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웃집-12-0524-19 집-12-0525-70
 고욤꽃 책읽기

 


  감꽃하고 고욤꽃은 다르게 생겼다. 고욤이 있기에 감나무가 있다. 감은 언제부터 감이었을까. 가지를 이어붙여 감나무를 이룬다는데, 감나무를 맨 처음 이룬 사람은 누구였을까. 아주 어릴 적 국민학교 다니던 때에도, 또 이무렵 충청남도에 있는 시골집에 나들이를 할 적에도, 어른들은 으레 ‘감나무는 가지 이어붙이기를 해서 얻는다’고 이야기했다. 어느 어른은 가지 이어붙이기를 어떻게 하는가를 몸소 보여주기도 했다. 나중에 어른이 되어 스스로 이렇게 해 보라 이야기해 주었다.


  이제 우리 네 식구는 전남 고흥 시골집에서 살아가고, 우리 집 뒤꼍에 감나무랑 고욤나무가 나란히 있다. 어쩌면, 이 시골집 옛 할머니나 할아버지는 몸소 가지 이어붙이기를 해서 감나무를 얻지 않았을까. 가지를 이어붙인 고욤나무는 한쪽 구석에 두고, 집 앞에 감나무를 예쁘게 심어 키우지 않았을까.


  봄맞이 감꽃이 피었다가 천천히 진다. 봄맞이 고욤꽃이 피었다가 살며시 진다. 시골에서도 도시에서도 으레 감꽃을 말하고 감꽃을 먹으며 감꽃을 노래한다. 돌이키면, 나 또한 감꽃을 생각하거나 바라보거나 느꼈을 뿐, 막상 고욤꽃을 헤아리거나 살피거나 맞아들이려고 마음을 기울이지 못했다.


  자그맣게 열매를 맺는 고욤이기에, 고욤나무 고욤꽃은 촘촘히 달린다. 자그마한 풀딸랑이 줄지어 달린다. 나무그늘에서 문득 하늘을 올려다보다가 풀딸랑이 딸랑딸랑 바람결에 흔들리며 어여쁜 풀노래 들려주는 소리를 누린다. 아이는 흙바닥에 떨어진 고욤꽃을 손바닥 가득 주워서 아버지한테 보여준다. “아버지 이거 뭐예예요?” 다섯 살 아이는 “뭐예요?” 하고 말해야 하는 줄 아직 모르고, “‘뭐예’예요?” 하고 말한다. “이게 뭘까? 생각해 봐.” 하고 이르고는, 곧이어 “고욤꽃이야.” 하고 붙인다. “고임꽃?” “고욤꽃.” “아, 고염꽃.” (4345.5.28.달.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들딸기 책읽기

 


  들딸기가 익는다. 들딸기는 스스로 씨를 퍼뜨리고 줄기를 뻗친다. 사람 손길이 타서 들딸기를 잘 따먹으면 이듬해에는 훨씬 더 많이 맺힌다고 한다. 올봄 우리 식구들 들판과 밭둑에서 들딸기를 실컷 따먹을 테니, 다음해 봄에는 더욱 많이 맺히는 바알간 열매를 만날 수 있겠지. 5월 23일은 아직 터질 듯 여물지 않았으나, 다섯 살 딸아이는 하나둘 냠냠 따먹는다. 딸아이는 혼자서만 먹지 않고 손바닥에 예쁘게 올려놓고 먼저 한 번 보여주고 나서 먹는다. 며칠 더 지나면 바알간 알갱이가 한껏 부풀어 더 달고 한껏 푸르며 맑은 봄내음이 어떠한가를 느끼도록 해 주리라 생각한다.


  봄을 먹고, 봄을 마시며, 봄을 누린다. (4345.5.25.쇠.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민들레씨 책읽기

 


  민들레는 땅바닥에 납작 엎드린 채 꽃을 피운다. 민들레는 줄기를 높게 올려 씨를 흩날린다. 땅바닥에 납작 엎드려 꽃을 피우는 민들레인 줄 예전부터 알았지만, 막상 민들레가 씨앗을 퍼뜨릴 때에는 줄기를 높이높이 올리는 줄 ‘늘 바라보며 살았’어도 정작 제대로 깨닫거나 알아보지는 못했다.


  어떤 씨앗을 어디로 날리고 싶어 줄기를 이렇게 높이높이 올릴까. 어느 아이가 줄기를 똑 따서 신나게 후 불어 주기를 바라며 이렇게 높디높은 줄기를 뻗을까. 줄기를 뻗어 씨앗을 널리 흩뿌리고 난 다음, 민들레 삶은 어떻게 마무리될까. 꺾인 줄기는 어떻게 아물까. 꽃도 씨앗도 줄기도 없는 민들레 잎사귀는 남은 삶을 어떤 꿈을 꾸며 보낼까. 꽃도 씨앗도 줄기도 없이 땅바닥에 납작 잎사귀 붙이며 끝삶을 누리는 민들레를 알아보는 사람은 누가 있을까.


  아이들과 흙땅을 밟으며 민들레하고 실컷 논다. (4345.5.24.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노랑붓꽃 책읽기

 


  우리 집 마당 한쪽에서 노랑붓꽃이 곱게 핀다. 마당 한쪽에 노랑붓꽃이 있는 줄 몰랐다. 꽃이 피고서야 비로소 노랑붓꽃이로구나 하고 깨닫는다. 다른 풀도, 다른 나무도, 잎이 돋거나 꽃이 피지 않고서야 좀처럼 알아보지 못한다. 나뭇가지만 앙상히 있을 때에 어떤 나무인가를 제대로 헤아리지 못한다. 아주 조그마해서 티끌이나 흙알 같아 보이는 풀씨를 바라보며 정작 풀씨인지 아닌지 가누지 못한다.


  그러나, 꽃으로 피어나기 앞서도 꽃이요 풀이며 나무이고 목숨이다. 꽃으로 곱게 피어나기 앞서도 어여쁜 꽃이며 풀이고 나무이자 목숨이다.


  가슴속에 품은 아름다운 사랑이 있는 씨앗이다. 마음속에 안은 아리따운 꿈이 있는 목숨이다. 이제 노랑붓꽃은 한창 꽃내음 들려주다가 천천히 지겠지. 노랑붓꽃이 지고 나면, 아하 이 풀잎이 노랑붓꽃잎이구나 하고 생각하겠지. 우리 집 마당뿐 아니라 길가에서도, 들판에서도, 멧자락에서도, 이와 비슷한 풀줄기를 바라보면 ‘이 풀줄기는 어떤 꽃을 피울까’ 하고 생각하겠지. (4345.5.24.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늘밭 3

 


  마을 할머니들이 ‘새내끼(새끼)’로 마늘을 엮는다. 처음에는 나한테 쇠끈으로 묶도록 이야기하셨는데, 이제 마늘을 크기에 따라 다 고르고 나서 당신들도 마늘엮기를 해야 하다 보니, 손가락과 손바닥이 아플 뿐더러 어깨가 결리는 쇠끈은 안 쓰고 새내끼를 쓴다. 나는 아직 새내끼 쓸 줄 모른다. 그러나 새내끼 엮는 손길을 천천히 떠올리며 나 스스로 한두 차례 해 보면 이내 익숙할 수 있으리라 본다.


  새내끼란 예부터 벼를 거두고 난 짚으로 꼬았다. 마늘엮기를 하자면 먼저 짚을 꼬아 새내끼를 삼아야 한다. 새내끼를 잔뜩 삼아 놓고서 이 새내끼를 알맞게 끊어 마늘을 엮는 셈이다. 시골 흙사람은 짚으로 삼은 신을 신었고, 바나 멜빵이나 질빵도 짚으로 엮어 마련했다.


  쇠끈으로 마늘을 엮으며 생각한다. 쇠끈으로 엮은 마늘을 짐차에 실으며 생각한다. 쇠끈은 아주 세게 조여 준다. 그러나, 쇠끈은 마늘줄기를 짓눌러 갈라지거나 끊어지게 한다. 새내끼도 무척 세게 조여 주지만, 새내끼는 마늘줄기를 갈라지거나 끊어지게 하지는 않는다.


  시골사람이 마늘을 장만해서 마늘을 먹는다면, 마늘줄기나 마늘껍질은 흙으로 돌아간다. 도시사람이 마늘을 장만해서 마늘을 먹는다면, 마늘줄기나 마늘껍질은 ‘음식물쓰레기’가 되어 흙으로 돌아가지 못한다. 짚신은 다 닳으면 밭이나 논에 거름 되어 돌아가고, 바나 멜빵이나 질빵 또한 다 닳으면 밭이랑 논으로 거름 되어 돌아간다.


  쇠끈은 어디로 가야 할까. 비닐봉지는 어디로 가야 하나. 플라스틱과 화학제품은 어디로 가야 하지. (4345.5.23.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