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자꽃 책읽기


 감자를 어떻게 싹을 틔운 다음 어떻게 골을 마련하고 어찌저찌 심는가부터, 감자가 줄기를 올리고 잎을 틔우다가는 꽃을 하얗거나 보랗게 피우는가를 거쳐, 감자알이 굵도록 하려면 어떻게 손을 보고 마지막으로 어떻게 호미질을 하며 캐는가를 보여주어야 잘 빚은 ‘감자 그림책’이라 할 만합니다. 그러나 여기까지만 보여주면 어딘가 아쉽습니다. 잘 캔 감자를 잘 씻어서 밥을 안칠 때에 굵으스름한 녀석을 골라서 함께 쪄서 먹는 맛이라든지, 물로 삶아서 먹는 맛이라든지, 스탠냄비에 물 없이 작은 불로 오랫동안 구워서 먹는 맛이라든지, 삭정이를 모아서 불을 지펴 구워 먹는 맛이라든지, 감자를 저마다 맛나게 먹는 이야기를 함께 담을 때에 비로소 아름다이 빚은 ‘감자 그림책’이라고 느낍니다.

 이렇게 생각한다면, 아이한테 보여줄 만한 잘 빚은 ‘감자 그림책’은 퍽 드뭅니다. 이 가운데 가장 나은 책이라면 이오덕 님 시를 그림을 곁들여 엮은 《감자를 먹으며》(낮은산,2004)가 하나 있을 텐데, 이 그림책은 사람 몸짓이나 몸뚱이를 옳게 못 그렸고, 글쓴이 이오덕 님 얼굴빛이라든지 삶을 제대로 삭이지 못했어요. 이오덕 님은 그림책 겉장에 나오듯 텃밭에서 호미질을 하며 땀흘리기를 좋아하셨다지만, ‘안경을 끼고 텃밭에서 호미질을 하지’는 않았어요. 안경을 낀 때는 퍽 나이든 뒤요, 몸이 나빠진 뒤라, 이때에는 텃밭에 쪼그려앉아 일할 만한 몸이 아니었습니다. 글쓴이 삶을 곰곰이 더 살핀다면 이러한 그림을 그릴 수 없어요.

 그렇지만, 《감자를 먹으며》라는 그림책에 글을 쓴 분이 어떠한 삶인지를 모르더라도 감자 한 알을 아끼면서 좋아하는 이야기를 따사로이 즐길 만하다고 여깁니다. 우리 아이가 이 그림책을 펼칠 때에는 글쓴이 몸이나 삶이 어떠했다는 대목을 알 턱이 없고 헤아릴 까닭이 없어요. 오직, 감자를 즐겁게 먹으며 아끼는 손길을 느낄 수 있으면 됩니다. 다만, 아이가 나중에 나이가 들어 이오덕 님 다른 책을 찬찬히 찾아서 읽는다면, 이 그림책 그림에서 무엇이 잘못되거나 모자란가를 쉬 깨달으리라 봅니다. 나중에 알아채거나 느낄 이야기를 일찍부터 가르치거나 알려주지는 않아도 돼요.

 그나저나, 아이하고 무슨 감자꽃 이야기를 나누어야 좋을까 생각해 봅니다. 그림책으로 아이한테 감자꽃 이야기를 들려주어야 할는지 곱씹어 봅니다. 마땅한 ‘감자꽃 그림책’이 없는 터전을 탓해야 할는지 궁금합니다. 텃밭에 감자를 심어 잎이 돋고 꽃이 피며 알이 흙속에서 굵는 한살이를 몸으로 느끼도록 하면 될까 하고 어림해 봅니다.

 집 앞 마당에서 노는 아이를 불러 텃밭에 핀 감자꽃을 보여줍니다. 아이는 제 어버이가 말하지 않아도 꽃을 함부로 따지 않습니다. 살며시 쓰다듬으며 예쁘다고 이야기합니다. 아이가 두 살이던 때였나, 아이 어머니가 아이를 안고 꽃 앞에서 “아이, 예쁘다.” 하고 말하며 쓰다듬는 손길을 보여주었습니다. 아이도 이러한 손길을 따라하며 배웠습니다. 아이는 두 살 적 배운 손길을 네 살에 잊지 않습니다. 앞으로 스무 살이나 마흔 살에는 어떠할는지 헤아립니다. 그무렵에는 한결 따사로우면서 넉넉한 젊은이로 이 땅에 두 다리 튼튼하게 디딜 수 있을까 하고 꿈을 꿉니다. (4344.6.10.쇠.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무숲 책읽기


 깊은 숲이 아니어도 나무 백 그루쯤 우거지면 새들이 둥지를 틀면서 시원스러운 푸른바람이 산들산들 붑니다. 꼭 어마어마하게 많은 나무들이 깊디깊은 숲을 이루어야 하지 않습니다. 반드시 퍽 많은 돈을 들여 번듯한 도서관을 새로 지어야 하지 않습니다. 골목동네 작은 집이나 시골마을 멧자락 집에 예쁘장하게 책꽂이를 갖추어 삶을 밝히는 책 백 권쯤 마련하더라도 아름다운 책숲입니다. 백 차례쯤 되읽으면서 마음을 가다듬을 만한 책을 백 가지 마련하는 도서관이 백만 가지 책을 꾸준하게 새로 갖추는 도서관 못지않게 아름다우면서 사랑스럽습니다. (4344.5.31.불.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단풍꽃과 책읽기


 단풍꽃을 본다. 국민학교를 다니던 때에 보고는 단풍꽃을 아주 오랜만에 본다. 단풍꽃이 지고 단풍씨가 맺으면 팔랑팔랑 팔랑개비처럼 빙글빙글 돌면서 땅으로 내려온다. 단풍씨가 저절로 떨어지기를 나무 밑에서 기다리기도 하지만, 손으로 단풍씨를 똑 따서는 위로 던져 빙글빙글 돌며 떨어지는 모습을 바라보기도 한다.

 이제 이 단풍꽃 봉오리가 흐드러지게 터지고 나면 단풍씨가 알알이 맺힐 테고, 이 단풍꽃이며 단풍씨이며 아이와 함께 가만히 바라보면서 멧자락 나무살이를 껴안으리라 본다.

 내가 이름을 아는 나무를 바라본다. 내가 이름을 모르는 나무를 바라본다. 내가 이름을 아는 나무는 이름을 아는 대로 반가이 줄기를 쓰다듬으면서 바라본다. 내가 이름을 모르는 나무는 이름을 모르는 대로 살가이 잎사귀를 어루만지면서 바라본다. 새로 돋은 잎을 하나 골라 똑 뜯어서는 입에 넣는다. 살살 씹는다. 그리 멀지 않던 지난날, 먹을거리가 없던 시골사람은 느티나무 잎을 뜯어서 떡으로 쪄서 먹기도 했다고 들었다. 느티나무잎을 뜯어서 먹어 보면 퍽 먹을 만하다. 다른 나뭇잎도 뜯고 풀잎을 함께 뜯어 먹으면 꽤 괜찮다. 그러나 나무도감이나 식물도감에는 나뭇잎을 어떻게 먹으면 되는지, 나뭇잎마다 맛이 어떻게 다른지는 안 적힌다. 단풍잎을 먹어 보면 어떨까. 아직 활짝 펼쳐지지 않은 여린 단풍잎이라면 살짝 뜯어서 먹을 수 있지 않을까.

 어제는 햇살을 듬뿍 받는 단풍꽃을 바라보았고, 오늘은 빗물을 흠뻑 머금는 단풍꽃을 바라본다. 사람들은 가을날 단풍잎이 바알갛게 물든 모습이 곱다며 ‘잎사귀 구경’을 다니는데, 단풍꽃이 감붉은 빛깔로 어여삐 봉오리를 터뜨릴 때에 ‘꽃 구경’을 다니는 일이 없다. 어쩌면, 단풍나무에 단풍꽃이 피는 줄을 모르기 때문은 아닐까. 감나무에는 감꽃이 피고, 느티나무에는 느티꽃이 피며, 오얏나무에는 오얏꽃이 핀다. (4344.4.26.불.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당근씨와 책읽기


 지난해 ‘아주 어설퍼’ 텃밭은 마감하고, 올해 ‘덜 어설퍼’ 텃밭을 꿈꾼다. 조그마한 텃밭에 거름 뿌리고 풀 뽑은 뒤 틈틈이 갈아엎어 때를 기다렸다. 밤나절에 너무 춥지 않은 날이 되면 씨앗을 심자고 생각했다.

 드디어 물골과 함께 고랑을 만든다. 이듬날 비가 온다는 이야기가 아니더라도 하늘을 보니 비가 꽤 올 듯하다. 조그마한 텃밭이라지만 혼자 집일을 맡는데다가 이오덕학교에서 날마다 한 시간씩 아이들이랑 책이야기를 나누어야 하고, 밥벌이를 하는 글도 써야 하니까, 밭일을 하루 사이에 한꺼번에 마무리짓지는 못한다. 오늘은 반쯤만 골을 만들어 씨앗을 심자고 생각한다.

 그러나 반쯤 만든 골조차 씨앗을 다 심지 못한다. 밭에서 씨앗을 함께 심던 아이가 졸립고 힘들다며 어서 들어가자고 자꾸 보채는 바람에 작은 세 골씩 이십일무와 당근을 심는다. 이십일무는 이름 그대로 스무 날만에 알이 굵어질까 궁금하다. 당근은 석 달을 기다려야 한다는데 이십일무는 참말 스무 날만에 거둘 수 있는지 궁금하다.

 씨앗을 심을 때면 언제나 새삼스레 느끼지만, 씨앗은 참으로 작다. 스무 날만에 큰다는 이십일무는 씨앗이 꽤 굵다 할 만하다. 어쩌면, 스무 날만에 크니까 씨앗이 이만큼 되어야 하지 않나 싶다. 당근은 이십일무보다 훨씬 크게 알이 굵을 텐데, 석 달이 걸려 굵는 만큼 이십일무보다 씨앗이 작겠지. 그런데 참 작다. 하늘거리는 작은 씨앗을 손바닥에 얹으면서 이 작은 씨앗에서 얼마나 작은 싹이 트고 얼마나 작은 뿌리가 내릴는지 지켜보고 싶다. 지난해에 무씨를 심을 때에도 무씨가 이렇게 작았구나 하고 비로소 깨달았지만, 당근씨는 더 작고 훨씬 가볍기까지 하구나.

 작은 아이가 작은 손바닥을 펼쳐 당근씨를 올려놓고 작은 구멍에 쏙쏙 넣는 모습을 보며 생각한다. 당근씨가 이만큼 작다지만, 이 작은 텃밭에서 자라던 갖은 들풀 또한 들풀씨를 냈을 때에 요 들풀씨는 훨씬 작겠지. 사람이 먹는 열매나 푸성귀쯤 되니까 씨앗이 제법 굵거나 크겠지만, 사람이 따로 먹지 않는 열매나 푸성귀라면 자잘한 모래알갱이만 한 씨앗이 아닐까 싶다.

 곰곰이 돌아보면, 사람을 빚는 씨앗 또한 몹시 작다. 사람을 빚는 씨앗은 더없이 작기 때문에 맨눈으로 들여다볼 수조차 없다. 그런데 사람 몸뚱이는 얼마나 크게 자라는가. 들풀이나 푸성귀와 달리 사람은 어른이 되기까지 오래 걸리니까 씨앗 또한 더 작다 할는지 모르리라.

 착한 넋이나 고운 얼이나 참다운 마음을 일구는 빛줄기가 서린 책이란 참으로 작다. 참으로 작은 책에 더할 나위 없이 작은 빛줄기가 서린다. 사람들은 아주 작은 빛줄기를 아주 조금씩 받아먹으면서 천천히 착하거나 곱거나 참다이 살아간다. (4344.4.22.쇠.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스피 2011-04-23 23:40   좋아요 0 | URL
ㅎㅎ 저도 프라스틱 박스에 상추씨 심었어용^^

숲노래 2011-04-24 08:35   좋아요 0 | URL
싱싱하게 자라나서 즐겁게 맛보실 수 있으면 좋겠어요~
 



 쑥부침개와 책읽기


 옆지기 귀빠진날을 맞이했다. 내가 무얼 할 수 있을까 어제부터 곰곰이 생각했다. 귀빠진날이 닥치고 나서 생각한대서야 무얼 달리 뾰족히 할 만할 수 없겠구나 싶은데, 요 몇 해 사이 무슨 일을 하든 하나하나 차근차근 내다보면서 헤아린 일이란 거의 없지 않느냐 떠올린다. 미리미리 살피거나 보듬지 못하기 일쑤라고 느낀다. 숱한 집일이 밀려드니까, 이 집일을 껴안기만 하더라도 다른 일은 하나도 할 수 없다. 새벽과 밤에 잠을 쪼개어 글조각을 붙잡는데, 졸립거나 고단한 몸을 버티며 글조각을 붙잡는 일이란 퍽 부질없거나 덧없는지 모른다.

 옆지기 귀빠진날인 오늘은 새벽 여섯 시 이십삼 분에 일어난다. 요즈음 새벽에 꽤 늦게 일어난다. 새벽 서너 시쯤에 일어나서 일손을 붙잡아야 그럭저럭 글조각 보듬기를 할 만한데, 새벽 여섯 시라면 너무 늦다. 이때에 일어나면 거의 아무 일도 할 수 없다. 왜냐하면 아침 일곱 시부터는 아침밥을 차리느라 부산을 떨어야 하니까. 일곱 시 이십 분이나 삼십 분 즈음에 쌀을 씻어 불리고, 아침에 끓일 국을 무엇으로 할는지 생각한다. 미역국이나 다시마를 넣은 국이라면 미역이나 다시마를 미리 손으로 끊어서 불려야 한다. 다른 국 또한 이무렵부터 국거리를 손질한다.

 아이는 오늘 따라 아홉 시 반 즈음에 일어난다. 요 몇 달 사이, 다른 날에는 아침 일곱 시 반이나 여덟 시에 어김없이 일어났는데, 하도 신나게 뛰놀다 보니 오늘만큼은 꽤 많이 고단했나 보다. 열 시가 가까워 일어났는데에도 아침밥이자 낮밥을 먹을 무렵부터 눈가에 졸음이 꽤 쌓인 모습이다.

 느즈막하게 일어난 아이를 데리고 비탈논으로 간다. 우리가 짓는 비탈논은 아니고, 웃마을 이오덕학교에서 짓는 비탈논이다. 이 비탈논 둑자리를 따라 송송 돋는 쑥을 뜯는다. 아이는 처음에 몇 차례 아버지 흉내를 내어 쑥을 뜯어 보더니, 이내 논둑이며 논바닥이며 뛰어다니며 노래를 부른다. 신나게 잘 논다.

 저녁밥을 차리려고 또 한 번 아이를 데리고 논둑으로 나온다. 아이는 아이대로 마음대로 노래하면서 뛰놀고, 아버지는 바지런히 쑥을 뜯는다.

 내가 옆지기한테 해 줄 만한 선물이란 무엇일까. 없는 돈으로 무엇을 해 줄 수는 없다. 무언가 먹고프다 한다면 자전거를 몰고 읍내로 달려가서 장만한 다음 낑낑대며 돌아올 수 있겠지. 지난 한 해 동안 튀김닭 한 번 피자 세 번 자전거배달을 했다. 이 멧골자락까지 날라다 주는 곳은 없으니까.

 오늘은 아침과 저녁으로 쑥부침개를 해 본다. 아침에 마련한 쑥부침개에는 밀가루가 좀 많이 들어간 듯해서 저녁에 하는 쑥부침개에는 밀가루보다 쑥을 훨씬 많이 넣는다. 아침보다 곱절을 더 뜯은 쑥으로 부침개를 해 보았다.

 따지고 보면, 저녁에는 쑥부침개라기보다 쑥버무리튀김에 가깝다. 조금 더 바삭하게 되도록 해야 할 텐데, 아직 잘 안 된다. 불을 꽤 작게 해서 스텐팬으로 했는데, 불을 이보다 훨씬 작게 하고 기름을 더 적게 둘러서 해야 할까. 불크기는 알맞은데 기름을 살짝 더 둘러 볼까.

 인천 골목동네에서 살다가 멧골자락 작은 집으로 옮긴 우리들이 누릴 수 있는 기쁨이라면 봄에는 봄내음이 물씬 나는 밥상을 차리는 데에 있지 않을까 살짝 생각해 보았다. 나는 아직 나물을 잘 모른다. 하나씩 배워야 할 텐데, 책으로는 배울 수 없을 듯하다. 이 풀 저 풀 뜯어서 먹으며 몸으로 배워야 하겠지. 망초도 어찌저찌 먹어 보려 하다가, 텃밭을 고르며 하도 많이 나와서 망초를 데치거나 볶거나 어찌저찌 해서 먹어 보려던 마음이 싹 가셨다. 사람들이 왜 망초를 잘 안 먹는지 알 만하다고 느꼈다. 이렇게 질리게 금세 돋아나며 텃밭을 뒤덮으니까, 이 망초를 솎아내자고 얼마나 고달프겠나. 따지고 보면 쑥도 금세 퍼져서 돋곤 하는데, 쑥은 사람한테 향긋한 냄새이면서 봄맛을 돋우기 때문에 그닥 안 싫어할까. 그러나 텃밭 풀을 뽑고 흙을 갈아엎을 때에는 나 또한 쑥이고 뭐고 가리기 힘들더라. 꽃다지이건 뭐건 하나하나 따로 갈무리하기 벅차더라. 참말 손바닥만 한 텃밭을 갈면서.

 쑥부침개를 아침과 저녁으로 내리 하면서, 국에도 쑥을 꽤 넣어 본다. 국을 마시며 가만히 코를 킁킁거리면 쑥내가 난다. 이 쑥을 앞으로 며칠 더 즐길 수 있을는지, 또는 4월 내내 쑥을 즐길 만한지 잘 모르겠다.

 어쩌면, 밥에도 쑥을 넣어 쑥밥을 해 볼 수 있을까. 옆지기한테 한 번 물어 보고 나서 쑥밥을 해 보고 싶다. 뜯을 사람도 적고 먹을 사람도 적으니, 온 논둑과 밭둑 쑥은 도맡아서 뜯고 도맡아서 밥거리로 마련한다. 쑥떡까지는 못할 듯싶지만, 쑥밥은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쑥부침개는 옆지기한테 어줍잖게 내민 선물이라면, 쑥밥은 나한테 남우세스레 내미는 선물이 될까. 그러면 아이한테는 어떤 쑥을 내밀어 주면 좋으려나. (4344.4.13.물.ㅎㄲㅅㄱ)
 

 

아침이자 낮밥... 

 

저녁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