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 - 만화
베르나르 베르베르 글, 파트리스 세르 그림,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1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3.9.28.

만화책시렁 564


《개미》

 베르나르 베르베르 글

 파트리스 세르 그림

 이세욱 옮김

 열린책들

 2000.1.10.



  개미가 기어다니는 소리를 듣는 사람이 있고, 못 듣거나 안 듣거나 아예 생각조차 않는 사람이 있습니다. 푸른별은 늘 돌아요. 스스로도 돌고 해 둘레를 돌지요. 푸른별이 스스로 돌거나 해 둘레를 도는 소리를 듣거나 느끼는 사람이 있고, 안 듣거나 못 듣거나 아예 마음조차 없는 사람이 있어요. 부릉부릉 쇳덩이를 몰면서 개미나 사마귀나 나비를 아랑곳않으면서 밟는 사람이 숱한데, 걷거나 두바퀴를 달릴 적에도 개미나 풀벌레를 못 느끼는 사람도 무척 많아요. 《개미》는 베르나르 베르베르 님이 쓴 글을 바탕으로 여민 그림꽃이라고 합니다. 개미나라를 이렇게 그릴 수도 있을 테지만, 어쩐지 이 그림꽃을 읽는 내내 글책을 읽고픈 마음이 터럭조차 안 일더군요. 개미가 어떤 마음으로 어떤 하루를 살아가는가 하는 길을 읽으려 하기보다는 ‘과학자가 갈무리한 틀’에 맞추어 개미 삶을 꿰어맞추는 줄거리는 마음에 안 와닿더군요. 개미 이야기를 그리고 싶다면, 개미하고 한마음으로 살아갈 노릇입니다. ‘개미 관찰’이 아니라 ‘개미 마음으로 이웃하기’를 하면서 ‘개미바라기’를 해야겠지요. 개미는 ‘관찰·탐구·연구 대상’이 아닌 이웃입니다.


ㅅㄴㄹ


수개미 327호와 암개미 56호가 각각 햇빛 방과 버섯 재배실에서 지지자들을 모으고 있는 동안, 나는 전투 경험이 많은 병정개미들을 설득하기 위해 지하 45층으로 내려간다. (4 A쪽)


결국 벨로강에서 날려 보낸 1천5백 마리의 암개미 중 남은 것은 여섯뿐이었다. 56호도 그 여섯에 들어 있다. 기적적으로 살아남은 것이다. 어떻게든 살아남아서 자신의 도시를 건설하고 비밀 무기의 수수께끼를 풀어야 한다. (45 B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개와 산다는 것 2
이시카와 유고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5년 2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3.9.28.

만화책시렁 540


《개와 산다는 것 2》

 이시카와 유고

 오경화 옮김

 대원씨아이

 2015.2.28.



  함께 살아가는 숨결을 늘 돌아보거나 바라봅니다. 함께 안 살아가는 숨결이라면, 있는 줄조차 모르게 마련이요, 둘레에서 스치거나 만날 적에 쳐다볼 일도 드물 테지요. 집에 마당을 두고서, 이 마당 한켠을 풀밭으로 두면, 개구리에 풀벌레에 새가 함께 살아갑니다. 이때에는 개구리노래에 풀벌레노래에 새노래를 늘 맞아들여요. 집에서뿐 아니라 마을이나 바깥에서도 개구리나 풀벌레나 새가 노래할 적에 으레 귀를 쫑긋합니다. 《개와 산다는 것 2》을 읽으며 ‘곁짐승’을 생각해 봅니다. 오늘날에는 개나 고양이를 곁짐승으로 가까이하는 사람이 많아요. 집에서 함께 살아가기도 하고, 골목이나 마을에서 자주 만나곤 합니다. “사람과 살아가기”도 “개와 살아가기”도 “새와 살아가기”도 매한가지입니다. 늘 지켜보고 살펴보고 바라보고 돌아보고 들여다봅니다. 늘 한마음으로 어울리고, 언제나 같은 하늘을 이고 같은 바람을 마셔요. 말을 섞기에 한집안일 수 있지만, 이보다는 마음이 만나기에 한집안입니다. 함께 밥을 먹기에 한집안이라고도 여기지만, 이에 앞서 함께 사랑을 나누기에 한집안입니다. 우리는 오늘 어디에서 누구를 바라보는가요? 우리는 이 별에서 누가 한마음으로 지내는 이웃이요 한집인가요?



‘마지막으로 다시 한 번 얼굴을 들여다보니, 눈썹의 흔적은 당연히 사라지고 없었고, 그것은 긴 투병생활을 말해 주고 있었다.’ (25∼26쪽)


“너 말고, 하치 걱정하는겨. 벌서 18살잉께. 너랑 같이 산 타고 댕기던 시절의 하치가 아녀.” (43쪽)


“제발 용서해 다오. 엄마가, 엄마가, 목줄을 풀어주는 바람에, 그래서 코로가 죽게 만들어서.” (157쪽)


+


《개와 산다는 것 2》(이시카와 유고/오경화 옮김, 대원씨아이, 2015)


시바견은 어쩜 그렇게 담백한 얼굴을 갖고 있는지

→ 시바개는 어쩜 그렇게 덤덤한 얼굴인지

→ 시바개는 어쩜 그렇게 밋밋한 얼굴인지

7쪽


단말마와 같은 한 번의 울음소리

→ 죽음과 같은 울음소리 한 자락

→ 괴로운 울음소리 한 줄기

24쪽


이 근방에선 허벌나게 유명한 산악견이랑께

→ 이 둘레에선 허벌나게 이름난 멧개랑께

51쪽


전 나카야마 씨가 기거하고 계신 양로원 직원인데―

→ 전 나카야마 씨가 계신 보살핌집 일꾼인데

→ 전 나카야마 씨가 지내시는 돌봄집 일꾼인데

157쪽


이왕 이렇게 된 거, 따님 댁까지 가 보실래요

→ 뭐 이러하니까, 따님 집까지 가 보실래요

→ 이미 이러하니, 따님 집까지 가 보실래요

167쪽


실내견인데

→ 집개인데

→ 집안개인데

181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멸의 그대에게 19
오이마 요시토키 지음, 김동욱 옮김 / 대원씨아이(만화)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3.9.23.

책으로 삶읽기 850


《불멸의 그대에게 19》

 오이마 요시토키

 김동욱 옮김

 대원씨아이

 2023.7.31.



《불멸의 그대에게 19》(오이마 요시토키/김동욱 옮김, 대원씨아이, 2023)을 읽었다. 드디어 끝을 맺는가 싶더니, 또 붙여서 더 그린다고 한다. 왜 질질 끌까? 왜 끝을 맺지 못 할까? 삶과 죽음은 다르지 않고, 몸을 내려놓는대서 사라지지 않는다. 몸뚱이를 입기에 삶이 아닌, 넋이라는 숨결이 빛나기에 삶인데, 이 대목을 너무 가벼이 스치면서 그만 줄거리까지 길을 잃어버렸지 싶다. 너무나 오래오래 ‘몸뚱이 붙잡기’에 얽매이는 줄거리일 뿐 아니라, ‘몸뚱이 그리기’에 사로잡혔다. ‘늙지 않고 젊은 채 내내 살아가려던 어리석은 우두머리’하고 《불멸의 그대에게》가 뭐가 다를까? 한참 읽어 왔기에 끝걸음까지 장만해 놓자고 여기긴 했는데, 스무걸음이 나올 적에도 장만할는지, 더는 안 쳐다볼는지 아직 모르겠으나, 뒷걸음은 하나도 안 궁금할 뿐 아니라, 터럭만큼도 새로울 수 없고, 돌아볼 줄거리조차 없으리라 느낀다.


ㅅㄴㄹ


“나는 어느 쪽이든 상관없지만 말이야. 다만 네가 편하게 살 수 있는 쪽으로 고르라고.” (52쪽)


“그건 질문이 아니라 단순한 불평이다. 마음에 들지 않으면 네가 만들면 돼.” (66쪽)


“미안하다. 불완전한 것을 만들어버려서. 내게는 그것이 완벽했다.” (68쪽)


+


좋은 점을 피로해 나가는 거예요

→ 좋은 대목을 밝혀 나가요

→ 좋은 모습을 들려주지요

27쪽


분향만 하는 건 괜찮을 거예요

→ 사르기만 하면 되어요

→ 피우기만 하면 좋아요

16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와카코와 술 20 한정판 세트 (유리컵 포함)
신큐 치에 지음, 문기업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23년 9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3.9.23.

책으로 삶읽기 852


《와카코와 술 20》

 신큐 치에

 문기업 옮김

 AK comics

 2023.9.15.



《와카코와 술 20》(신큐 치에/문기업 옮김, AK comics, 2023)을 읽었다. 어느덧 스무걸음까지 나아갔구나. 그동안 나온 《와카코와 술》을 돌아보면, 처음에는 ‘혼술’을 하면서 하루를 마감하는 즐거운 삶길을 들려주는구나 싶었는데, 어느새 ‘뭔가 다른 곁거리(안주)’를 찾아나서는 줄거리로 바뀌었다. 그림결도 바뀌었고, 갈피를 못 잡고 억지로 잇는다고 느꼈다. 그림꽃님은 《행복한 타카코 씨》를 여섯걸음으로 그리고 마쳤다. 《행복한 타카코 씨》는 조금 더 그려도 되었을 텐데 싶었으나, 이야기를 잇지 못 하더라. 《와카코와 술》도 열걸음이 넘지 않도록 매듭을 지었으면, 어느 만큼은 알차면서 반짝이는 이야기를 여밀 만했으리라 본다. 꾸역꾸역 늘린들 무엇이 재미있을까? 꾸역꾸역 짜맞추는 그림꽃이란, ‘얼근하게 마셨는데 꾸역꾸역 더 마시다가 자빠지거나 고꾸라지는 술꾼’하고 매한가지이다. 글도 그림도, 쓰고 여밀 때뿐 아니라, 마치고 맺고 마감하면서 새길로 넘어설 때를 알아볼 수 있어야 빛난다.


ㅅㄴㄹ


‘오늘도 정성스러운 기본 안주를 기대하는 내가 있다.’ (29쪽)


‘반년 후에는 이날의 저녁도 잊어버릴지 모른다. 그래도, 촉촉하게 맛보는 지금 이 술 한 잔.’ (52쪽)


‘여름 야채인 토마토를 데워 차가운 술과 함께 즐기다니. 오늘 밤의 나는 석유왕보다도 사치스럽다.’ (72쪽)


#ワカコ酒 #新久千映



맛있는 음식을 만드는 사람은 대단하다는 말이야

→ 맛있게 밥을 차리는 사람은 대단하다는 말이야

→ 맛있게 밥을 하는 사람은 대단하다는 말이야

8쪽


맛이 스며든다. 어묵의 공적

→ 맛이 스며든다. 고기묵 빈틈

→ 맛이 스며든다. 고기묵 틈

51쪽


무조림인데 살짝 정크푸드 느낌

→ 무조림인데 살짝 쓰레밥 느낌

→ 무조림인데 살짝 구정밥 느낌

91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덧.

와카코 잔이 8500원인 셈이네.

8500원을 받아도 될 만한 잔일까?

500원짜리 잔 아닌가?

8500원은 아주 뻥이다.

잔값을 뻥튀기로 받는다고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리얼클로즈 11
마키무라 사토루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13년 7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3.9.22.

책으로 삶읽기 851


《리얼 클로즈 Real Clothes 11》

 마키무라 사토루

 김영신 옮김

 서울문화사

 2013.7.30.



《리얼 클로즈 11》(마키무라 사토루/김영신 옮김, 서울문화사, 2013)를 읽었다. 옷을 새로 그리고 꾸미고 지어서 파는 길을 보여주는데, 옷값이란 참으로 대단하구나 하고 새삼스레 돌아본다. 다들 옷을 몸에 걸치면서 ‘뭔가 드러내기’에 옷에 유난히 마음을 기울일 테지. 그러면, 옷에 기울이는 마음을 ‘늘 쓰는 말’에 1/100만큼이라도 기울이면 얼마나 달라질까 하고 돌아본다. 오늘날 이 나라 사람들은 ‘늘 쓰는 말’에 마음을 그야말로 안 기울인다. 그냥 읊고, 그냥 소리를 내고, 그냥 뱉는다. 겉으로는 ‘소통·의사소통·대화·타협·상담’처럼 일본스런 한자말을 내세우지만, 정작 ‘흐름·주고받음·이야기·나눔·속말’은 찾아보기가 매우 어렵다. 값진 옷을 걸쳐야 사람이 값질까? 아니다. ‘눈’으로만 보지 말 노릇이다. 눈이 있는데 왜 눈으로 보지 말아야 하느냐고 묻지 않기를 바란다. 옷은 틀림없이 날개가 될 수도 있으나 굴레가 될 수도 있다. 옷은 겉을 감싸는 천일 뿐, 우리 넋은 옷으로 나타내거나 밝힐 수 없다. 우리 넋은 언제나 ‘마음을 담은 소리인 말’하고 ‘마음을 담은 숨결인 눈빛’하고 ‘마음을 담은 기운인 사랑’으로 나타내거나 밝힌다.


ㅅㄴㄹ


“자, 촉감 좋은 셔츠랑 노트북이랑, 서류예요!” (53쪽)


“남자도 보통 우는구나. 아니? 직장에선 울면 안 돼. 남자도 여자도! 비겁한 놈!” (175쪽)


“왜 그러느냐면, 세일즈토크보다 자기가 납득해서 사줬으면 하니까. 내가 시끄럽게 하면 생각할 수 없잖아. 그래서 힌트만 전달해.” (224쪽)


#まきむらさとる


촉감 좋은

→ 결 좋은

→ 빛결 좋은

53쪽


이건 과거 데이터에서 고안해낸 나의 승리의 황금비율이야

→ 얘는 예전 줄거리로 짜낸 내 반짝이는 가운꽃이야

→ 이 아름길은 오랜 보따리로 반짝반짝 떠올렸어

→ 이 빛길은 오랜 꾸러미로 찾아낸 뚫음길이야

216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