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으로 보는 눈 124 : 아이가 아플 때 읽는 책

 아이가 아플 때에 애 엄마는 아이 곁을 지킵니다. 다른 어느 일보다 아이 목숨이 크고 사랑스럽기 때문입니다. 사랑스러운 아이가 아픈데 다른 무슨 일을 하며, 다른 어떤 곳에 눈을 두겠습니까. 그런데 이때에 여느 애 아빠들은 무엇을 어떻게 하고 있을까 궁금합니다. 애 아빠도 온마음을 아픈 아이한테 쏟을 수 있을는지요.

 하루이틀 새로워지는 우리 터전에서, 아이가 아플 때에 아이 곁을 지키지 않거나 지키지 못하는 애 엄마가 늘어납니다. 그러면 아픈 아이 곁을 내처 지키며 돌보는 애 아빠는 조금씩 늘고 있는가 모르겠습니다. 요즈음 아가씨들이나 젊은 애 엄마는 밥하기나 빨래하기나 청소하기 같은 밑살림을 제대로 할 줄 모른다고 하는데, 요즈음 젊은 사내들이나 애 아빠는 집살림을 얼마나 잘하고 있는지 모를 노릇입니다.

 아이가 아파서 끙끙 앓고 있는데, 옆에서 재미나다는 책을 읽는다든지 신난다는 연속극을 본다든지 하는 어버이가 있다면, 이이는 무엇 때문에 살고 있는가 알쏭달쏭합니다. 무엇을 사랑하고 어떤 기쁨을 찾고 있을까 아리송합니다. 나 스스로 낳아 기르는 아이를 돌볼 줄 모르는 어버이라 한다면 나를 낳아 기른 어버이를 돌볼 줄 모를밖에 없습니다. 나 스스로 낳아 기르는 아이 똥오줌을 스스럼없이 치우고 이 손으로 거리낌없이 밥을 먹을 수 없다면, 이이는 어버이란 이름이 어울리지 않을 뿐 아니라 어른이란 이름 또한 알맞지 않습니다.

 엊그제부터 우리 집 아이가 아픕니다. 그러께에 그러께를 더한 날부터 함께 살고 있는 우리 옆지기는 퍽 예전부터 아픈 사람이었습니다. 그런데 애 아빠 된 저는 바깥일 때문에 아픈 애를 놓고 움직입니다. 집에서 애 엄마가 몇 시간쯤 더 애써 주기를 바라면서 혼자 바깥일을 봅니다.

 집살림이며 돈벌이 때문에 아픈 옆지기한테 살가이 마음 쏟지 못하며 살고 있는 하루하루를 돌아봅니다. 제가 읽은 훌륭하다거나 거룩하다거나 좋다거나 곱다거나 하는 책은 무슨 쓸모가 있을는지 되새깁니다. 성경을 읽어도 성경 말씀이 좋다고만 할 뿐 성경 말씀처럼 살아내지 않는 사람이 수두룩합니다. 옳고 바르며 고운 삶을 살피며, 옳고 바르며 고운 길을 걷는 정치꾼한테 한 표를 선사하는 사람이란 뜻밖에 퍽 드뭅니다.

 애 아빠로서 아픈 아이 곁을 내내 지키지 못한다면 아이 앞에서 들 얼굴이 없습니다. 옆지기로서 아픈 애 엄마 둘레를 언제나 지키지 못한다면 애 엄마 앞에서 들 낯짝이 없습니다. 다른 남자가 어떠하다느니, 다른 집은 어떻다느니 하는 말은 부질없는 핑계입니다. 다른 사람들이 엉성궂거나 어설프기 짝이 없는 책에 빠져 있든, 좋은 책을 좀처럼 알아보지 못하고 있든, 나는 나부터 내 삶을 옳고 바르고 곱고 착하고 참되어 추스르고 있지 못하는 슬픔을 눈여겨보면서 아파해야 합니다. 누구보다 나한테는 얼마나 많은 책이 있어야 하고, 얼마나 많은 책을 읽어야 할까를 깨달아야 합니다. 나부터 내 삶을 참된 맑음과 착한 믿음과 고운 사랑으로 빚고 있지 못하다면, 돈과 이름과 힘을 거머쥔 이들은 온갖 모습으로 신나게 《제1권력 : 자본, 그들은 어떻게 역사를 소유해 왔는가》에 나오는 끔찍한 짓을 저지를 발판을 얻습니다. (4343.5.27.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으로 보는 눈 123 : 김예슬 님과 고집장이 동생

 무슨 책을 읽어야 내 넋을 아름다이 가꿀 수 있는가를 옳게 살피지 못하는 사람은, 어떤 삶을 꾸려야 내 얼을 곱게 여밀 수 있는가를 제대로 살피지 못하는 사람입니다. 고운 목숨 하나 선물받아 이어가는 누리에서 얼마나 사람다운 삶을 보듬느냐는, 내가 품은 꿈이 아니라 내가 하루하루를 맞이하는 매무새에 달려 있습니다.

 대학교 졸업장을 거스른 채 ‘고졸자’가 되겠다고 외친 김예슬 님은 《오늘 나는 대학을 그만둔다, 아니 거부한다》(느린걸음,2010)라는 작은 책을 써냈습니다. 대자보 하나 쓴 다음 대학교 앞문에서 한 시간 남짓 서 있으며 보여주는 모습만으로는 대학생들과 대학생이기를 바라는 사람들과 고졸자로 살아가는 사람들하고 이야기를 얼마 나누기 힘들었을 테지요. 김예슬 님 당신 스스로 어줍잖은 몸부림이 아니요 뽐내는 몸짓이 아님을 밝히려 한다면, 이렇게 살을 붙이고 옷을 입힌 책 하나를 써내야 했을 테지요.

 “자신의 경험과 개성을 바탕으로 해서 스스로 생활을 꾸려 나가는 일은, 삶에서 진정 필요한 일은 모조리 시장으로 떠넘겨 버렸다(58∼59쪽).”는 목소리를 들으며 생각합니다. 김예슬 님이 작은 책 하나에 적바림한 이야기는 김예슬 님 당신이 잘나서 풀어내는 이야기가 아닌 한편, 당신 둘레에서 살아가는 사람들 누구나 익히 아는 이야기입니다. 그러나 알면서 아는 대로 받아들이지 않는 이야기요, 알고 있기에 등돌리거나 모른 체하고 있는 이야기입니다. 알고 있으면서 옳은 길로 안 가고 있는 우리들이요, 알고 있기 때문에 굶어죽을 수 없다고 여기는 우리들입니다.

 석유가 펑펑 남아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렇지만 석유 걱정을 하는 사람 또한 없습니다. 석유가 바닥나면 다른 뭔가가 있겠거니 생각합니다. 자가용 한 대 장만하는 값이란 우리 삶을 얼마나 빛내거나 돌볼 수 있는 돈인지 모르는 사람이 없습니다. 그렇지만 차 한 대 뽑아 굴릴 만한 돈으로 책을 사읽는다거나 힘든 이웃을 돕는다든가 하는 사람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아파트 한 채 장만할 돈으로 영화를 찾아 본다든지 어려운 동무를 거든다든가 하는 사람 또한 만나지 못합니다. 더 많이 벌어 더 많이 쓰는 길을 살피는 오늘날 우리들입니다. 알맞게 일하고 알맞게 벌며 알맞게 살아가는 아름다운 길을 찾지 않는 요즈음 우리들입니다.

 《고집장이 꼬마 여동생》(동서문화사,1982)이라는 살가운 어린이문학이 지난 2007년에 《못 말리는 내 동생》이란 이름으로 다시 나왔습니다. 고집 잘 부리는 어린 동생은 이웃집 할매가 뜨개질을 한번 배워 보라는 말에 “배우고 싶지 않아요.” 하고 고집을 부리는데, 이웃집 할매는 빙그레 웃으며 “그렇지만 다시 생각하는 것이 좋겠다. 네가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여러 가지 것을 떠 줄 수 있단다. 크리스머스 선물도 만들 수 있고 생일 선물도 만들 수 있단다. 물론 자기 손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이란다.” 하며 따스한 목소리로 얘기합니다. 마땅한 노릇일 텐데, 할매 말씀을 듣고 난 고집장이 여동생은 이내 뜨개질을 배웁니다. 한동안 몹시 얌전하고 착하고 조용히 누군가한테 선물할 뜨개질을 합니다. 돈과 앎과 이름값이 아닌 땀과 손길과 사랑이 무엇인지를 어릴 적부터 시나브로 익힙니다. 이 고집장이 여동생은 앞으로 더는 고집장이에 머물 까닭이 없습니다. (4343.5.17.달.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으로 보는 눈 122 : 무라카미 하루키 좋아하셔요? 



 저는 모르는 책이 참 많고, 못 읽은 책이 참 많으며, 못 읽을 책 또한 참 많습니다. 아직까지 무라카미 하루키 님 책은 한 가지조차 읽지 않았거나 읽지 못했습니다. 거꾸로 생각하면, 무라카미 하루키 님을 좋아하거나 그리 안 좋아하거나 이분 책을 읽은 분 가운데 다른 좋은 책이나 훌륭한 책을 골고루 샅샅이 읽은 분은 없습니다.

 누구나 한 가지 책을 읽으면 다른 한 가지 책은 읽을 수 없습니다. 책만 읽으면서 살아간다 하여도 모든 책을 다 읽을 수 없습니다. 제아무리 많은 책을 읽었다 할지라도 골라서 읽을 뿐, 모두 읽을 수 없으며 모두 읽어서는 안 됩니다. 우리들은 저마다 스스로한테 가장 알맞고 아름다운 길을 찾아 저 나름대로 살아가듯, 우리들은 누구나 저마다 스스로한테 가장 알맞고 아름다운 책을 찾아서 읽을 뿐입니다.

 잘난 책읽기이든 못난 책읽기이든 따로 없습니다. 스스로 좋아하는 결에 따라 살아가며 스스로 좋아하는 책을 마주하는 가운데 스스로 좋아하는 모습대로 내 몸과 마음을 가꿉니다. 내가 고른 책이 훌륭한 책이든 어설픈 책이든 우리로서는 좋은 알맹이를 받아먹을 수 있습니다. 내가 고른 책이 빼어난 책이든 멋진 책이든 우리로서는 나쁜 버릇에 물들 수 있습니다.

 어제 동네 헌책방에서 《무라카미 하루키 수필집 1 : 코끼리공장의 해피엔드》(백암,1993)가 보이기에 집어들어 읽었습니다. 무라카미 하루키 님 소설은 어떠한지 잘 모르나 수필은 참 괜찮다고 느꼈습니다. “어떤 식으로 쓸 것인가 하는 것은 어떤 식으로 살 것인가 하는 문제와 대충 같다(87쪽).” 같은 대목을 읽으며, 번역은 꽤 엉망이라고 느끼면서도 이 글월에 담긴 글쓴이 마음은 기쁘게 헤아렸습니다. 무라카미 하루키 님 생각이자 삶은 “어떻게 쓰느냐는 어떻게 사느냐와 얼추 같다”일 테니까요.

 그러니까, 글을 잘 쓰고 싶다면 내 삶부터 올바르고 아름답게 잘 꾸려야 한다는 소리랍니다. 좋은 글을 쓰고 싶으면 내 삶부터 좋은 삶이 되도록 잘 추스려야 한다는 소리이고요.

 더없이 마땅한 이야기일 테지요? 그지없이 옳은 말씀일 테지요? 그렇지만 우리들은 이 마땅하고 옳은 글월을 마땅히 받아들이지 못하고 옳게 새기지 못합니다. 그냥 책 한 귀퉁이에 실린 글줄로 읽고 잊습니다. 고운 삶이란 하루키 님 책에만 있지 않고 우리 둘레에 두루두루 있는데. 맑은 삶이란 하루키 님 소설에만 있지 않고 우리 터전에 구석구석 있는데. 참된 삶이란 하루키 님 수필에만 있지 않고 우리 이웃이나 살붙이 가슴에 깊이 아로새겨져 있는데.

 어떤가요? 무라카미 하루키 님을 좋아하시나요? 무라카미 하루키 님이 다룬 이야기나 바라본 사람들을 좋아하시나요? 무라카미 하루키 님 삶을 좋아하시나요? 무라카미 하루키 님이 꿈꾸며 가꾸는 삶을 좋아하시나요? 무라카미 하루키 님 문학을 읽는 내 삶과 내 몸뚱이와 내 손길과 내 삶터를 좋아하시나요? (4343.5.8.흙.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으로 보는 눈 113 : 책 하나에 담는 땀

 전라남도 장흥에서 살고 있는 마동욱 님이 십만 원에 이르는 사진책을 하나 내놓았습니다. 사진책 이름은 《정남진의 빛과 그림자》(호영)입니다. 당신 고향마을이 얼마나 사랑스럽고 아름다운가를 보여주고 싶어서 수십만 장 찍은 사진을 고르고 추려 내놓은 두툼한 선물입니다. 온몸으로 부대끼고 두 눈으로 살펴보며 마음으로 삭여낸 삶자락이 깊고 넓다 보니 수십만 장이라는 사진을 찍고도 모자라, 앞으로도 새롭게 수십만 장에 이르는 사진을 찍을 수밖에 없으리라 봅니다. 저는 수십만 장까지는 아니지만, 제 고향동네인 인천 골목길을 해마다 만 장 남짓 사진으로 담아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사진이 만 장이 넘어가면, 요 한 해치 사진 만 장을 갈무리하는 데에만 여러 날이 걸립니다. 아니, 한 번씩 죽 돌아보고 추리는 데에만 보름은 걸리고, 애써 추린 사진을 갈래에 따라 나눈다든지 하자면 한 달이 훌쩍 넘어가며, 갈래에 따라 나눈 사진 가운데 어느 녀석을 얼마만한 크기로 다루어 엮느냐를 살피자면 또 한참 걸립니다. 사진 하나로 담을 때부터 오래오래 품을 들이기 마련인데, 작품으로 빚었다 할지라도 낱낱이 있는 사진을 ‘이야기 있는 꾸러미’로 묶자니, 사진기를 들고 골목마실을 할 때와 마찬가지로, 때로는 더 오랜 품을 들여야 하곤 합니다. 그러고 보면, 글이든 그림이든 사진이든 춤이든 노래이든 연극이든 영화이든 …… 나 스스로 미처 즐기거나 누리지 못하는 열매가 더없이 많을 수밖에 없구나 싶습니다. 동무와 이웃한테 보여주거나 나누는 열매 또한 아주 작을 수밖에 없구나 싶습니다. 우리는 언제나 새로운 열매를 일구고자 애써야 하는 사람이지만, 힘껏 거두어들인 열매 또한 바지런히 맛보면서 나누어야 하는구나 싶습니다.

 아주 흔히 하는 말인데, ‘나누며 따뜻한 사랑은 그리 크지 않아도 된다’고 합니다. 내 주머니에서 아주 조금만 덜어도 이 작은 돈푼으로 무척 넉넉히 나누는 사랑이 된다고 합니다. 나로서는 아주 조금이라 할지라도, 열 사람 숟가락이 모이면 밥 한 그릇이 되니까요. 한 사람 숟가락으로 열 사람을 먹여살리는 밥그릇이 아니라, 열 사람 숟가락으로 한 사람을 먹여살리는 밥그릇이 되면 즐겁습니다. 내가 내 이웃하고 무언가를 나눈다고 할 때에는 ‘내가 대단한 부자라서 나누는’ 셈이 아니니까요. 내가 그지없이 가난하기 때문에 나눌 수 있으니까요. 내가 넉넉하지 못한 살림이기 때문에 나보다 벅차거나 버거운 이웃을 알아봅니다. 내가 힘들고 고단한 탓에 나보다 힘들고 고단한 동무를 알아챕니다. 내 마음밭이 얕거나 어수룩하다고 느끼기에 즐거이 새로운 책을 장만하여 새롭게 곰삭이며 읽습니다. 내 배움이 짧거나 모자라다고 느끼기에 기쁘게 책방마실을 하며, 만 권이든 십만 권이든 아직 머나먼 책읽기일 뿐임을 새삼스레 깨닫습니다.

 지난 2004년에 우리 말로 나온 《환경 가계부》를 아주 흐뭇하게 읽었습니다. 그러나 이 책은 어느새 판이 끊어졌습니다. 둘레에 선물하고 싶어도 사 줄 수 없습니다. 헌책방에서도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옆지기는 이 책을 살며시 넘겨 보더니 묻습니다. “일본사람이 쓴 책이에요?” “응? 왜?” “이런 책은 꼭 일본책이더라구요.” 뒤통수가 뜨끔합니다. 그러고 보니 《즐거운 불편》도 일본책, 《백성 백작》도 일본책입니다. (4343.2.9.불.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으로 보는 눈 112 : 만화책에 담는 삶과 슬기

 웬만한 일본 만화책은 으레 서른 권쯤은 이어 그립니다. 일본 만화 가운데 스무 권 넘게 이어그리지 않으면 ‘긴 만화’라 할 수 없습니다. 만화를 길게 그려야 제대로 된 훌륭한 작품이라 할 수 있지는 않습니다. 다만, 만화를 그리든 사진을 찍든 글을 쓰든, 우리들은 우리가 붙잡은 이야기 하나를 놓고 우리 온삶을 다 바쳐 백 권이든 이백 권이든 쏟아낼 수 있어야 한다고 느낍니다. ‘우리가 붙잡아서 펼쳐 보이려고 하는 이야기’에는 깊고 넓으며 웃고 울리는 숱한 삶자락이 담겨 있을 테니까요. 이 삶자락을 한 올 두 올 풀어내노라면 어느새 100권이 되고 어느 결에 200권이 되지 않겠습니까. 그래서 저는 박경리 님 《토지》나 조정래 님 《한강》 같은 작품이 ‘긴 소설’이라고 느끼지 않습니다. 그냥 ‘소설’이라고 느낍니다. 《아빠는 요리사》 같은 만화는 벌써 백 권을 넘기고 있는데 끝날 낌새가 보이지 않습니다. 처음 나라안에 알려지고 읽힐 때에는 ‘불법 폭력 불건전’이라는 딱지를 온통 달아야 했던 《드래곤볼》은 벌써 여러 해 앞서부터 ‘정식 번역’이 될 뿐 아니라 만화 즐김이들 사이에서 높은 점수를 받으며 추천을 받기까지 합니다. 지난날 이 만화를 나쁘게 이야기하고 아이들한테서 빼앗았을 뿐 아니라 불태우기까지 한 분들은 오늘날 어디에서 무슨 일을 하며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을까요.

 고작(?) 세 권으로 끝난 일본 만화 《토우마》(서울문화사,2009)를 읽었습니다. 3권째를 보면서 ‘벌써 끝나는가? 이렇게 일찍 끝내도 되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토우마》라고 하는 만화에서 붙잡은 이야기로는 열 권이나 스무 권뿐 아니라 서른 권이나 마흔 권도 넉넉히 이어갈 수 있으리라 보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3권으로 마무리되는 만화책 《토우마》 맨 마지막 말을 보니 고개를 끄덕일 수 있습니다. “네? 감사장요? 수사에 협력해 줘서 표창한다고요. 저어, 어느 오오카미 토우마 씨에게 전화 거신 건가요? 우리 사무실의 오오카미 토우마는 자연을 사랑하는, 표창과는 아무런 인연이 없는 그런 가이드입니다(182쪽).”

 책을 좋아한다는 분들 가운데 일본 만화를 즐겨 보는 분이 생각 밖으로 퍽 적습니다. 책을 사랑한다는 분들 가운데 만화책을 좋아한다고 밝히는 분이 참으로 드뭅니다. 책을 이야기하는 분들 가운데 만화책 평론을 깊이있게 다루는 분은 거의 찾아볼 길이 없습니다. 책을 좋아한다면서 책을 좋아하는 테두리가 더없이 좁다고 하겠습니다. 책을 사랑한다면서 책을 껴안는 품이 너무 어설프다고 하겠습니다. 책을 이야기한다면서 책을 쓰다듬는 손길이 너무 차갑다고 하겠습니다.

 그러나 우리들은 어린 날부터 만화를 만화답게 받아들이도록 배운 적이 없습니다. 집에서고 학교에서고 ‘만화는 책이 아니다’ 하고 배워야 합니다. 어버이들 가운데 누가 ‘어른이 된 다음’에도 만화를 즐겨 읽으면서 좋고 곱고 멋진 만화를 가슴에 새기는가요. 교사라는 자리에 선 어른 가운데 아이들한테 읽힐 좋고 곱고 멋진 만화를 당신들 돈을 털어 사 읽고 곰삭이는 이는 얼마나 되는가요. 《오타쿠의 따님》이라는 만화를 보며 ‘사람이 살아가는 길’을 읽을 수 있다고 이야기하면, 다들 ‘저 미친놈!’이라고 손가락질할 듯합니다. (4343.1.29.쇠.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