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집놀이터 / 숲노래 사랑꽃 2024.1.3.

숲집놀이터 287. 좋아하지 마



이렇게 하거나 저렇게 하지 말라고 할 까닭은 없지만, 으레 몇 가지는 들려준다. 첫째, “좋아하지 말고, 싫어하지 마.” 둘째, “사랑하면 돼.” 셋째, “오늘 하루를 꿈으로 그려서 천천히 걸어.” 넷째, “스스로 숲으로 피어나면서 노래하고 춤추자.” 다섯째, “나부터 스스로 돌아보고 바라볼 줄 알면 돼.” 어느 하나를 좋아하면, 이 하나를 뺀 다른 모두를 싫어하거나 등지기 쉽다. 좋아하는 어느 곳을 바라보는 동안, 둘레를 제대로 못 보거나 잘못 보기까지 하고, 더욱이 ‘좋아하는 것이나 곳’조차 속빛을 못 보거나 잘못 보곤 한다. 좋은말이나 좋은책은 오히려 안 좋다고 여길 만하다. 나쁜말이나 나쁜책은 곰곰이 보면 그리 나쁘지 않기 일쑤이다. 속내를 보아야 할 일이다. 겉모습을 보거나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사람은 속마음을 안 보거나 못 보거나 잘못 보거나 넘겨짚는다. 속마음을 바라보고 돌아보고 헤아리는 사람은, 어떤 겉모습이어도 스스럼없다. 말 한 마디도, 삶 한 자락도, 온나라에서 터지는 갖가지 말썽거리도, 겉이 아닌 속을 보면 누구나 스스로 깨닫는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집놀이터 / 숲노래 사랑꽃 2023.12.17.

숲집놀이터 286. 밑바닥 아기꽃



아기가 줄어들며 할매할배가 늘어난다. 사랑받으면서 신나게 뛰놀 터전하고 동떨어지니까 아기가 태어나기 어렵다. 어릴 적에 한결같이 빛나는 사랑을 듬뿍 누리면서 자라는 사람이 어른으로 선다면, 으레 사랑짝을 만나서 아기를 낳고 보금자리를 돌보겠지. 오늘날 어린이하고 푸름이를 보라. 잿더미에 사슬터 같은 배움터에 갇혀서 쳇바퀴를 돌 뿐이다. 겨우 스무 살에 이르러도 마침종이를 새로 거머쥐어야 하느라 갑갑하고, 애써 마침종이를 거머쥐어도 아늑하다고 여길 일자리를 찾느라 숨막힌다. 어느 틈에 사랑을 찾거나 만나거나 속삭일까? 더구나 어릴 적에 맨발에 맨손에 맨몸으로 나무타기를 하거나 달리기를 하면서 풀밭에서 뛰어놀지 못 한 나날이라면, 나중에 짝을 만나서 아기를 낳더라도 어떻게 같이 놀거나 보살펴야 하는 줄 까맣게 모른다. 천기저귀를 어떻게 채우거나 삶아야 하는지 본 적도 겪은 적도 배운 적도 없다면, 열 살부터 스무 살까지 집에서 손수 밥을 차려서 먹거나 빨래를 하거나 쓸고닦기를 해본 적 없다면, 철없이 몸뚱이만 큰 나이에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밑바닥 아기꽃(최악의 출산율)’일 수밖에 없다. 아기를 반기고 싶다면, 틀에 박힌 배움터를 걷어내야지. 꿈을 키우고 사랑을 속삭이는 배움마당에 보금자리로 바꾸어야지. 뛰놀며 기쁘게 웃는 어린 나날이 없는 나라로 이어간다면, 아기꽃은 새로 피어나지 않는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집놀이터 / 숲노래 사랑꽃 2023.12.17.

숲집놀이터 285. 학생인권조례



배움터 막짓이 자꾸 불거지면서, 또 어린이하고 푸름이가 ‘어른 아닌 꼰대’를 흉내내면서 사납짓까지 일삼으면서, ‘학생인권조례’가 흔들린다. 어린이하고 푸름이가 배움터에서 사람값을 누리도록 아주 조그맣게 밑동 구실을 할 학생인권조례일 텐데, 안타깝지만 적잖은 ‘어린이·푸름이 아닌 사납이’가 바보짓을 자꾸 저지른다. 스스로 어린이 넋을 잊고, 스스로 푸른이 얼을 버린다면, 이 딱하고 안타까운 아이들을 어떻게 달래야 할까? 곰곰이 보면 ‘어른 아닌 꼰대’ 멍청짓을 흉내내는 ‘어린이·푸름이 아닌 사납이’가 말썽일 수 있으면서, 배움수렁(입시지옥)부터 말썽을 일으키는 불씨이다. 모든 배움터가 집살림과 옷살림과 밥살림을 스스로 짓는 길을 가르치고 배우는 터전이라면, 어떤 어린이하고 푸름이가 멍텅구리라는 굴레로 치달을까? 배움터에서 사랑을 못 가르치거나 안 가르치면서 다그치는 쳇바퀴이기에 아이들이 엇나간다고 느낀다. 무엇보다도 배움터 바깥을 이루는 터전에서 숱한 사람들이 ‘어른 아닌 꼰대’로 나뒹군다. 아이들이 저지르는 모든 멍청짓은 ‘어른 아닌 꼰대’가 늘 아무 데서나 저지르는 막짓이게 마련이다. 아이들이 무엇을 보았겠는가? 아이들이 누구한테서 보고 따라하겠는가? 배움터에서는 어린이(학생)하고 어른(교사)이 나란히 제 몫(인권)을 누릴 노릇이다. 앞으로는 ‘학생인권’과 ‘교사인권’이 나란히 서는 ‘학교평화조례’로 거듭나야 하리라 본다. 섣불리 학생인권조례를 팽개치려 하지 말고, 어린이도 어른도 그야말로 어린이답고 어른스러울 수 있도록 북돋우는 ‘학교평화조례’로 달라지기를 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숨은책 864


《희망은 있다》

 페트라 켈리

 이수영 옮김

 달팽이

 2004.11.15.



  푸른길을 밝히는 길을 찾던 숱한 사람들 가운데 독일사람 페트라 켈리 님은 어릴 적부터 할머니한테서 ‘총칼(전쟁무기)’로는 나라를 지키기는커녕 사람들이 죽어나갈 뿐인 줄 차근차근 듣고 배웠어요. 푸른별을 싸움판으로 뒤덮은 독일 나치를 온몸으로 겪은 할머니였거든요. 어머니를 따라서 미국으로 건너가서 배움길을 잇는 동안 ‘살갗빛을 넘는 어깨동무’를 찾아야겠다고 여겼고, ‘순이돌이를 가르는 고약한 굴레’를 걷어낼 실마리를 밝혀야겠다고 생각했어요. 이 여러 가지는 “Green Party”를 여는 길에 있다고 느꼈다지요. 나이나 옷차림으로는 아무런 ‘정치·문화·교육·예술’을 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새로 태어나서 자라나는 어린이한테 아무 이바지를 못 한다고 여겼답니다. 독일에서 움튼 “Green Party”를 지켜본 이웃나라 일본은, 이 두레(정당)를 ‘녹색당(綠色黨)’이라는 한자말로 옮깁니다. ‘일본 녹색당’이 태어납니다. 한참 나중에 우리나라에서도 일본 인문학을 받아들여서 ‘녹색당’이란 이름을 그대로 씁니다. 곰곰이 짚을 노릇입니다. 영어나 서양말로는 ‘party’로 ‘모임·잔치·두레’를 수수하게 나타냅니다. 우리나라는 ‘모임·잔치·두레’처럼 수수한 우리말을 ‘정당·정치’에 못 써요. 더구나 우리말 ‘푸르다·풀빛’을 헤아리지도 않습니다. 우리는 앞으로 ‘푸른잔치·푸른두레·푸른모임’이나 ‘풀빛잔치·풀빛두레·풀빛모임’이나 ‘숲잔치·숲두레·숲모임’을 즐겁고 아름다이 꾸리면서 이 나라를 가꾸거나 일굴 수 있을까요? 《희망은 있다》는 책처럼 “풀꽃이 있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3.12.12.

숨은책 879


《한힌샘 연구 3》

 한힌샘 주시경 연구 모임 엮음

 한글학회

 1990.11.30.



  우리한테는 우리글이 있습니다. 우리글 이름은 ‘한글’입니다. 우리가 쓸 글이 태어나기까지도 까마득했지만, 이 글이 태어난 뒤에 사람들이 비로소 배우기까지도 아득했습니다. 나라에서 중국글을 섬기던 무렵에는 힘바치·이름바치·돈바치가 중국글로 사람들을 억눌렀는데, 일본이 총칼로 쳐들어온 무렵부터 일본글하고 일본 한자말이 춤추었어요. 1945년 뒤에는 드디어 ‘한글로’ 마음과 뜻을 펴는 길을 여는데, 막상 우리글을 품을 수 있던 그무렵부터 오늘날까지 ‘우리말을 한글로’ 담는다고는 여기기 어렵습니다. 중국 한자말이나 일본 한자말이나 바깥말(외국말)을 ‘무늬만 한글로’ 옮기는 얼거리예요. 《한힌샘 연구 3》을 읽으면서도 갑갑하더군요. 우리나라에서 오히려 주시경 님을 팽개치거나 파묻을 만큼 엉터리이기도 하지만, 정작 이런 줄거리를 들려주는 이들조차 ‘무늬만 한글로’ 씁니다. 우리말을 우리글로 담는 길은 언제 열 셈일까요? 무늬에만 한자가 없대서 우리말이지 않습니다. 속살과 알맹이와 씨앗이 우리 숨결일 적에 비로소 우리말입니다.


독일인 언어학자 킨스키 교수 밑에서 공부하던 쉴러 박사는 한국의 주시경이 훌륭한 학자임에도 본국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는 사실에 놀랐다 … 주시경은 또 한문 글자를 쓰는 데서 오는 해독을 절감하고서 나라가 바로 잡히려면 한문 글자를 버리고, 한글만을 써야 할 것을 부르짖고 이를 실천에 옮겼다. 그는 우선 자기 아이들에게 ‘봄메·새메·한메’ 등 우리말 이름을 지어 주며, 아내에게도 한글을 가르쳤다. (6, 13쪽)


+


그것이 민중을 의식화·주체화시켰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사람들을 깨우고 일으켰으니 뜻깊다

→ 사람들이 배우고 일어났으니 뜻있다

5쪽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