 어제 디딘 발자국이 환하게 깨어납니다. 모레는 먼 앞날일 수 있지만, 코앞에 찾아드는 상냥한 바람 한 줄기일 수 있습니다. ㅅㄴㄹ



모레


그제는 된장국 했고

어제는 미역국 했고

그끄제는 감자국 했고

오늘은 달걀국 했고


어제는 민들레씨 날렸고

그끄제는 바람개비 날렸고

오늘은 머리카락 날렸고

그제는 물방울 날렸고


그끄제는 소꿉을 놀았고

오늘은 염소랑 놀았고

그제는 벌나비랑 놀았고

어제는 다 같이 놀았고


다가오는 날에는

하루 지나고 모레 오면

글피 지나고 보름 되면

또 새로운 재미일 테지


(숲노래/최종규 . 노래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를 씁니다 ― 38. 꾸러미



  영화 〈말모이〉가 나왔습니다. 이 영화를 보신 분이 퍽 많습니다. 이 영화가 나와서 참으로 많은 분이 보시기 앞서까지 ‘말모이’라는 이름은 아주 구석자리에 밀려난 채 조용히 스러지던 참이었습니다. 이제는 ‘말모이’를 섣불리 얕잡거나 깔보는 물결은 웬만해서는 안 일어날 만하지 싶습니다. “말을 모았”으니 ‘말모이’라 할 뿐인 줄, 글을 모으면 ‘글모이’가 되고, 책을 모으면 ‘책모이’가 되는 줄 찬찬히 헤아리기도 하겠지요. 곰곰이 보면 옛어른은 ‘사전’이라는 한자말을 우리 나름대로 ‘말모이’라는 이름으로 담아냈구나 싶습니다. 이런 이름도 무척 어울립니다. 좋아요. 그러나 저는 그리 와닿지 않았어요. 저는 좀 새롭게 낱말을 살피고 싶더군요. 그렇다고 마땅하다 싶은 이름을 얻지 못했어요. 1994년에 ‘낱말책’이란 이름을 지은 적이 있습니다만, 어쩐지 엉성하다고 여겼어요. 이러다가 2019년 올봄에 머리를 벼락처럼 스치는 한 마디가 있어요. ‘꾸러미’예요. ‘꾸리다’하고 맞물리는 이 낱말은 “짐을 꾸려 집을 옮기다”나 “짐을 꾸려 마실을 가다”처럼 씁니다. ‘꾸리다·꾸러미’는 모든 짐을 다 챙기거나 모으는 모습이나 몸짓을 가리키지 않아요. 온갖 짐 가운데 꼭 쓸 만한 짐을 바로바로 쓰기 좋도록 건사하거나 가지런히 갈무리하는 모습이나 몸짓을 가리켜요. 사전이라는 책이 그래요. 모든 낱말을 통째로 싣지 않아요. 온갖 낱말 가운데 우리가 삶이며 살림이며 사랑이며 사람을 새롭게 바라보고 배우도록 북돋울 낱말을 알뜰히 추려서 정갈히 갈무리합니다. 그러니 ‘꾸러미 = 사전’이에요. ㅅㄴㄹ



꾸러미


바람이 확 불어

나뭇가지가 손뼉치는 물결

차르랑차르랑 들으며

냉이꽃 한 묶음 뜯어


햇빛이 쭉 들어

감나무 새잎 반짝반짝 웃음

눈이 부신 아침에

시금치 두 단 무치지


실개울이 조르롱 흘러

송사리 무리 헤엄치는 놀이

오솔길 달리다가

시원한 숨 세 모금 들이켜


아버지는 우리 쓰는 말

차곡차곡 모아서

가지런히 옮겨적더니

재미난 말꾸러미 지어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를 씁니다 ― 37. 글



  글을 늘 쓰면서 막상 ‘글’이란 낱말을 풀이하지 않았더군요. 예전에 다 했다고 여겨 잊고 지냈다고 깨닫습니다. 여러 곳에서 ‘글’ 이야기를 했으니 곳곳에서 새롭게 뜻풀이를 했으리라 여기기도 했습니다. 여느 사전에 아직 못 담긴 ‘글’ 쓰임새를 비롯해서, 오늘 우리가 새롭게 바라보는 ‘글’을 아우르면서 뜻풀이를 차근차근 새로 붙입니다. 이러고 나서 어린이가 글을 즐거우면서 재미있고 뜻깊은 눈길로 바라보면 좋겠다고 생각하면서 동시를 씁니다. 이야기를 알기 쉬운 그림으로 담아서 글이라고, 사랑을 마음에 생각으로 심어서 글이라고, 우리가 삶을 지으며 나아가는 길이 글이라고, 언제나 신나게 노래가 되는 글이라고, 하는 여러 뜻을 열여섯 줄에 적습니다. 쓰고, 적고, 그리고, 적바림합니다. 담고, 싣고, 얹고, 품습니다. 누구보다 우리 아이들이 글꽃을 받아먹고, 꽃글을 피우고, 살림꽃을 가꾸고, 숲살림을 이루는 길에서 하늘을 보듬는 숨결을 헤아리기를 빕니다. 그리고 제가 걷는 걸음마다 사뿐사뿐 드리우는 노랫가락이 입에서 손에서 살살 피어나기를 빕니다. 씨앗을 심는 손으로 글을 쓰고, 나무를 돌보는 손으로 글을 여미며, 바람을 안는 손으로 글을 짓는다면, 어디에서나 해맑게 잔치판이 벌어지겠지요. 글에서 익히는 삶이 아니라, 삶을 익히기에 기쁘게 글로 옮길 줄 아는 슬기로운 아이들이 자랍니다. ㅅㄴㄹ




한 줄 써도 노래

두 줄 적어도 노래

석 줄 그려도 노래

닷 줄 적바림해도 노래


또박또박 글씨를 쓰고

똑똑히 글월을 적고

또렷이 글발을 그리고

오롯이 글자락 적바림하지


마음에 담아서 가꾸는

고요하며 환한 씨앗 같은

생각을 우리 눈으로 보며

같이 나누려는 글이야


말을 담은 그림이지

노래를 실은 무늬이지

꿈을 얹은 사랑이지

뜻을 품은 길이지


(숲노래/최종규 . 삶노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를 씁니다 ― 36. 바르다



  어느 날 밤 ‘꽃바르다’란 이름이 찾아왔습니다. 한밤이었어요. 아이들을 모두 재우고서 저도 자리에 누워 눈을 감고 하루를 되새기는데, 문득 “꽃을 바르다”라는 말씨가 떠오르더니 ‘-을’을 떼어 “꽃바르다”라 할 만하겠구나 하고 느껴, 눈을 번쩍 뜨고 자리에서 일어났어요. ‘샘바르다·올바르다·곧바르다’처럼 ‘-바르다’를 뒤에 붙여서 쓰곤 합니다. 바르다고, 바른 모습이라고 할 적에 꽃처럼 바르다고 하면 참 좋겠네 싶더군요. ‘꽃바르다’는 두 갈래 뜻이에요. 꽃을 얼굴이나 입술이나 몸에 발라서 곱게 꾸민다는 뜻이 하나라면, 꽃처럼 고운 숨결로 바른 넋이나 몸짓이라는 뜻이 둘이에요. 한국에 진보정치 길을 밝히려는 정의당이 있습니다. 이곳 분들이 정당이름으로 ‘정의’를 붙이십니다만, 이런 이름을 아이들이 제대로 짚거나 알기는 그리 쉽지 않아요. 더욱이 이 나라를 새롭게 아름다우면서 사랑스러운 길로 가꾸고 싶은 마음을 나누려는 어깨동무를 바란다면, 정당이름부터 새롭게 붙일 만하지 않을까요? 정당이름이기에 꼭 ‘-당’을 붙여야 하지는 않는다고 느껴요. 이를테면 “우리는 ‘꽃바르다’입니다” 하고 외칠 수 있어요. 정당이름을 ‘꽃바르다’처럼 붙일 수 있어요. “꽃바른당·꽃바르다당”이 아닌 “꽃바른·꽃바르다”라고만 해도 되지요. 뜻만 훌륭하거나 거룩하게 세우는 진보정치보다는 새롭게 아름다우면서 사랑스러운 길이 된다면 참으로 좋겠구나 싶어요. 정치라는 자리뿐 아니라 수수한 살림 어디에나 꽃바른 숨결이 되면 좋겠어요. ㅅㄴㄹ



바르다


스스로 꽃이 되고 싶어

고운 씨앗을 품지

마음에 두 손에

꽃바른다


오롯이 나비가 되겠어

푸른 꿈을 품지

걸음이 몸짓이

올발라


곧게 뛰어 바람이 될래

파란 구름을 품지

무지개가 빗줄기가

곧바르네


그런데

왜 부루퉁한 얼굴이니?

샘바르게 놀면 따분해

얼굴 펴고 웃자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를 씁니다 ― 35. 빛



  굳이 말로 할 까닭이 없고, 애써 글로 적어야 할 뜻은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말을 하고 글을 써요. 뭔가 자꾸 합니다. 해가 뜨면 해를 볼 노릇이요, 별이 돋으면 별을 보면 됩니다. 무슨 군더더기가 더 있을까요. 곰곰이 생각합니다. 눈을 감고 하늘을 그립니다. 물 한 모금을 머금다가 바람을 마십니다. 우리 몸은 무엇을 바랄까요. 무엇을 먹거나 마셔야 몸이 반길까요. 더 많이 겪거나 해야 더 잘 하지 않습니다. 덜 겪거나 아직 못 해보았다지만 얼마든지 훌륭히 할 수 있습니다. 마음이 있기에 하고, 마음이 없기에 못 하는 삶이라고 느껴요. 이러면서 ‘빛’이라는 낱말을 굳이 글로 풀이를 해봅니다. 뜻풀이를 하자고 마음을 품은 지 이틀이 걸렸습니다. 이틀을 걸려 ‘빛’을 풀이하고 보니, ‘빛’을 노래하는 꽃씨를 마음밭에 심고 싶더군요. 차곡차곡 씨앗을 심어 봅니다. 말풀이가 넌지시 스미도록, 굳이 대놓고 밝히지 않아도 이 노래꽃을 읽을 어린이 이웃하고 상냥하게 하루를 그리자고 꿈을 꿉니다. 이러고서 열흘쯤 지났을까요. ‘빛’이라는 동시를 일본글로 옮기자는 생각이 듭니다. 누리그물 일본말사전 힘을 빌려서 신나게 옮깁니다. 일본말로는 한국말을 어떻게 읽는지 소리도 들어 가면서 낱말을 하나하나 엮습니다. ‘히카리’였네 하고 새삼스레 혀에 얹습니다. 어느 일본 만화책에 나오는 아이 이름이 ‘히카루’였다고 떠오릅니다. 빛을 품은 아이라면 빛순이나 빛돌이가 되겠군요. 깊은 밤에, 별이 아주 눈부신 밤에, 빛을 두 손에 담습니다. ㅅㄴㄹ




해가 뜨니 나타나

눈을 뜨니 보여

온누리를 새롭게 덮어

마음이 참 환해


밤이 가니 낮

낮이 흐르니 밤

깊이 자니까 기운나고

기운 빠지면 푹 자네


처음 드리우니 눈이 부셔

도드라지도록 반짝반짝

매끄러우면서 속까지 비추고

초롱초롱 동글거리네


곧게 뻗고 죽죽 나아가네

닿으면 살살 간지럽다가

스며들 때마다 따뜻따뜻

알록달록 물들이는 고운 무늬



ひかり


日が昇るとめると現れね

目を開けると見えるね

全世界を新たに覆って

心がほんとに明るくね


夜が過ぎるとひる

ひるが行ったら夜

深くねるてるからげんきずいて

げんきがおちると

ぐっすり入ねいるね


初めて垂れるから目がまぶしいね

浮き出しようにぴかぴか

滑らか、の中まで照らして

きらきらまるいね


まっすぐに伸ばしてぐんぐん進むね

ふれるとそろりとくすぐったいて

しみこむごとにあたたかいあたたかい

いろさまざまに染めるきれいなもよう


(숲노래/최종규 . 노래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