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알려주지 않은 도서관 사서 실무
강민선 지음 / 임시제본소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인문책시렁 97


《아무도 알려주지 않은 도서관 사서 실무》

 강민선

 임시제본소

 2018.10.26.



내부고발이 있고 나서 지금까지 초과한 근무수당을 지급하라는 명령이 내려졌다고 하는데 많은 산하기관들 중 일부만 돌려받았을 뿐 도서관 직원들은 받지 못했다. 고발한 사람은 일을 그만두었다고 했다. (36쪽)


너무 기본적인 사항이라 아무도 내게 말해 주지 않은 것 같은데, 말해 주지 않은 것을 내가 어떻게 알고 하나 억울한 마음도 있었지만, 이렇게 기본적인 건 말해 주지 않아도 할 줄 알아야 하고, 말을 해 줘야 아느냐 말하지 않아도 아느냐가 그 직원의 역량이었고 …… (40∼41쪽)


나는 여태까지 그 아이에게 어떤 책을 골라서 보냈는지 알지 못했다 … 나는 내가 보내준 책을 얌전히 읽고 다음 책을 조용히 기다렸을 아이에게 너무 미안했고, 한 번도 본 적 없는 도서관 사서에게 아이의 부음을 전하며 눈물을 흘리는 어머니에게 너무 죄송했다. (52쪽)


겉으로는 티를 내지 않았지만 나는 알퐁스 도데가 책이름인지 사람이름인지를 묻는 이용자를 순간 내려다보았던 것이다. (57쪽)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작은 일은 조금 불편하더라도 동네 책방에서 정가에 책을 사는 것이다. (139쪽)



  나라 곳곳에서 도서관을 꾸리는 이웃님이 많습니다. 이분들은 틀림없이 ‘도서관’을 꾸리지만, 도서관법에 따라 ‘작은도서관’이라는 이름을 써야 한다는군요. 도서관법으로 따지면 ‘사서자격증’을 갖추고 꽤 널찍한 자리를 따로 꾸릴 수 있으면서 ‘도서관위원회’를 열기도 해야 비로소 ‘도서관’이란 이름을 쓸 수 있다고 못박습니다.


  마을에서 조그맣게 꾸려도 도서관이요, 나라에서 커다랗게 이끌어도 도서관이겠지요. 그런데 왜 법은 굳이 ‘도서관·작은도서관’을 갈라야 할까요? 작은도서관일 적에는 사서자격증을 안 갖추어도 ‘봐준다’고 하는 법인데, 왜 사서자격증이 있는 사람만 도서관을 열거나 꾸릴 수 있어야 할까요?


  밥집을 꾸리려 한다면 다른 얘기가 될 테지만, 글·책을 쓰거나 읽고 나누는 길에서는 틀에 가두지 않아도 되리라 느껴요. 문예창작학과를 나오지 않더라도 글이건 시이건 소설이건 수필이건 누구나 쓸 수 있어요. 대학교라든지 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나오지 않더라도 책마을 일꾼이 되거나 책을 쓰는 길을 갈 수 있어요. 대학교뿐 아니라 고등학교를 안 마쳤어도 새책집이건 헌책집이건 열어서 꾸릴 수 있어요. 그런데 왜 도서관만큼은 ‘대학교 졸업장 + 자격증’이라는 문턱을 세우려 할까요?


  늦깎이로 사서자격증을 따서 사설기관이 꾸리는 공공도서관에서 일한 삶길을 찬찬히 옮겨적은 《아무도 알려주지 않은 도서관 사서 실무》(강민선, 임시제본소, 2018)를 읽었습니다. 글쓴이는 처음부터 도서관 사서가 될 생각이 있지는 않았다고 해요. 글쓰기란 길을 가고 싶었다는군요. 이러다가 어찌저찌 늦깎이로 사서자격증을 땄고, 이 자격증을 땄대서 사서가 되는 길은 매우 좁다는데, 하늘이 도왔는지 사서가 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막상 도서관 책지기라는 자리를 맡아서 일을 하려고 보니, 이 일이 무엇인지 차근차근 알려주거나 들려주는 분이 없었다고 해요. ‘자격증을 따서 들어왔’으니 알아서 하리라 여기고, 이밖에 포토샵이나 여러 풀그림을 다룰 줄 알기를 바랐다더군요. 손님으로 드나들던 도서관에서는 까맣게 모르던 일이었답니다. 일꾼이란 자리에서 아침부터 저녁까지 붙박이로 지내는 도서관으로 바뀌니, 어쩌면 이렇게 ‘아무도 알려주지 않은 도서관 사서 실무’가 많은지 놀랐다고 합니다.


  도서관이기에 겪거나 누릴 수 있는 기쁜 보람이 무척 크다고 해요. 이에 못지않게 도서관에서 왜 이런 일이 벌어져야 할까 싶은 아리송한 일거리가 참으로 크다고 합니다. 《아무도 알려주지 않은 도서관 사서 실무》 한 자락이 우리네 도서관 민낯을 모두 밝히지는 않습니다. 또 글쓴이 스스로 ‘너무 세다’ 싶은 대목은 되도록 잘라냈다고 이야기해요,


  아무래도 아직 이 나라 책살림이 덜 아름답기에 갖가지 안타까운 민낯이 그대로 드러날 수 있습니다. 이제 겨우 싹트려고 하는 책살림이니, 이런 잘못이나 저런 구멍이 도드라져 보일 수 있습니다. 언젠가 도서관 책지기를 뵈던 날 그분들이 ‘수서(收書)’라고 하는, 사전에도 없는 일본 한자말을 쓰시기에 그 말이 무엇을 가리키느냐고 여쭈었더니 그분들도 제대로 풀어내어 알려주지 못하시더군요. 그러나 가만히 듣고 보니, 또 도서관을 다룬 여러 가지 책을 찾아서 읽고 보니, 일본 한자말 ‘수서’는 ‘책들임’을 나타내더군요.


  곰곰이 보면 ‘도서관’이란 이름을 새로 지어서 쓸 수 있습니다. 사서자격증을 따서 일하는 분으로서는 그냥 익숙한 이름일 테지만, 처음으로 책을 만나려고 나들이를 가는 어린이한테는 참으로 낯선 이름이거든요. 책을 아름드리로 갖춘 그곳, 숲에서 온 종이로 지은 책을 고루 갖추어 어느 곳에서나 푸르며 싱그러운 마음이 되도록 푸르게 돌보려는 그곳, 이런 그곳이라면 ‘책 + 숲’ 또는 ‘책 + 숲 + 집’이란 얼개로 ‘책숲’이나 ‘책숲집’이란 이름을 새로 지어서 쓸 수 있습니다. 그야말로 책으로 이룬 숲이요, 책으로 이룬 숲이면서 포근한 집 같은 곳이라면 말이지요.


  글쓴이는 《아무도 알려주지 않은 도서관 사서 실무》란 책을 써내어 스스로 펴냈다고 합니다. 이렇게 하고서 얼마쯤 뒤 도서관 사서란 자리를 그만두었다고 합니다. 이 책 때문에 그만두지는 않았다고 합니다. 다만 한 가지를 더 생각해 봅니다. 책숲에서 책지기 노릇을 맡은 분들이 싱그러운 숲바람 같은 책을 사람들한테 잇는 그곳에서 피어나는 새로운 이야기는 ‘서로서로 알려주는 사랑스러운 숲살림’으로 거듭날 수 있으면 좋겠어요. 뒷이야기가 스러질 수 있도록 아름다운 마을살림으로 거듭나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점의 일생 - 책 파는 일의 기쁨과 슬픔, 즐거움과 괴로움에 관하여
야마시타 겐지 지음, 김승복 옮김 / 유유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인문책시렁 95


《서점의 일생》

 야마시타 겐지

 김승복 옮김

 유유

 2019.2.14.



밤새 어두운 등불 밑에서 문고를 읽었다. 독서에 집중하고 있으니 하얗고 부들부들한 털을 가진 길고양이 한 마리가 조용히 나에게 왔다. 고양이는 내 발밑에 달라붙어 기분 좋은 듯 그대로 발 사이에서 잠들어 버렸다. (49쪽)


제시된 가격으로 산다는 것은 속이거나 속는 것이 아니라, 손님이 그 가치를 인정했다는 뜻이다. (89쪽)


헌책의 커다란 특징은 베스트셀러 순위에서 떨어진 100엔 균일가 책을 빼고는 이 책들과의 만남이 모두 일생에 한 번뿐이라는 점이다. (155쪽)


아저씨도 아이들도, 스마트폰은 아주 간단하게 ‘책을 읽지 않는 층’에게도 심심풀이 아이템으로 보급되었다. (206쪽)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오기 위한 틈은 대기업일수록 작아지고 개인일수록 커진다. (231쪽)


책방에서 산 책은 모두 선물이다. (250쪽)



  공장에서 똑같이 찍은 것을 다루는 가게는 나라 어느 곳을 가더라도 모두 똑같습니다. 이때에는 더 값싸면서 쓸 만한 것을 찾으려고 살필 수 있습니다. 겉보기로는 공장에서 똑같이 찍되, 언제나 다 다를 수밖에 없는 책이 있습니다. 커다란 책집은 조금씩 책꽂이를 달리하기는 하지만 어느 고장 큰책집에 가든 하나같이 똑같아 보입니다. 이와 달리 마을책집이나 작은책집은 책꽂이가 고장마다 다릅니다. 같은 서울이어도 책집마다 모두 달라요. 책집지기 스스로 눈썰미를 밝혀서 저마다 다를 뿐 아니라 새롭게 이야기를 길어올릴 수 있도록 책꽂이를 건사합니다.


  일본에서 책집을 열다가 단맛하고 쓴맛을 함께 본 분이 쓴 《서점의 일생》(야마시타 겐지/김승복 옮김, 유유, 2019)이라는 책이 있습니다. 두 맛을 나란히 보고서 쓴 책이기에 두 맛이 어우러지는 이야기가 흐릅니다. 어느 대목에서 책집지기로서 단맛을 누렸는지, 또 어떻게 하여 쓴맛을 보아야 했는지를 찬찬히 밝힙니다.


  그런데 단맛하고 쓴맛은 책집지기로 살던 때에만 누리지 않았다지요. 어릴 적부터 언제나 두 맛을 누렸고, 고등학교를 마친 뒤에 대학교가 아닌 일자리를 찾아서 집을 떠나 홀로서기를 하던 무렵에도 뼛속 깊이 누렸다고 해요. 마음에 맞는 짝을 만나고 아이를 낳으면서도 언제나 두 맛이 나란히 흐른다고 합니다.


  혼자 살아가는 사내나 가시내인 책집지기라면 이곳 책꽂이는 아이를 낳아 돌보는 어버이인 책집지기가 꾸미는 책꽂이하고 다르기 마련입니다. 서울 사는 책집지기하고 시골 사는 책집지기도 책꽂이 꾸밈새가 다릅니다. 요즈음은 서울이나 제주뿐 아니라 작은고을이나 시골에도 마을책집이 하나둘 기지개를 켭니다. 이러면서 나라 곳곳 마을책집마다 다 다르면서 새롭고 아기자기한 멋이 한껏 흘러요.


  책집이 있는 마을하고 책집이 없는 마을은 다를 테지요. 그냥 누리책집에서 손쉽게 시켜서 받는 길하고, 아이 손을 잡고서 가볍게 나들이를 하듯 다녀올 수 있는 마을책집을 누리는 길은 참으로 다릅니다. 《서점의 일생》은 바로 뒤엣길을, 마을마다 작은 쉼터나 냇가 같은 곳이 있으면 마을이 한결 아름다우면서 빛나지 않겠느냐 하는 마음을 살며시 짚습니다. 굵직한 도시 이름으로 가르는 터전이 아닌, ‘오늘 우리가 저마다 다르게 살아가는 마을’이라는 터전에서, 이 마을을 바탕으로 살림을 가꾸고 이야기를 함께하는 아기자기한 책집 하나가 있을 적에 얼마나 싱그러우면서 재미난가 하는 모습을 그린다고 할 수 있어요.


  이 책을 옮긴 분도 책집지기입니다. 책집지기이자 출판사를 꾸리는 일꾼이기도 합니다. 일본 도쿄 한복판에서 한국문학을 일본사람한테 알리는 출판사일 뿐 아니라, 한글책을 일본사람한테 파는 책집을 나란히 꾸려 가지요. 꽤 재미난 길입니다. 앞으로 한국에 이런 마을책집이 태어날 수 있을까요? 이를테면 일본문학을 일본글로 읽도록 판을 까는 마을책집, 영어문학을 영어로 읽도록 자리를 까는 마을책집, 스웨덴문학을 스웨덴말로 읽도록 마당을 펴는 마을책집, 이런 남다른 마을책집이 한국에서도 기지개를 켤 수 있을까요.


  장사가 잘되면 늘어나기도 하고, 장사가 안되면 닫기도 하는 가게 가운데 하나인 책집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숲에서 자라던 나무한테서 얻은 종이에 사람으로 살아가는 기쁨슬픔을 이야기로 엮어서 담은 책 하나라 한다면, 이 책을 고이 품은 책집이 있는 마을이란, “서점 죽살이”를 넘어서 새삼스레 돌아볼 만한 뜻이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작은 마을책집 한 곳은 도시 한켠을 밝히는 조그마한 이야기숲일 테니까요.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점을 둘러싼 희망 B side 1
문희언 지음 / 여름의숲 / 2017년 4월
평점 :
품절



숲노래 책읽기

인문책시렁 91


《서점을 둘러싼 희망》

 문희언

 여름의숲

 2017.4.10.



독자와 책 사이를 연걸해 주는 것은 서점입니다 … 오프라인 서점보다 인터넷 서점을 이용하는 독자가 많습니다. 그곳에서는 책과 독자의 우연한 만남은 없습니다. 그러나 오프라인 서점에는 존재를 전혀 몰랐던 새로운 책 한 권과 만날 기회가 있습니다. 오프라인 서점에서는 새로운 책, 잘 모르는 분야, 한 번도 들어 보지 못했던 작가 등을 만날 기회가 열려 있습니다. (7, 8쪽)


“자본으로 움직이는 대형서점보다는 각자의 방식을 가진 서점 100개가 생기는 게 중요합니다.” (36쪽/사적인서점 정지혜)


“책을 안 읽는 사람에게 책을 읽게 하는 건 어려운 일인데, 계속 책에 관한 실패 사례를 사람들에게 보여주는 건 잘못됐다고 생각합니다.” (63쪽/탐구생활 모소영)


“메이저급 출판사의 과도한 마케팅은 책 자체를 저급한 물건으로 만들어 버렸습니다.” (95쪽/진주문고 여태훈)



  이제 우리 스스로 거듭납니다. 더는 낡은 모습이고 싶지 않기에 해묵은 옷을 벗으려 합니다. 예전에는 우리 작은 손길로 바꿀 수 없거나 새로 지을 수 없는 듯 여겼습니다. 그렇지만 촛불 한 자루로 괘씸한 우두머리를 끌어내릴 힘이 우리한테 있는 줄 깨달았고, 이 촛불힘을 마치 저희 것이라도 되는 듯 가로채어 또다른 주먹힘으로 바보짓을 일삼는 이가 있다면, 그들 괘씸한 다른 우두머리도 얼마든지 끌어내릴 힘이 우리한테 있는 줄 알아차립니다.


  바로 이 자그마한 힘을 마을살림이란 자리에 기울이니 자그맣지만 알차고 싱그러운 마을책집이 태어납니다. 지난날 우리는 커다란 자리에 갖은 책을 잔뜩 놓을 뿐 아니라, 아니 이보다는 참고서랑 문제집이랑 교과서가 한복판을 차지하고서, 잘 팔리는 몇 가지 책을 곁다리로 놓는 곳이 ‘책집’이라고 여겼어요.


  오늘 우리는 새 마을책집을 엽니다. 큰책집 아닌 마을책집입니다. 더 많은 사람하고 더 많은 책을 끌어들이는 곳이 아닌, 더 마을로 파고들며, 더 내 삶자리를 헤아리고 더 이웃을 사랑하려는 곳이 되도록 마을책집을 가꿉니다.


  《서점을 둘러싼 희망》(문희언, 여름의숲, 2017)은 세 군데 책집 이야기를 바탕으로 책이 마을에서 어떻게 꿈이라고 하는 씨앗 노릇을 하는가를 들려주려고 합니다. 저마다 다른 세 군데 책집 이야기인데, 여기에 헌책집 이야기를 하나 넣으면 훨씬 좋았겠다고 여깁니다. 어딘가 아쉬운 얼개이거든요. 책이 돌고돌아 우리 손에 오고, 우리 손에 있던 책이 새로운 이웃 손으로 가는, 태어나고 죽지만 다시 빛을 보는 숱한 책이 숲이며 마을이며 보금자리에서 어떻게 빛나는가 하는 대목이란, 바로 헌책집 일꾼이 슬기롭게 밝혀 줄 만합니다.


  그러나 이 조그마한 책으로도 좋습니다. 굳이 크게 엮지 않아도 좋습니다. 한걸음씩 가면 되지요. 이 한걸음이 씨앗처럼 드리웠으니, 나라 곳곳에서 상냥하게 태어나서 자라는 책집마다 들꽃 씨앗 같은 이야기가 훨훨 춤추면서 눈부시겠지요.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루스트의 독서 (문고본) 마음산 문고
마르셀 프루스트 지음, 백선희 옮김 / 마음산책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인문책시렁 84


《프루스트의 독서》

 마르셀 프루스트

 백선희 옮김

 마음산책

 2018.1.5.



가장 재미난 대목을 읽을 때 친구가 찾아와 같이하자던 놀이, 읽던 페이지에서 눈을 들거나 자리를 옮기게 만들던 성가신 꿀벌이나 햇살, 떠안겨서 가져오긴 했지만 건드리지도 않고 벤치 옆자리에 놓아둔 간식. (19쪽)


그 작품들은 훨씬 더 감동적인 다른 아름다움도 받아들이는데, 그것들의 재료며 그것들이 쓰인 언어가 삶의 거울과 같다는 사실에서 오는 아름다움이다. (89쪽)


“19세기 말부터 작가들이 글을 제대로 못 쓴다.” 이 반대도 이 말만큼 사실이 아닐까? (125쪽)



  어떤 일을 아무나 해댄다면 엉성하거나 어설퍼 보이기 마련입니다. ‘아무나’ 해대니까요. 그러나 처음에는 ‘아무나’였을지라도, 이 ‘아무나’가 차츰 퍼져서 ‘누구나’로 될 즈음에는 확 바뀌어요. 어떤 일을 누구나 할 줄 알 적에는 빈틈없거나 알차기 마련이에요.


  집안일을 아무나 한다면 참 엉성하겠지요. 집안일을 누구나 한다면 참 야무지겠지요. 글을 아무나 쓴다면 참 어설프겠지요. 글을 누구나 쓴다면 참 알뜰살뜰하겠지요.


  《프루스트의 독서》(마르셀 프루스트/백선희 옮김, 마음산책, 2018)는 프루스트라고 하는 분이 바라본 책하고 글을 들려줍니다. 지난날 프랑스라는 터전에서 책하고 글이 어떤 값이나 뜻이었는가를 차근차근 짚습니다.


  책을 말하는 책이니, 책읽기란 이렇게 아름다우면서 사랑스럽다 하고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책을 읽는 동안에는 배고픔을 느낄 까닭이 없고, 책을 읽을 적에는 하루가 흐르는 줄 안 느끼니 늙을 일이 없으며, 책을 읽는 사이에는 새롭게 받아들이려는 살림이 넘치기에 싱그러이 기운이 흐른다는 이야기를 엿볼 만합니다. 그런데 이런 이야기는 굳이 ‘책으로 읽지’ 않더라도 누구나 알 테지요. 아름다운 길을 만나고 싶어서 내딛는 걸음걸이에는 시나브로 아름다운 바람이 스며들거든요. 사랑스러운 꿈을 키우고 싶어서 나아가는 몸짓에는 어느새 사랑스러운 햇볕이 퍼지고요.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태도의 말들 - 사소한 것이 언제나 더 중요하다 문장 시리즈
엄지혜 지음 / 유유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문책시렁 79


《태도의 말들》

 엄지혜

 유유

 2019.2.4.



인터뷰하며 감동하는 순간은 상대가 내 질문을 진심으로 경청할 때다. 다소 식상한 질문에도 최선을 다해 답하는 인터뷰이를 보면, 정말이지 더 잘 쓰고 싶다. (10쪽)


글과 사람은 굉장히 닮아 있기도 하고, 전혀 다르기도 하다. (15쪽)


친구를 위로하겠다고 메일을 썼는데, 내가 더 큰 위로를 받았다. 어쩌면 내가 위로받고 싶어 쓴 메일일지도 모르겠다고 생각했다. (143쪽)


나와 아무리 맞지 않는 사람이라도 장점이 하나도 없을 수는 없다. 내가 애써 안 보고 싶을 뿐, 인정하고 싶지 않을 뿐이다. (153쪽)



  이야기마실을 하러 서울로 가는 길에 수원에 살짝 내려 〈마그앤그래〉라는 마을책집에 들른 적이 있습니다. 이때에 《까마귀 책》이라는 책을 만났고, 일본은 까마귀를 몹시 아끼면서 마을 어디에서나 쉽게 본다고 하니 이런 책도 나올 만하겠구나 하고 느꼈습니다.


  인천하고 서울에서 살 적에는 까마귀를 본 일이 드문데, 고흥에서 살며 까마귀를 으레 봅니다. 가을겨울에 가장 자주 보는데, 이제는 봄여름에도 흔히 봐요. 더구나 이 까마귀가 우리 집을 찾아옵니다.


  까마귀는 봄철에는 그냥 우리 집 큰나무에 앉아서 노래하다가 떠나고, 여름철에는 뽕나무에 여럿이 모여 오디를 나누어 먹습니다. 사람 발자국을 느끼면 이내 천천히 날갯짓을 하며 달아나지만, 때로는 우듬지에서 까마귀가 놀고, 나무 곁에서 우리가 오디를 훑기도 해요. 가을철이면 무화과나무로 찾아와서 같이 무화과를 누리지요. 곁에서 마주하는 까마귀 이야기를 책으로도 새삼스레 들추니 한결 재미나다고 느낍니다.


  《태도의 말들》(엄지혜, 유유, 2019)을 읽으며 여러 소설가 모습을 그립니다. 저는 사전이란 책을, 더구나 한국말사전이란 책을 쓰니, 이 일을 같이하는 이웃을 아예 볼 일이 없습니다. 한국에서 사전 쓰는 사람은 손가락에 꼽도록 드물거든요. 사전 뜻풀이를 동시처럼 쓰니 동시도 덩달아 쓰지만, 그렇다고 동시를 쓰는 이웃을 만나지도 않습니다. 어른시이든 동시이든 글벗은 으레 큰도시에서 사니까요.


  소설을 쓴다는 글벗을 만난 일이 아직 없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작은 책을 손에 쥐면서 이 소설가는 이런 몸짓이고 저 소설가는 저런 말짓이네 하고 어림합니다. 누리책집에서 여러모로 글벗을 만나면서 이야기를 갈무리하는 일을 맡는 분이 엮은 책이라, 여느 때에 만날 수 없는 숱한 사람들 글살림을 슬쩍 엿보기도 합니다.


  《태도의 말들》을 쓴 글님은 글벗을 마주할 적에 무엇보다 ‘몸짓(태도)’을 눈여겨본다고 합니다. 책을 덮고서 스스로 돌아봅니다. 저는 이웃이나 글벗을 만날 적에 어떤 모습을 눈여겨보려나 돌아보니, 딱히 아무것도 안 봅니다. 겉모습도 몸짓도 옷차림도 생김새도 살피지 않고 따지지 않으며 헤아리지 않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하나가 있다면, 아무래도 이웃이나 글벗 입에서 흐르는 이야기에 마음을 기울입니다. 눈을 감고서 ‘목소리에 얹힌 이야기’에 얼마나 이녁 삶하고 사랑을 담았나 하는 한 가지만 생각합니다. 이야기를, 남 이야기가 아닌 우리 이야기를 남 목소리 아닌 우리 목소리로 들려줄 수 있다면, 이 하나로 넉넉하다고 여깁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