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책읽기

 


  시골에서 열 해쯤 살아야 시골사람이 된다고들 말합니다. 사진을 한다 할 때에 열 해쯤 해야 비로소 눈이 트인다고들 말합니다. 인천에서 살 적에 인천물을 열 해쯤 먹어야 바야흐로 인천사람이라 할 만하다고들 말합니다.


  그러나, 이런 말을 하는 사람들 스스로 열 해가 지난 누군가를 바라보며 당신 시골사람이요, 당신 사진하는 사람이요, 당신 인천사람이요, 하고 받아들이는 듯하지는 않습니다. 울타리 하나를 세워 사람들을 몰아세우고, 이 울타리를 넘으면 다른 울타리를 세워 다시 몰아붙이며, 이 울타리를 또 넘으면 새삼스러운 울타리를 거듭 마련해 자꾸 닦달합니다.


  나는 내 나름대로 생각합니다. 시골에서 하루를 살아도 시골사람입니다. 사진기를 갓 장만했어도 사진으로 바라보는 눈을 새로 틉니다. 인천에서 한나절을 보냈어도 인천사람이라 할 만합니다.


  스무 해를 살아야 시골사람이 되지 않습니다. 마흔 해를 뿌리내려야 토박이가 되지 않습니다. 예순 해 한길을 걸어야 사진빛을 뽐내지 않습니다. 시골을 아끼고 사랑하는 사람은 하루를 살아도 시골을 아끼고 사랑합니다. 사진을 좋아하거나 사랑할 사람은 꼭 한 번 사진기를 손에 쥐어도 좋은 빛과 사랑스러운 그림을 빚습니다. 스스로 가장 즐겁게 누릴 삶을 헤아린다면, 어디이든 이녁한테 고향이 되고 보금자리가 됩니다.


  시골집에서 지내며 늘 나무를 바라봅니다. 어디를 둘러보아도 온통 나무입니다. 도시로 마실을 나오며 나무만 바라봅니다. 어디를 둘러보아도 높고낮은 건물과 아스팔트와 자동차로 득시글거린다 하지만, 내 눈에는 나무만 한껏 들어옵니다. 나무가 숨쉬는 소리를 듣습니다. 나무가 노래하거나 우는 소리를 듣습니다. 나무가 부르는 소리를 듣습니다. 나무가 웃는 소리를 듣습니다. 나무가 잠을 자는 소리를 듣습니다. 나무가 꿈을 꾸는 소리를 듣습니다.


  도시에서 살아가는 나무는 참으로 가녀립니다. 늘 아프고 늘 콜록거립니다. 도시에서 뿌리내린 나무는 참으로 앙상합니다. 잎이 시들시들하고 힘알이가 없구나 싶습니다. 그러나, 모두 나무입니다. 모두들 봄맞이 푸른 잎사귀 달려고 힘쓰는 나무입니다.


  도시에서 마주하는 사람들은 도시에서 자라야 하는 나무처럼 힘알이가 없으며, 갖은 때와 먼지를 잔뜩 머금었다고 느낍니다. 도시에서 스치는 사람들은 도시에서 뿌리내려야 하는 나무처럼 가냘프고 아프며 힘들구나 싶습니다.


  모두들 사랑스레 살아갈 수 있기를 빕니다. 저마다 아름다이 뿌리내리며 어깨동무하기를 바랍니다. 서로서로 예쁘게 어깨동무하면서 고운 나날을 빛내는 꿈을 꿉니다. 내 시골집 나무를 그립니다. 내가 나들이를 온 도시에서 가만가만 바라보는 나무를 떠올립니다. 이 나무들과 함께 내가 살아가고, 내 목숨과 함께 나무들이 숨을 쉽니다. (4345.5.5.흙.ㅎㄲㅅㄱ)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늘바람 2012-05-05 10:05   좋아요 0 | URL
어릴때부터 보아온 커다란 나무 혹은 추억이 깃든 나무는 나이가 들어서도 마음에 안식이 될 것같아요. 존재감만으로도 힘이되는 게 나무네요. 전 딱이 생각나는게 없지만 집에 있었던 작은 포도나무 하나가 생각나네요

숲노래 2012-05-05 11:28   좋아요 0 | URL
좋은 나무 한 그루가
오래오래 내 마음속에서
사랑스러운 이야기를
이어가리라 믿어요~

순오기 2012-05-05 12:37   좋아요 0 | URL
오랜만에 들러 주욱 훑어봤습니다~~~~ 요즘 서재 마실도 못했거든요.
네식구가 파주로 마실 하셨네요~~ ^^

숲노래 2012-05-06 07:41   좋아요 0 | URL
네, 처가 식구 있는 일산 거쳐
오늘 시골집 고흥으로 돌아간답니다 !!!
@.@
 


 예쁜 꽃과 나무와 풀을 읽어요

 


  마당 한켠 후박나무에 꽃봉우리가 활짝 터진 첫날부터 후박꽃 사진을 찍습니다. 날마다 찍은 사진 가운데 어제 찍은 사진이 가장 어여쁘다고 느낍니다. 바람이 한 점조차 없이 아주 고요한 날 아침, 후박꽃이며 후박잎이며 그예 멈춘 듯 꽃내음과 풀내음을 나누어 줍니다. 둘째 아이를 무릎에 앉히고 죽을 먹이다가 사진기를 들어 한손으로 찍습니다. 문득 생각합니다. 첫째 아이가 막 태어나 우리하고 함께 살아가던 때, 나는 첫째 아이가 아직 걸음을 못 떼던 무렵이든 한창 잘 걷던 무렵이든 제법 자란 무렵이든 날마다 안거나 업거나 걸리거나 하면서 골목마실을 여러 시간 다녔습니다. 이때에 늘 한손으로 아이를 안고 다른 한손으로 사진을 찍었습니다.


  내가 고등학교를 마치고 내 어버이 집을 떠나 혼자 살며 신문배달을 하던 때를 곰곰이 돌이킵니다. 그무렵 나는 자전거를 몰며 신문을 돌렸습니다. 왼손으로 자전거 손잡이를 붙들고 오른손으로 바구니에서 신문을 한 장씩 꺼내어 손가락 두엇을 재게 놀리며 반으로 접은 뒤, 오른손으로 반 접은 신문을 허벅지에 탁 퉁기고는 다시 첫째손가락이랑 둘째손가락을 놀려 반을 더 접고는 손아귀로 신문을 집어들고는 손목힘으로만 휙 던져 골목집 대문 위쪽 틈을 지나 안쪽 문간에 톡 떨어지도록 했습니다. 마땅한 노릇인데, 자전거를 달리며 이렇게 신문을 꺼내고 접고 던지고 했습니다. 때로는 어깨힘을 쓰기도 하는데, 2층이나 3층에 넣어야 할 때입니다. 웬만한 2층집은 자전거를 달리며 그냥 넣을 수 있고, 3층집이라면 자전거를 멈추어 올려 던집니다. 모르는 노릇인데, 아이 안고 한손 사진찍기를 할 수 있던 밑힘이라면, 한손으로 자전거 몰며 한손으로 신문 접어 넣기를 여러 해 하며 차근차근 쌓였을 수 있겠다 싶어요.


  살아가는 나날이 생각하는 나날입니다. 생각하는 나날이 사랑하는 나날입니다. 사랑하는 나날이 꿈꾸는 나날입니다.


  날마다 후박꽃 사진을 새롭게 찍으며 생각합니다. 이 어여쁜 후박꽃을 날마다 보는 동안 내 마음 또한 흐드러지게 활짝 피는구나 싶습니다. 내 눈이 어여쁜 후박꽃 아닌 얄궂은 사건사고 신문글에 얽매인다면 내 마음 또한 얄궂은 생각과 정보와 지식으로 가득 차겠구나 싶습니다.


  어여쁜 아이들 어여쁜 웃음꽃을 늘 바라보는 사람한테는 어여쁜 웃음꽃이 시나브로 피어나기 마련이라고 느낍니다. 제아무리 정치부 기자라고 하더라도, 언제나 정치꾼하고 가까이 지내며 취재를 하고 글을 쓰며 사진을 찍는 사람이라 한다면, 이녁 눈길과 머리와 가슴에는 정치꾼하고 엇비슷한 생각이나 지식이나 정보가 쌓이겠지요. 자동차 공장에서 일하면서 자동차하고 가까이 사귈밖에 없습니다. 아파트에서 살아가며 아파트하고 가까이 지낼밖에 없습니다. 텔레비전을 보면서 텔레비전에 익숙해질밖에 없습니다.


  꼭 영화나 다큐멘터리를 보아야만 알지 않아요. 푸른 숲 우거진 시골마을에서 살아가던 사람은 으레 도시살이를 힘들어 합니다. 노상 푸른 숲을 그리고 정갈한 시골을 바랍니다. 이때에도 참 마땅한 노릇인데, 숲삶이 몸에 깊이 밴 사람한테는 도시살이가 어울리거나 즐거울 수 없어요.


  자가용을 늘 타는 사람은 두 다리로 걷는 일이 낯설거나 새삼스럽거나 새롭겠지요. 그러나 다시 자가용으로 돌아가기 마련입니다. 자가용이 익숙하거든요. 언제나 전철을 타던 사람은 자가용을 타면 좀 낯설거나 새삼스럽거나 새롭기 마련입니다. 택시만 타더라도 낯설거나 새삼스럽거나 새롭습니다. 다시 전철을 타면 익숙한 냄새와 느낌이 새록새록 피어나겠지요.


  나 스스로 가장 좋아할 만한 가장 어여쁜 꽃과 나무와 풀을 바라보며 즐겁게 읽고 사랑스레 사귀어 봅니다. 나는 내 마음을 온통 어여쁜 꿈과 이야기로 채우고 싶습니다. 나 스스로 가장 아낄 만한 살붙이하고 가장 포근한 보금자리에서 살아가고 싶습니다. 나는 내 생각과 가슴과 머리에 가장 빛나며 맑은 꿈과 이야기를 누비고 싶습니다. 예쁜 후박꽃을 예쁜 손길로 담고 싶습니다. 예쁜 후박꽃 사진을 예쁜 이웃한테 보여주고 싶습니다. (4345.4.30.달.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탱자꽃 책읽기

 


  이오덕 님이 쓰신 시요 1960년대에 내놓은 시집이기도 한 《탱자나무 울타리》가 있다. 나는 이오덕 님 남은 글과 책을 갈무리하는 일을 여러 해 하기도 했지만, 탱자나무로 이룬 울타리를 막상 제대로 들여다본 일이 없었다. 내 어버이들 시골집에는 탱자나무 울타리가 있는지 모르나, 내 어린 날 이런 울타리를 눈여겨보지 않았다. 막상 《탱자나무 울타리》를 읽으면서도, 또 지난날 이오덕 님 글과 책을 갈무리하면서도 탱자나무도 탱자나무 울타리도 제대로 만나지 못했다.


  인천에서 살며 골목마실을 하던 때, 주안2동 골목집 한 곳에서 탱자나무를 한 그루 보았다. 소담스레 열매가 달렸을 때에 비로소 알아보았다. 그러고는 고흥에 보금자리 마련하며 살아가는 동안 제대로 탱자나무를 보고 탱자꽃을 본다. 면내에 있는 중학교를 지나 초등학교로 가는 길목에 탱자나무 가지들이 얼키고 설킨 작은 울타리 비슷한 녀석이 있는데, 누군가 탱자나무 가지 사이에 빈 깡통을 여럿 찔러 넣었다.


  단단하고 굵직해 보이는 탱자나무 가시는 촘촘하다. 나뭇가지 사이에 박힌 빈 깡통을 빼낼 길이 없어 보인다. 팔을 뻗어 꺼내자면 팔뚝이 가시에 죽죽 긁혀 찢어지겠다 싶도록 아주 촘촘하다.


  4월 한복판 봄날, 탱자나무에 핀 하얗게 눈부신 꽃송이를 본다. 탱자나무를 가시와 열매로만 알다가, 이제 꽃으로 새삼스레 안다. 탱자꽃을 처음 보며 으아리꽃하고 살짝 닮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나는 으아리꽃을 먼저 보았으니 탱자꽃이 으아리꽃하고 살짝 닮았다고 생각할 뿐, 거꾸로 탱자꽃을 어릴 적부터 익히 보다가 어느 날 멧골짝에서 으아리꽃을 보았다면 으아리꽃이 탱자꽃을 살짝 닮았네 하고 생각할 테지.


  한참 탱자꽃을 바라보며 헤아린다. 모과꽃은 참 작으면서도 커다란 열매를 맺는다면, 탱자꽃은 알맞춤하다 싶은 크기에 알맞춤하다 싶은 열매를 맺는다. 그러면, 귤꽃이나 유자꽃은 얼마쯤 되는 크기일까. 가만히 보니, 감꽃도 꽤 작은데 감알은 그리 작지 않다. 능금꽃이나 배꽃도 퍽 작지만 능금알이나 배알은 퍽 크다 할 만하다. 복숭아꽃도 제법 크다 싶은 열매를 맺는다.


  더 곱씹는다. 나뭇가지에 달리는 열매를 모두 따고 보면 몹시 묵직하다. 나뭇가지 하나 무게는 얼마 안 되는데, 가냘프다 싶은 나뭇가지에 묵직한 열매가 주렁주렁 맺히곤 한다. 더 돌이키면, 모질게 비바람이 불어도 웬만한 나무는 쓰러지거나 꺾이지 않는다.


  이들 나무가 없다면 사람이 살아갈 수 있을까. 나무 없는 사람살이를 생각할 수 있을까. 책을 빚는 종이는 탱자나무로 만들지 않는다지만, 탱자나무 없이 사람살이를 꿈꿀 수 있을까. 사람들은 탱자나무를 잊거나 모르더라도, 탱자나무는 사람들을 생각하거나 물끄러미 바라보며 이 지구별을 지키지 않았을까. 사람들은 장미꽃 팬지꽃 국화꽃 튤립꽃에 넋이 나가더라도, 탱자꽃은 언제나 고요히 제 흙땅에 뿌리내리며 지구별을 돌보지 않았을까. (4345.4.25.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풀씨 날리는 책읽기

 


  아버지랑 둘이서 뒷밭 돌을 고르던 아이가 힘들다고 호미를 내려놓더니, 이내 다시 뒷밭으로 오며 풀꽃 따기를 한다. 다섯 살 어린이더러 몇 시간 밭일을 함께하자고 말하기는 어렵다. 곁에서 거들며 놀다가 쉬다가 되풀이해야 하겠지. 뒤꼍 땅뙈기에 흐드러지려는 풀마다 꽃을 피운다. 들풀은 아이 키만큼 높이 자란다. 아이는 풀숲에 깃들어 꽃을 딴다. 풀씨를 맺은 송이를 입에 바람을 넣고 후후 분다. 꼭 민들레가 아니더라도 후후 불며 날릴 풀씨는 많다.


  누런 빛과 푸른 빛과 파란 빛 사이에 있는 아이를 바라본다. 모든 빛깔이 또렷하고 맑다. 아이가 두 발로 서는 땅과 아이가 두 눈으로 바라보는 풀과 아이가 몸이며 마음으로 받아들일 하늘이 나란히 얼크러지는 곳이 아이한테 가장 아름다운 터전이 되리라 생각한다. 아이한테 무엇을 가르치려 한다면 세 가지 빛깔 사이에서 가르칠 때에 즐거웁겠다고 느낀다. 이제부터 흙땅 밟는 겨를을 차츰 늘려야겠다. (4345.4.21.흙.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울보 2012-04-21 01:10   좋아요 0 | URL
류는 민들레씨만 보면 어디든지 달려가곤 했는데,,ㅎㅎ
살이 좀 오른것같네요, ,,너무 귀여워요,,

숲노래 2012-04-21 01:18   좋아요 0 | URL
키카 나날이 크면서 아주 듬직한 시골 어린이 모습을 보여준답니다~~
류 어린이가 컸어도 풀씨 날리기는 늘 즐기겠지요~?
 


 논풀 책읽기

 


  빈 논에 풀이 가득하다. 빈 논이라 말하지만, 정작 빈 논은 아니다. 논에 볍씨를 심어 벼를 거두기에 벼가 자라지 않을 때에는 빈 논이라 말하는데, 벼를 베고 나서 겨울을 지나고 봄을 맞이한 논에는 숱한 들풀이 자라고 들꽃이 핀다.


  아직 괭이질이나 가래질을 받지 않은 논을 바라본다. 논자락 가득 메운 들풀을 바라보고 들꽃을 바라본다. 이렇게 수많은 들풀과 들꽃이 피어난 다음 논을 갈아엎으면 이 풀기운이 흙으로 스며들어 거름이 될까.


  사람은 밥을 먹어야 한다기에 논풀을 몽땅 뒤엎어 벼 한 가지를 심어 기르는데, 풀은 이 논에 얼마나 뿌리를 내리고 싶었을까. 문득, 참말 ‘빈 논’이라 하는 ‘묵은 논’을 떠올린다. 시골에 깃들던 사람이 숨을 다해 흙으로 돌아가고 나면 더는 손길을 타지 않아 묵는 논이 곳곳에 생기는데, 묵은 논은 한 해만 지나도 온통 풀밭으로 바뀐다. 묵은 논은 세 해쯤 지나면 제법 큰 나무가 자란다. 묵은 논은 열 해쯤 지나면 자그마한 숲이 된다.


  정원사나 조경사가 일구지 않아도 묵은 논은 다시 ‘자연’이 되어 천천히 숲을 이룬다. 사람이 따로 씨앗을 심거나 뿌리지 않아도 묵은 논은 싱그러운 풀과 꽃과 나무가 깃들며 새와 짐승이 보금자리를 틀 ‘자연’이요 ‘숲’으로 다시 태어난다.


  사람은 무슨 책을 읽는가. 사람은 어떤 삶을 꾸리는가. 사람은 어디에서 사랑을 속삭이는가. 논자락 풀들 앙증맞게 바람에 살랑이며 짙은 내음과 숱한 이야기를 흩뿌린다. (4345.4.17.불.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페크pek0501 2012-04-17 13:44   좋아요 0 | URL
정원사나 조경사가 필요하지 않은, 자연의 생명력에 감탄하며...

숲노래 2012-04-17 21:20   좋아요 0 | URL
도시 공원도
자연 그대로 잘 살아가도록
예쁘게 보살피고 사랑한다면
참 좋으리라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