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P 개의 날 4 - 완결
김보통 지음 / 씨네21북스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3.9.19.

책으로 삶읽기 849


《DP 개의 날 4》

 김보통

 씨네21북스

 2016.2.29.



《DP 개의 날 4》(김보통, 씨네21북스, 2016)을 덮으며 돌아본다. 이쯤이면 싸움판(군대)을 그럭저럭 담은 그림꽃일는지 모르나, 찜찜하고 아쉽고 허전하다. “드라마 만들기”를 하려고 애쓴 티가 물씬 흐른다. 아무래도 나중에 뭔가 팔리도록 줄거리를 짜야 돈이 될 테니까 그럴 만하고, 참말로 ‘드라마가 되었’는데, 땅개(육군 보병)로 구르는 숱한 사람들은 아무런 줄도 돈도 이름도 없이 막다른 구석에까지 몰리면서 뒹굴고, 얻어맞고, 마음에 멍울이 들다가, 이 바보짓을 고스란히 되풀이한다. 우리나라는 일본 싸움판(군대)을 그대로 베꼈는데, 일본이 아닌 영국이나 미국이나 독일 싸움판도 크게 다르지는 않으리라. 다만, 일본을 베낀 우리나라 싸움판은 ‘밑바닥(이등병)일 적에 얻어맞고 구르고 멍울이 든 사람’이 ‘윗자리(병장·고참)로 올라설 적에 두들겨패고 밟고 멍울을 새기는 사람’으로 바뀌도록 내몬다. 이 나라 싸움판은 ‘피해자가 가해자로 바꾸도록 내모는 얼개’이다. 이렇게 하면 싸움판 속내를 감쪽같이 감출 수 있다. 사람들이 너무나 잘못 아는 대목 가운데 싸움판 얘기를 꼽을 수밖에 없는데, “군대는 국가공인 살인조직”이다. 멀쩡한 사내를 싸움판에 등을 떠밀면서 보내는 철없는 어버이는 ‘착하던 아이가 주먹질에 물들고 막말짓에 길들도록 내몰아 바보 멍텅구리로 죽이는 짓’이다. “군대가 나라를 지킨다”는 헛소리는 집어치울 일이다. “나라를 지킨다는 군대”에서 끝없는 검은짓(부정부패)이 안 끊이는 까닭을 보라. 싸울아비(군인) 스스로 잘 알지 않는가? 참말로 “나라사랑(애국)이 가득한 싸울아비”는 싸움판에서 오히려 머저리(고문관) 소리를 듣는다. 《DP》를 본 분들이 ‘군대를 조금 엿본 듯하다’고 ‘착각’하지 않기를 빈다.



“있잖아요, 제가 쓰는 수통 밑에 1953이라고 새겨져 있어요.” (108쪽)


“마 새끼야, 작년에 장군님들 골프 치시라고 골프장 짓는 데 들어간 돈이 140억이야. 진짜 예산이 없었으면 골프장이나 처짓고 앉아 있겠냐.” (193쪽)


“니가 당한 일들을 똑같이 네 후임한테 시키는 거, 그게 네가 생각하는 교육이야? 대답을 해봐, 이게 교육이야? 교육이란 말이 이런 뜻이야?” (213쪽)


ㅅㄴ


금전갹출을 안 해서

→ 돈을 안 걷어서

→ 도리기를 안 해서

11쪽


솔직히 말하면 이미 죽지 않았나 싶은 느낌적 느낌인데

→ 까놓고 말하면 이미 죽지 않았나 싶은데

14쪽


괜찮다고 하면 안 괜찮아 보여도 괜찮다고 하니까 계속 굴리는 거야

→ 거뜬하다고 하면 안 거뜬해 보여도 거뜬하다니까 자꾸 굴려

159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씨엠비 CMB 박물관 사건목록 41 - 씨엠비 박물관 사건목록
카토우 모토히로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21년 1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3.9.19.

만화책시렁 431

《C.M.B. 박물관 사건목록 41》
 카토 모토히로
 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21.1.25.


  우리가 걷는 길은 우리 스스로 하루를 짓고 가꾸면서 펴는 살림입니다. 더 나은 길이나 나쁜 길은 없습니다. 다 다르게 걸어가면서 늘 다르게 배우고 받아들이면서 헤아리는 길입니다. 배울 줄 알기에 바라보는 숨결을 받아들이면서 바꿔요. 배울 줄 모르기에 바라보지 않을 뿐 아니라 받아들일 마음이 없고 바꾸지도 않습니다. 《C.M.B. 박물관 사건목록 41》에 나오는 이야기를 하나하나 짚습니다. 두 아이는 다르면서 하나인 마음으로 일을 풀고 맺습니다. 두 아이는 다르기에 다르게 바라보되, 이 다른 눈빛을 서로 아끼면서 함께 걸음을 내딛어요. 우리는 얼마나 한마음에 한살림을 짓는 숨결일 수 있을까요? 우리는 서로 다른 줄 알아보려 하지 않으면서 다 다른 서로를 다 같은 굴레에 가두려 하지는 않나요? 나하고 네가 다른 줄 알아보지 않기에, ‘다르기에 어깨동무하는 즐거운 하루’를 몰라보거나 등지지 않나요? 저 사람이 나처럼 말해야 하지 않고, 내가 저 사람처럼 바라보아야 하지 않습니다. 스스로 샘솟는 물줄기처럼 싱그러이 바라볼 때에 사람답습니다. 스스로 날갯짓하는 나비처럼 밝게 춤출 때에 아름답습니다.


“예부터 돌에는 신비한 힘이 있다고 여겼어. 신이 깃들었다 생각해서 신체(神體)로 삼거나, 사악한 기운을 쫓는다 여겨 비즈로 깎아 장식을 만들어 부적으로 삼기도 했지.” (152∼153쪽)

“당신들이 아르마 씨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그 진심을 알고 싶어서.” “말했잖아. 리더십이 있고 착하고.” “그건 거짓말이지.” (185쪽)

“인기 좀 얻겠다고 남의 비밀을 떠벌리는 녀석 따위, 어떤 벌을 받아도 할 말 없는 거 아니야?” (196쪽)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재일교포 2.5세 '노란구미'의 한국.일본 이야기
정구미 지음 / 안그라픽스 / 2005년 6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3.9.11.

만화책시렁 578


《한국·일본 이야기》

 정구미

 안그라픽스

 2005.6.17.



  전라도하고 경상도가 이웃으로 지내려면, 두 고장 사람들이 자주 오가면서 마음을 나누고 일자리를 함께할 노릇입니다. 찾아가서 지내야 조금씩 알아보고, 만나서 말을 섞고 생각을 나누어야 마음을 열 수 있어요. 이제는 한국·일본 두 나라는 매우 가깝습니다. 우두머리나 벼슬판은 아직 멀 뿐 아니라 서로 삿대질을 하지만, 살림자리에서 아이를 사랑으로 낳아서 돌보는 수수한 사람들은 ‘나라 아닌 이웃’으로 마주합니다. 《한국·일본 이야기》는 ‘재일교포 2.5세 노란구미’ 아가씨가 ‘일본에서 태어난 몸으로 어떻게 자라왔’으며, ‘어머니랑 아버지가 나고자란 나라였지만 스무 살이 넘어서야 비로소 찾아올 수 있던 이웃나라’에서 말을 배우고 사람을 만나고 배움터를 다닌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한국에서는 그림·디자인을 배우러 일본으로 많이 간다는데, 정구미 씨는 거꾸로 일본에서 한국으로 배우러 왔다지요. 아버지는 먹고살 길을 찾아 일본에서 뿌리를 내렸다면, 정구미 씨는 일과 삶과 짝꿍을 한국에서 찾아 새롭게 뿌리를 내립니다. 다만, 나중에 ‘네이버웹툰’으로 붓길을 뻗으면서 훔침질(표절·트레이싱)을 한 터라 얄궂지요. 배우면서 받아들이는 길이라면 아름답습니다. 슬쩍 베낄 까닭이 없어요. 안타까울 뿐입니다.


ㅅㄴㄹ


한국은 아주 열정적이다. 단결력을 발휘한다!! 단결력이 뛰어난 것은 군대와 관련 있지 않을까, 라고 생각했는데, 암튼 재미있어서 좋다. 또 한국사람은 김밥을 사랑한다. (25쪽)


우리 할아버지는 일제시대 때 일하러 일본에 가셨다. 전쟁에도 나가셨다. 하지만 총을 쏘다가 디스크에 걸려서 돌아오셨다. 일본에서 아버지가 태어나셨다. 그 당시 일본은 차별이 심한 시대였다. 그래서 아버지는 한국말은커녕 한국조차 모르셨다. 하지만 굳게 마음을 먹은 아버지는 처음으로 한국에 오셨다. 결혼 성공. 어머니는 미대 재수생이셨다. 이렇게 3자매가 일본에서 태어났다. (66쪽)


“일본이 미워! 갑자기 침략해서 일본 문화를 강요했고, 사람들을 괴롭혔잖아. 한국을 그렇게 만든 일본을 용서할 수 없어!” “구미야, 네가 지금 흥분해도 그건 과거의 일일 뿐이야. 우리는 과거를 잊으면 안 되지만, 감정대로 행동해서는 안 돼.” “그래도 엄마, 너무한 일이야.” “너는 학교에서 그런 역사를 배웠지만, 너의 일본 친구들은 잘 모르지? 진실을 모르는 사람을 무조건 비판하면 안 돼.” (141∼142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체적 접촉에 관한 짧은 회상
정송희 지음 / 새만화책 / 2004년 5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3.8.21.

만화책시렁 512


《신체적 접촉에 관한 짧은 회상》

 정송희

 새만화책

 2004.5.25.



  나라가 거꾸로 간다고 여기기도 하지만, 거꾸로 간다고 느끼기에 바로서는 길을 찾거나 헤아리는 사람이 태어납니다. 나라가 아름답게 간 적이 있는지 돌아볼 수 있다면, ‘바로잡기’로는 바로잡힐 수 없는 나라인 줄 깨닫겠지요. 온누리 어디를 보아도 ‘나라(국가·정부)’가 서면 썩어문드러집니다. 가시내가 우두머리에 있든 사내가 우두머리로 서든 매한가지입니다. ‘우두머리(대표·대통령·통치자·지도자)’라는 위쪽이 있으니 으레 아래쪽이 나란히 생기면서 위아래로 가르는 틀을 사람들 스스로 단단히 올려요. 우두머리는 그저 사람들을 가볍게 허수아비로 휘두를 뿐입니다. 우리는 우두머리를 바라보느라 막상 보금자리를 잊고 마을을 잃으면서 헤맵니다. 《신체적 접촉에 관한 짧은 회상》이 처음 나온 2004년부터 틈틈이 되읽었습니다. 2023년쯤 이르자 어느덧 ‘해묵은’ 줄거리로 여길 만하구나 싶은데, 숱한 사람들은 이 그림꽃에 나오는 생채기에 고름에 멍울을 온몸으로 맞아들여야 했습니다. 가시내는 가시내대로 배움터·마을·집·나라·일터에 버시집(시가媤家)에 시달리고 밟혔어요. 사내는 사내대로 배움터·마을·집·나라·일터에 싸움터(군대)로 들볶이고 밟혔습니다. 누가 때리고 죽였을까요? 맞고 다친 사람은 오늘 어느 자리에 섰나요? 사랑을 스스로 잊기에 화살에 쏩니다. 사랑을 스스로 등지기에 안 바꿉니다. ‘손짓을 가만히 돌아봅’니다. 빛나는 숲집을 안 지으니 짐과 빚에 허덕입니다.


ㅅㄴㄹ


“국민학교 4학년 때였어. 담임은 여자애들이 칠판의 문제를 풀면 옆에서 보고 있었지. 문제를 거의 다 풀 때쯤 어깨에 손을 얹고, 다른 손으로 가슴에 손을 댔어. 이제 막 몽오리가 생겨서 살짝 스치기만 해도 아픈 곳을 꼬옥 눌렀지.” (12쪽)


“우리 확 19세기로 가 버릴까?” “좋아! 거기서 우린 좋은 모델이 될 거야∼.” (100쪽)


“좋아하면 아무 데서나 그래야 돼?” “그런 건 아니고.” “난, 여기가 싫어.” (16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페 메르헨 1
하스코다 지로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1년 10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3.8.25.

만화책시렁 572


《카페 메르헨 1》

 하스코다 지로

 오경화 옮김

 미우

 2011.10.30.



  우리 집 곁님은 커피콩을 절구로 빻습니다. 커피콩을 갈 만한 틀을 들이려다가 그만두었어요. ‘콩갈이’가 아닌 절구를 쓰면, 콩을 다 갈기까지 꽤 걸리고 손힘을 써야 합니다. 갈아 놓은 콩가루를 여린불로 오래 끓여서 부드러이 식히는데, ‘우리 집 커피’ 한 모금을 마시기까지 한나절을 느긋이 씁니다. 더 맛나기에 이렇게 하지는 않습니다. 절구를 쓰면 콩을 가루로 낼 적에 안 시끄럽고, 절구질 소리가 집안을 상냥하게 감돌 뿐 아니라, 여린불로 끓이는 동안 집안바람이 바뀌어요. 

《카페 메르헨 1》를 읽었습니다. 한글판도 일본판도 두걸음이 여태 안 나오는데, 아마 안 나오는 채 끝날 수 있으리라 봅니다. 찻집을 차리고픈 꿈을 키워 가까스로 찻집을 차렸으나, 막상 손님받이는 어려운 찻집지기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그런데 손님은 뜸하지만, 잎물이나 커피물 한 모금으로 마음을 어떻게 달래면서 오늘을 돌아보는가 하는 발걸음을 보여줘요. 어떤 일을 누구보다 잘 해내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글을 잘 쓰거나 책을 잘 팔아야 하지 않습니다. 겨뤄서 으뜸을 거머쥐어야 하지 않고, 남보다 먼저 달려야 하지 않아요. 하루를 그리고, 오늘을 사랑하고, 이웃이며 동무랑 도란도란 이야기꽃을 피울 적에 이 삶이 즐겁고 아름답습니다.


ㅅㄴㄹ


“난 그 다리 위에서 경쾌하게 탭댄스를 추고 싶었어.” (192쪽)


“내가 책을 읽는 것도, 제대로 된 성인이 되고 싶어서 그런 거니까.” “유키에 씨는 이미 훌륭한 어른이잖아요.” “과연 그럴까? 그렇게 보이나 보지?” (200쪽)


‘아아, 이 가게를 연 뒤로, 매일매일이 행복하다. 나에겐, 이 하루하루가, 그래.’ (223쪽)


#カフェめるへん #蓮古田二?

#しあわせ?地

+

《카페 메르헨 1》(하스코다 지로/오경화 옮김, 미우, 2011)



이런 구질구질한 다방의 어둠 속에서 어쩜 저렇게 낙천적인 생각을 할 수 있는 거지

→ 이런 구질구질 어두운 찻집에서 어쩜 저렇게 밝게 생각할 수 있지

22쪽


밤에도 형형하게 빛나는 램프예요

→ 밤에도 빛나는 불이에요

→ 밤에도 밝은 불이에요

→ 밤에도 반짝이는 불이에요

89쪽


좀 기묘한 사람이야. 분명히 뭔가 사연이 있어

→ 좀 알쏭한 사람이야. 뭔가 얘기가 있어

→ 좀 모를 사람이야. 아무래도 까닭이 있어

126쪽


하자 인간들의 집합소

→ 흉꾼 모임터

→ 허물꾼 놀이터

208쪽


오늘도 잘 끓여졌다

→ 오늘도 잘 끓였다

216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