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례사 비평’을 바란다면



  앞으로 누군가 나한테 주례를 서 달라고 여쭐 사람이 있을까? 앞날은 알 수 없기 때문에 나한테 주례를 서 달라고 여쭐 사람이 나올 수 있으리라 본다. 그러면 나는 주례 자리에서 어떤 말을 할까? 두 사람이 듣기에 달콤한 말을 늘어놓을까, 아니면 두 사람이 앞으로 걸어갈 길에 사랑을 북돋울 말을 새롭게 펼칠까.


  나는 언제 어디에서나 ‘주례사 비평’을 할 수 없다. ‘주례사 비평’을 할 마음이란 터럭만큼조차 없다.


  내가 읽은 책을 놓고 나는 어떤 느낌글을 쓸까? 책마을에는 내 이웃님이 꾸리는 출판사도 많고, 편집장이라든지 편집자로 일하는 출판사도 많다. 그러면, 나는 내 알음알이에 맞추어 ‘주례사 비평’을 하면 될까? 아니다. 아무리 가까이 사귀거나 아는 출판사라고 하더라도, 그 출판사에서 나온 책을 ‘주례사 비평’을 할 수 없다. 오탈자가 나오면 낱낱이 짚어서 알려주고, 잘된 대목과 아쉬운 대목을 나란히 짚으면서 말해 줄 수밖에 없다. 내가 보고 느끼며 알아차린 이야기를 들려주는 몫이 ‘글을 쓰는 사람’으로서 내가 하는 일이다.


  글을 쓰든 책을 내든 책을 마주하는 사람이라면 언제나 맨 먼저 ‘읽는이(독자)’이다. 스스로 읽는이인 줄 생각하면서 책을 엮는 사람하고 스스로 읽는이인 줄 잊으면서 책을 엮는 사람은 사뭇 다른 길을 걷는다. 스스로 읽는이라면 주례사 비평을 할 수도 없으며 바라지도 않는다. 스스로 읽는이인 줄 잊는다면 주례사 비평을 하거나 바라는 쪽으로 기울어진다.


  한국 사회에 왜 주례사 비평이 넘칠까? 독자도 출판사도 비평가도 작가도 스스로 읽는이인 줄 잊으면서 서로 ‘동업자’가 되기 때문이다. 동업자는 무엇을 할까? 서로 돈과 이름과 힘을 거머쥐면서 지켜 준다. 4348.9.22.불.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책과 삶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물맛을 아는 책읽기



  물맛을 아는 사람하고 물맛을 모르는 사람이 있다. 물맛을 아는 사람하고는 물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데, 물맛을 모르는 사람하고는 물 이야기를 나눌 수 없다. 물맛을 아는 사람은 물맛에 따라 살림맛이랑 삶맛이 어떻게 달라지는가 하는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데, 물맛을 모르는 사람하고는 살림맛도 삶맛도 이야기를 나누지 못한다.


  흙을 아는 사람하고 흙을 모르는 사람이 있다. 흙을 아는 사람하고는 흙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데, 흙을 모르는 사람하고는 흙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자동차를 아는 사람하고 모르는 사람이 있다면, 자동차를 모르는 사람하고 자동차 이야기를 나눌 수 없을 테지. 나는 자동차를 모르고 경운기나 콤바인을 모른다. 나는 대규모 농사를 모르고, 비닐집 농사를 모른다. 그래서 나로서는 자동차나 콤바인 이야기를 나눌 수 없고, 대규모 농사나 비닐집 농사 이야기를 나눌 수 없다.


  우리 집 뒤꼍에 무화과나무가 우거진다. 그래서 아이들하고 날마다 무화과알을 따서 먹는다. 우리 집 무화과는 하늘바라기 나무이다. 억지로 쇠줄로 잡아당기거나 가지치기를 함부로 하며 괴롭힌 끝에 얻는 열매가 아니라, 나무결이 그대로 살아서 맺는 열매이다. 그래서, 여느 가게나 저잣거리에 나온 무화과랑 우리 집 무화과는 크기도 맛도 달콤함도 사뭇 다르다. 나무를 고이 자라도록 하면서 얻는 열매가 베푸는 맛하고, 시달리고 들볶인 나무에서 가로채는 듯한 열매가 베푸는 맛이 얼마나 다른가를 아는 사람이라면, 이런 이야기를 실컷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열매 맛을 모르는 사람이라면 아무런 이야기를 못 나눈다.


  우리는 어떤 책 이야기를 나눌 수 있을까? 우리는 어떤 책을 알까? 우리는 어떤 책을 읽는가? 우리는 책을 읽어서 삶과 사람과 사랑을 얼마만큼 헤아리거나 알아채는가?


  사랑스러운 이웃님이 물맛을 알 수 있기를 빈다. 싱그러우며 맑고 상큼한 물맛을 아는 이웃님이 늘어나기를 빈다. 짙푸르고 새파란 바람맛을 아는 이웃님이 늘어나기를 빈다. 무지개와 뭉게구름을 알고, 버들잎과 시골꽃을 아는 이웃님이 늘어나기를 빈다. 인문 지식이 아니라 슬기로운 삶을 깨달으면서 철드는 이웃님이 늘어나기를 빈다. 4348.9.21.달.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삶과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누워서 지내야 하는 이가 받은 책선물



  하루를 거의 누워서 보낸다. 책상맡에 앉아서 일할 때하고 부엌일을 할 때하고 마당이나 뒤꼍에서 풀을 베거나 해바라기를 할 때를 빼고는 으레 이부자리에 드러눕는다. 오른무릎이 다친 지 열이레가 지나는데 아직 오른무릎이 성하지 않기 때문에 조금만 일어나서 움직이거나 일하거나 걸어도 오른무릎을 쉬어 주어야 한다. 그냥 쉬지도 못하고 누워서 쉰다.


  이렇게 아파서 이렇게 오래 누워서 지낸 적이 있는가 하고 돌아본다. 군대에서는 아무리 아파도 밖으로 드러낼 수 없어서 속으로 끙끙 앓기만 하면서 스물여섯 달을 가까스로 견뎠다. 신문배달을 할 적에는 어떻든 날마다 새벽에 신문을 돌려야 하니 아픈 데가 있어도 꾹 참고 일을 마친 뒤 곧바로 쓰러졌다. 곁님을 만나서 아이를 낳기 앞서까지 꽤 오래 혼자 살았던 터라 아프든 힘들든 ‘드러누울’ 수 없었는데, 아이들을 돌보며 지내는 요즈음 그냥 드러눕는다.


  아픈 오른무릎을 어루만지면서 누운 몸으로 아이들을 물끄러미 바라본다. 참으로 잘 논다. 게다가 아이들은 아픈 아버지 곁에서 놀아 준다. 아마 아버지더러 심심하지 말라는 뜻이지 싶다. 많이 아프면 까무룩 잠이 들고, 덜 아프면 멀뚱멀뚱 누우니, 누워서 다리를 달래며 책을 많이 읽는다. 아파서 날마다 오랫동안 누우며 지내고 보니 책을 펼칠 틈이 꽤 많이 난다. 이런 요즈음 도톰하면서 야무진 책을 선물로 받는다. 도톰하고 야무지면서 무거운 책은 그야말로 ‘누워서 읽기에 좋’다고 할 만하다.


  서울에서 고흥까지 날아온 책선물을 쓰다듬는다. 이 두꺼운 책을 다 읽고 조용히 덮을 즈음에는 더 앓아눕지 말고 씩씩하게 일어서서 가을볕과 가을내음을 한껏 누리자고 다짐해 본다. 나는 늘 언제 어디에서나 눈부시게 튼튼하다. 4348.9.19.흙.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삶과 책읽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5-09-19 12:3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9-19 13:44   URL
비밀 댓글입니다.
 

가을들은 노랗게 물드는 빛깔



  오늘날은 거의 모든 사람들, 이른바 구십구 퍼센트에까지 이를 만한 사람들이 도시에서 산다. 그리고 시골에서 태어나 자라는 어린이와 푸름이는 학교와 학원에 다니기에 바빠서 시골일을 거들지 않기 마련이고, 나락을 언제 심고 언제 거두는지조차 모르기 일쑤이다. 이리하여, 오늘날 한국사람 가운데 ‘들빛’이 가을에 어떠한가를 제대로 아는 사람은 아주 드물다고 할 만하다. 어릴 적에 시골에서 나고 자랐다고 하더라도 어른이 되어 도시에서만 사느라 가을들 빛깔을 잊는다. 바로 오늘 시골에서 살면서 늘 들을 마주하지 않고서야 들빛을 알 수 없다.


  옛날이라면 누구나 들빛을 알고 들빛을 말했다. 그래서 ‘한가을에 잘 익은 나락알’을 보면서 ‘금빛 물결’이라고 했다. 금빛이란 무엇인가? 바로 샛노란 빛깔이다. 푸른 들이 푸르스름한 들로 바뀌고 누르스름한 들로 바뀌다가 누런 들로 바뀌더니 어느새 노란 들로 바뀐다.


  ‘노랗다/누렇다’ 같은 빛깔말은 어디에서 비롯했을까? 나락이 물결치는 들하고 보리가 물결치는 들은 그야말로 노랗다. 참으로 샛노랗다. 가을과 봄에 샛노란 물결이 들에 가득하다. 누런 빛깔은 무엇일까? 나락을 말리면 노란 기운이 천천히 빠지면서 누렇게 된다. 아직 샛노랗지 않지만 차츰 샛노란 빛깔로 거듭나는 들판을 자전거를 타고 지나가면서 바라본다. 가슴 가득 노란 빛깔과 숨결과 바람을 맞아들인다. 4348.9.18.쇠.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삶과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넌 돈으로 책을 사니?



  가만히 돌아보면, 나는 내 주머니가 그리 넉넉하지 못해서 미처 장만하지 못하는 책이 있다. 손가락을 입에 물고는 그저 침만 흘리는 책이 참 많다. 참말 장만해서 곁에 두고 즐거이 읽고 싶구나 하고 생각했으나 막상 장만하지 못한 책을 꼽자면 아마 2∼3만 권쯤 되리라 본다. 아니 훨씬 더 많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돈이 없어서 못 산다’고 여긴 책은 어느새 내 마음속에서 잊혀지기 때문이다.


  그러면, 주머니에 돈이 없다고 하면서 그동안 책을 얼마쯤 장만했을까? 아마 4∼5만 권쯤 넉넉히 장만하지 않았을까? 그러니까, 한손으로는 ‘돈이 없어서 저 책을 못 사는구나!’ 하고 땅을 치면서도, 다른 한손으로는 ‘이 가난한 주머니로도 꼭 이 책만큼은 사고야 말겠어!’ 하는 다짐으로 씩씩하고 꿋꿋하게 장만한 책들이 있다.


  나는 나한테 묻는다. ‘얘, 다른 사람 말고 바로 너 말이야, 넌 돈으로 책을 사니? 넌 참말 돈이 없어서 네가 읽으려던 책을 못 읽었니?’


  스스로 묻는 말에 스스로 할 말이 없다. 돈이 없어서 못 사는 책이 있었다기보다는 ‘내 마음을 오롯이 쏟아서 어느 책 하나를 끝끝내 장만하려는 몸짓’이 없었다고 해야 옳기 때문이다.


  돈이 많은 사람이라고 해서 모든 책을 다 장만해서 읽지는 않는다. 돈이 넉넉한 사람이라고 해서 ‘스스로 하고픈 공부’를 모두 신나게 하지는 않는다. 다만, 돈이 없으면 미국이나 프랑스나 일본으로 배움길을 나서기 어렵겠지. 배표나 비행기표조차 장만하지 못해서 눈물만 삼킬 수 있을 테지. 그렇지만 참말 제대로 배우려고 하는 사람은 배표나 비행기표를 장만하려고 여러 해에 걸쳐서 돈을 모은다. 스무 해에 걸쳐서 푼푼이 돈을 모은 뒤 ‘매우 늦은 나이’라고 하는 때에 씩씩하게 배움길에 나서기도 한다.


  배우려고 할 때에 배운다. 배우려고 하는 몸짓이 덜 무르익었다면 배우지 못한다. 읽으려고 할 때에 읽는다. 읽으려고 하는 숨결이 덜 무르익었다면 읽지 못한다.


  책은 누가 읽는가? 책은 누가 사는가? 책은 스스로 배우면서 삶을 가꾸려는 사람이 읽는다. 책은 스스로 배우는 길을 기쁘게 걸어가려는 사람이 기꺼이 장만하고 사들이며 마련한다. 4348.9.17.나무.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삶과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