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찍는 눈빛 84. 사진도 생각도 자랍니다



  호박씨는 어른 손톱하고 비슷한 크기입니다. 씨앗 가운데 퍽 크다 할 만합니다. 볍씨는 꽤 작고, 무씨나 배추씨는 더욱 작으며, 당근씨는 훨씬 작아요. 민들레씨나 까마중씨는 거의 깨알만 하거나 깨알보다 작다 할 수 있습니다. 고들빼기 씨앗도 무척 작습니다. 그런데, 이 조그마한 고들빼기는 어른보다 큰 키로 자라기 일쑤입니다. 줄기도 아주 굵고 단단합니다. 상추씨를 심은 뒤 상추씨를 받으려고 꽃대를 그대로 두면 무척 굵고 단단해서 마치 나무와 같이 단단한 줄기가 뻗습니다. 씨앗 가운데 제법 크다는 호박씨이기는 한데, 꽃이 지고 열매를 맺는 모습을 보면, 처음에는 ‘애호박’이지만, 어느새 ‘애’가 아닌 ‘젊은 어른’ 호박으로 굵으며, ‘젊은 어른’을 지나 ‘늙은호박’이 되면 대단히 무거우면서 커다란 열매덩이로 거듭납니다.


  조그마한 씨앗이 자라서 큰 나무를 이룹니다. 키가 백 미터를 넘는 나무도 씨앗은 아주 작습니다. 즈믄 해를 살아낸 나무도 처음 땅에 뿌리를 내린 씨앗은 아주 작습니다. 작은 씨앗은 봄 여름 가을 겨울 네 철을 해마다 꾸준히 맞이하면서 자랍니다. 오랜 나날 온갖 바람을 쐬고 갖은 햇볕을 머금으며 숱한 빗물을 빨아들여 아름드리 나무가 우거진 숲이 태어납니다.


  사람도 아주 작은 씨앗에서 비롯합니다. 우리 눈으로 알아볼 수 없도록 작은 씨앗 둘이 만나서 새로운 목숨이 태어납니다. 처음에는 우리 눈으로 알아볼 수 없도록 작은 씨앗인데, 이 씨앗은 어머니 뱃속에서 무럭무럭 자라 아기가 되어요. 아기는 이 땅으로 나와서 젖을 빨고 뒤집기를 하다가 볼볼 기더니 어느새 우뚝 일어서서 신나게 뛰놉니다.


  모두 자랍니다. 목숨이 있으면 모두 자랍니다. 목숨이 있기에 모두 자라서 아름다운 숨결로 거듭납니다. 우리는 모두 날마다 차츰차츰 자라는 사람이요 목숨이고 숨결입니다. 우리가 찍는 사진이 자랍니다. 우리가 사진을 찍는 눈길과 손길이 자랍니다. 우리가 사진을 찍어 이웃과 나누는 마음결과 생각이 자랍니다. 우리가 찍은 사진으로 이웃과 어깨동무를 하면서 나누는 사랑이 자랍니다.


  즐겁고 자랍니다. 기쁘게 자랍니다. 씩씩하게 자라고, 튼튼하게 자랍니다. 아름답게 자라고, 싱그럽게 자랍니다. 언제나 새롭게 자라는 사진이요 마음이며 넋이기에, 이러한 흐름과 결을 찬찬히 읽고 살핀다면, 머잖아 우리 사진은 웃음꽃이 되고 웃음나무가 되다가 웃음숲이 되리라 봅니다. 4347.11.8.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 찍는 눈빛 83. 이름 없는 사진



  우리가 찍는 사진은 다른 사람이 찍는 사진감(소재)이거나 아니거나 크게 대수롭지 않습니다. 우리가 찍는 사진을 다른 사람이 아직 찍은 적이 없든, 앞으로도 찍을 사람이 없든, 하나도 대수롭지 않습니다. 우리가 찍으려는 사진을 그동안 아주 많은 사람들이 찍었든, 또 아주 많구나 싶도록 사진책이 많이 나왔든 조금도 대수롭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사진에는 ‘우리 이야기’를 담기 때문입니다. 사진에는 ‘우리 삶’을 담기 때문입니다.


  똑같은 사진감을 다룬다고 할 적에도, 나와 네가 찍는 사진이 다릅니다. 바라보는 곳은 같아도, 바라보는 눈길과 생각과 마음과 사랑이 모두 다릅니다. 바라보는 눈길과 생각과 마음과 사랑이 모두 다르니, 우리가 찍는 사진은 저마다 다른 이야기가 감돕니다.


  나무 한 그루를 찍든, 풀 한 포기를 찍든, 꽃 한 송이를 찍든, 우리는 늘 다 다른 사진을 찍습니다. 다 다른 이야기를 실어 다 다른 꿈을 보여줍니다. 그런데, ‘이야기’와 ‘삶’을 보여주려 하지 않고, 더 멋있게 찍으려 하거나 더 남다르게 찍으려 할 적에는 이야기와 삶이 드러나지 않습니다. 이때에는 누가 찍어도 거의 똑같아 보이거나 아주 닮은 사진만 나옵니다.


  사진은 ‘표현 기법’이 아닙니다. 사진은 ‘표현 방법’이 아닙니다. 기법이나 방법에 매달리면 매달릴수록 사진하고 동떨어집니다.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에도 이와 같아요. 자꾸 기법이나 방법에 기울면 기울수록 글이나 그림이 아닌 겉치레나 겉짓이 되고 맙니다. 이야기가 없이 기법과 방법에 매달리는 사진이 있으면, 우리는 이 사진에서 무엇을 읽을까요? 바로 기법과 방법을 읽습니다. 기법과 방법만 읽는다면, 자꾸 새로운 기법과 방법만 좇기 마련입니다.


  밥 한 그릇을 지을 적에 아궁이에 불을 지펴서 무쇠솥으로 지을 수 있습니다. 아파트에서 전기밥솥으로 지을 수 있습니다. 가스불에 냄비밥으로 지을 수 있습니다. 편의점에서 장만한 ‘공장에서 지은 밥’을 물을 끓여서 덥혀 먹을 수 있습니다. 밥짓기도 여러 갈래로 살필 수 있습니다. 다 다른 밥짓기는 ‘기법과 방법’일 뿐입니다. 무쇠솥으로 지은 밥은 그야말로 맛있습니다만, 편의점에서 산 ‘공장에서 지은 밥’으로도 우리 사랑과 꿈을 따순 손길로 어루만져서 아주 맛있는 밥상을 차릴 수 있습니다. 사진에 담는 이야기란 바로 ‘사랑과 꿈’입니다. 사진에 담는 삶이란 바로 ‘따순 손길’입니다.


  우리가 찍을 사진에는 ‘우리 이야기와 삶’을 어느 만큼 담느냐 하는 대목이 대수롭습니다. 어떤 장비를 쓰든, 어떤 기법이나 방법을 쓰든, 언제 어디에서 찍든, 누구를 찍거나 무엇을 찍든, 하나도 대수롭지 않습니다. 사진을 찍으려는 우리들은 언제 어디에서나 늘 ‘이야기’를 살피면서 가꾸고, ‘삶’을 노래하면서 즐길 수 있는 넋이면 됩니다.


  이름이 있는 사진도 없고, 이름이 없는 사진도 없습니다. 이름이 있는 작가도 없고, 이름이 없는 작가도 없습니다. 오직 하나만 있습니다. 이야기가 있는 사진이냐, 이야기가 없는 사진이냐, 이렇게 가를 수만 있습니다. 삶이 깃든 사진이냐, 삶이 안 깃든 사진이냐, 이렇게 가르기만 합니다. 4347.11.7.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 찍는 눈빛 82. 사진으로 할 수 있다



  사진으로 할 수 있습니다.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하고 싶은 것이라면 할 수 있습니다. 사진으로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라면 할 수 있습니다. 사진으로 사랑을 드러내고 싶으면, 사진으로 사랑을 드러냅니다. 사진으로 어떤 숨은 이야기를 바깥으로 알리고 싶으면, 사진으로 어떤 숨은 이야기를 바깥으로 알릴 수 있습니다. 사진으로 꿈을 노래하고 싶으면, 사진으로 꿈을 노래할 수 있습니다.


  사진으로 놀고 싶으면, 참말 사진으로 놀 수 있습니다. 사진으로 생각을 짓고 싶으면, 참말 사진으로 생각을 지을 수 있어요. 다만, 무엇을 하고 싶은지 스스로 마음속에 담지 않으면 아무것도 못합니다. 스스로 하고 싶은 일부터 찬찬히 살펴서 마음속에 담을 때에 비로소 사진으로 무엇을 찍을 때에 기쁜가 하고 깨닫습니다.


  아이들이 블럭을 맞추어 자동차나 비행기나 배를 만듭니다. 아이들이 손수 짜맞춘 자동차나 비행기나 배를 갖고 놉니다. 블럭 자동차는 싱싱 달립니다. 블럭 비행기는 하늘을 가르며 납니다. 블럭 배는 바다를 가로지르며 나아갑니다.


  우리는 흙바닥에 나뭇가지로 그림을 그릴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나뭇가지를 쥐어 슥슥 그림을 그리고 싶으니 그림을 그려요. 우리는 볍씨 껍질을 벗겨 쌀알을 물에 불린 뒤 밥을 지을 수 있습니다. 나락으로 밥을 지어 먹고 싶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아이를 낳을 수 있습니다. 마음이 맞는 사랑스러운 짝을 찾아서 꿈을 속삭이면 열 달 뒤에 아이를 낳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돈을 벌 수 있습니다. 돈을 벌면 어떤 일을 해야지 하고 생각하면서 마땅한 일자리를 찾아서 돈을 벌 수 있습니다. 우리는 나무한테서 열매를 얻을 수 있고, 우리는 풀꽃을 바라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말을 배우고 글을 쓸 수 있습니다. 우리는 노래를 부를 수 있고, 춤을 출 수 있습니다.


  모든 길은 언제나 활짝 열립니다. 그러나, 우리가 길을 가야 길이 열립니다. 우리가 스스로 길을 가지 않는다면 길은 안 보입니다. 우리가 두 다리로 씩씩하게 서서 척척 한 걸음씩 내딛을 때에 비로소 길이 열립니다.


  사진으로 할 수 있습니다. 다른 훌륭한 사람이 찍은 멋들어진 사진을 흉내낼 수도 있습니다. 아직 아무도 안 찍은 모습을 찾아서 내가 맨 처음으로 찍을 수 있습니다. 내 이야기를 살포시 담아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아름다운 빛물결이 흐르는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슬픔과 생채기를 사진으로 찍어서 보여줄 수 있습니다. 아프고 괴로운 이웃을 사진으로 찍어서 보여줄 수 있습니다. 무엇이든 할 수 있고, 무엇이든 찍을 수 있습니다. 자, 그러니 생각을 할 노릇입니다. 마음속에 생각씨앗 한 톨을 심을 노릇입니다. 나 스스로 나아가고 싶은 길을 생각하고, 사진으로 찍어서 나누고 싶은 이야기씨앗을 심을 노릇입니다. 4347.11.6.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 찍는 눈빛 81. 밥을 차리는 마음으로



  시골집에서 지내며 ‘대단한 풀’을 뜯어서 먹지는 않습니다. 집 둘레에서 돋는 풀을 고맙게 여기면서 뜯습니다. 따로 심어서 얻는 풀보다 저절로 돋는 풀을 무척 즐깁니다. 시골에서 살며 곰곰이 지켜보면, 사람이 손으로 하나하나 심고 가꾸어도 먹을거리를 넉넉히 얻지만, 숲이 이끄는 대로 철마다 풀내음을 살펴 바지런히 뜯을 수 있으면, 한겨울에도 얼마든지 풀밥을 누릴 만합니다.


  들꽃을 좋아하면서 사진을 찍는 분이 많습니다. 시골에서 들꽃을 철마다 지켜보노라면, 참말 들꽃을 사진으로 찍을 만하구나 하고 느낍니다. 해마다 다시 만나는 들꽃인데 해마다 느낌이 달라요. 한 번 피면 적어도 열흘이나 보름은 가고, 달포 남짓 잇는 들꽃도 있어요. 이런 들꽃을 보면, 한 송이일 적과 열 송이나 백 송이일 적에 느낌이 다릅니다. 아침과 저녁으로 빛살이 다르고 꽃내음이 다릅니다. 봉오리가 터질 무렵과 씨앗이 맺을 무렵 꽃빛이 새삼스럽습니다. 들꽃 한 송이를 놓고도 사진책 한 권 엮을 만큼 수많은 이야기가 흐릅니다.


  나는 시골집에서 날마다 풀을 뜯습니다. 날마다 새 풀을 뜯습니다. 뜯고 뜯으며 다시 뜯어도 풀은 새롭게 자랍니다. 이러다가 어느새 풀한테 밀려, 풀은 꽃대를 올리고 꽃을 피우지요. 꽃이 피는 풀은 굳이 더 뜯지 않습니다. 다른 풀을 뜯습니다. 꽃을 피운 풀은 씨앗을 맺어 스스로 둘레에 떨굽니다. 이제부터 이 풀은 이듬해를 기다립니다.


  날마다 새롭게 온갖 풀을 뜯고, 철마다 기쁘게 새로운 풀을 뜯어서 밥을 차리며 생각합니다. 나는 들과 숲에서 얻은 기운을 밥상에 얹습니다. 들이 베푸는 냄새를 맡고, 숲이 들려주는 노래를 듣습니다. 밥을 차리는 마음이란, 아이들한테 맛난 밥을 베풀려는 마음이기도 할 테지만, 아이들한테 ‘배를 불리는 먹을거리’이면서 ‘숲에서 자란 푸른 숨결’을 함께 주고픈 마음이라고 느낍니다.


  우리는 밥을 먹으면서 바람을 마셔요. 풀이 자라면서 마신 바람을 함께 먹습니다. 우리는 밥을 먹으면서 빗물을 마셔요. 풀이 자라면서 마신 빗물을 함께 먹습니다.


  사진은 이야기를 찍습니다. 사진은 우리가 저마다 살아가는 이야기를 찍습니다. 사진은 우리가 날마다 새롭게 웃고 노래하면서 저마다 살아가는 이야기를 찍습니다. 날마다 어떤 밥을 손수 차려서 누구와 즐기는지 떠올려요. 날마다 어떤 밥을 어느 곳에서 얻어 누구와 나누려는지 그려요. 이렇게 하면, 내 사진은 날마다 싱그러이 빛나면서 구수한 삶내음을 넉넉히 담을 수 있습니다. 4347.11.5.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 찍는 눈빛 80. 시골 가을볕



  아침이 됩니다. 동이 트면서 날이 밝습니다. 날이 밝으면 지붕에도 마당에도 밭자락에도 빈논에도 모두 올망졸망 이슬이 맺힙니다. 아침볕을 받는 이슬은 반짝반짝 빛납니다. 해가 높이 솟으면 이슬은 모두 마릅니다. 그러나, 햇볕에 마르기 앞서 풀과 나무가 이슬을 마시고, 풀벌레와 작은 풀짐승이 이슬을 먹습니다. 숲에 짐승이 많던 지난날에는 숲짐승이 풀잎과 함께 이슬을 함께 먹었을 테고, 사람들이 도시 아닌 숲에 깃들어 살 적에는 이 아침이슬을 고맙게 받아서 먹었으리라 생각합니다.


  날이 조금 더 추우면 서리가 내립니다. 서리가 내린 들은 차갑습니다. 가을에도 한낮에는 볕이 따스하기에 이 늦가을을 마치 봄인 줄 잘못 알고 깨어나는 풀과 꽃이 있습니다. 이 아이들은 그만 차가운 서리를 맞아요. 된서리를 맞습니다. 새벽에 된서리를 맞은 가을풀과 가을꽃은 오들오들 떨어요. 그렇지만 이윽고 동이 트고 해가 솟으면서 이슬도 서리도 모두 녹아서 사라지면 천천히 기지개를 켭니다. 아직 겨울잠을 안 자는 풀벌레와 풀짐승도 아침까지 오들오들 떨다가 비로소 몸을 움직입니다.


  가을볕은 나즈막합니다. 겨울볕은 퍽 낮습니다. 나즈막하게 내리쬐는 가을볕은 그림자를 길게 드리웁니다. 퍽 낮은 겨울볕은 그림자를 더욱 길게 드리웁니다. 아이들은 가을과 겨울에 그림자놀이를 즐깁니다. 여름에는 그림자가 아주 조그맣지요. 몽당그림자라고 할까요. 여름에는 그림자놀이가 그닥 안 재미있을 수 있지만, 가을과 겨울에는 길디긴 그림자를 서로 밟으면서 까르르 웃고 떠듭니다.


  시골집 처마는 늦가을부터 이른봄까지 포근한 볕을 듬뿍 받아들입니다. 시골집 처마는 빗물을 긋거나 따가운 여름볕을 막는 한편, 늦가을과 한겨울에는 햇볕을 골고루 받아들여 온 집안을 포근하게 이끕니다.


  철마다 빛과 볕과 살이 다릅니다. 달마다 빛과 볕과 살이 움직입니다. 해가 안 드는 건물에서 전깃불을 밝히면 철과 달과 날을 모르는 사진이 됩니다. 마당이나 마루나 들이나 숲에서 햇볕을 쬐면, 우리는 언제나 다르면서 새삼스럽고 새로운 빛물결과 볕물결을 온몸으로 맞아들이는 사진을 누립니다. 4347.11.5.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